블록체인을 활용하는 브레이브(Brave) 브라우저 살펴보기 4 - PAYMENT 메뉴와 BAT

in #kr6 years ago (edited)

지난 글에서는 모바일 Brave 브라우저에 대해 살펴보며
PC Brave 브라우저에만 있는 PAYMENT 메뉴에 대해 얘기했는데요.
도대체 이 PAYMENT 메뉴가 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PAYMENT 메뉴가 어디 있나요?

사실 브라우저를 잘 살펴보지 않으면 PAYMENT 메뉴가 있다는 것도 잘 모를텐데요

브레이브 PAYMENT 위치는 설정 메뉴로 이동하시면 위와 같이 찾으실 수 있어요.

그렇다면 BRAVE PAYMENT가 뭘까요?
브라우저에 PAYMENT라니 광고를 안보니 돈을 내라는
일종의 부분 유료화 같은 건가?
아니면 브라우저 개발 후원금인가?

상세히 한번 알아보기로 하죠!

BRAVE PAYMENT 이란?

브레이브 PAYMENT는 부분유료화 같은 것이 아니라
좋아하는 사이트를 익명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지원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일종의 매체 후원 시스템이에요.

브레이브 브라우저는 보기 싫은 광고를 차단하면서
이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유저에게 편익을 제공해줘요.

그런데 문제는 광고가 차단된 광고주가 아니에요.
그 광고를 통해 먹고 살아야 하는 매체들 즉 퍼블리셔들이 문제죠.
광고 노출이 중단되면 퍼블리셔는 수입이 없어져 고사하게 되죠.
볼만한 사이트들이 없어진다는 거에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브레이브 브라우저는 광고가 아닌 다른 수익방안을 제시해요
본인이 좋아하는 매체의 생존(?)을 위해 후원을 할 수 있도록요!
그런데 이렇게 후원을 하는 과정이 매우 귀찮기도 하고 특히 소액이라면
의지는 있더라도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많은 미디어들이 후원모델을 시도했지만 실패한 이유죠!

BRAVE 와 BAT

그래서 브레이브 브라우저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시스템으로 이를 해결하려 해요.
그렇게 탄생한 것이 블록체인 기반의 BAT 프로젝트에요.

혹시 BAT 하면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가 생각나셨나요?
그게 아니고 BAT는 Basic Attention Token의 심볼로
후원금 대신 매체에 지불하는 일종의 토큰이에요.
유저는 BAT라는 토큰을 사서 후원금 대신 지급하고
매체는 후원금 대신 BAT 토큰을 받아 현금 등의 자산으로 바꿀 수 있어요.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과 브라우저의 기술을 결합하여
각 매체가 유저들의 주목 즉 Attention을 얼마나 끌었는지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그에 따라 공평하게 그 토큰을 배분해주려고 해요.

유저의 Attention을 측정하는 보조수단인 클릭수나 노출수를
광고비로 환산하여 그렇게 측정한 광고비를 다시 매체에 배분하는
기존의 광고시스템보다 혁신적이죠.

또한 이러한 방식은 조작이 너무 쉬워
광고생태계가 교란되고 망가지고 있는 원인이기도 해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저와 광고주 사이에 얼마나 수많은 업체들이 생겨났어요.
하지만 오히려 문제만 더 복잡하게 하고 있죠!

BAT는 이러한 광고 생태계의 문제를 유저 중심으로 하여
아래와 같이 간단히 해결가능하고 하네요.

더 궁금하신 분은 BAT 블록체인 프로젝트 백서를 살펴보세요.

그런데 우리는 백서의 논리적인 부분보다는
후원 즉 토큰 분배가 실제로 어떻게 되고 있는지가 궁금하겠죠?

후원금을 어떻게 토큰화하는지?

그렇다면 실제 브라우저에서 후원 즉 토큰 분배가 어떻게 작동하는 살펴보죠!

상단 왼쪽을 보면 후원할 월 예산을 설정하는 메뉴가 있네요.
상단 중간에는 계정 잔액 즉 후원할 현재 잔고를 의미해요.
자금을 추가하려면 오른쪽 자금추가 버튼을 누르시면 되요.

한번 눌러볼까요?

다른건 한글화가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영어로 나오네요. 그래도 천천히 살펴볼게요
개념적으로 보면 BRAVE PAYMENT에 사용되는 토큰 즉 BAT의 Wallet을 만들게 되는 것이네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이
하단 영어 문구를 보면 BRAVE Wallet은 unidirectional 하다고 해요. 한국어로 단방향이라는 건데
쉽게 말하면 지갑에 넣기만 하는데 뺄수는 없다는 거죠. 헉!!
그야말로 매체 후원을 위한 용도로 밖에 못 쓰겟네요.
물론 매체는 그 토큰을 받아 현금화할 수 있겠지만요^^

후원금 즉 BAT는 실제로 어떻게 배분되나?

아무튼 유저 입장에서 편리한 것은 각 매체마다
일일이 후원금액을 정하고 어떻게 줄지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는 거에요?
후원 예산을 설정하면 그 예산을 기준으로
각 매체에 머문 시간에 따라 후원금 즉 BAT를 자동으로 분배해요.

실제 사례로 보면서 이해해보죠!

아래는 아무런 사이트도 방문하기 전이에요.

시험삼아 사이트들을 방문해보았아요!

2 군데를 사이트를 방문했는데 각 사이트의 체류시간과 비중이 나오네요.
시간을 비교해보니 87%와 13%인가봐요.
제 BAT가 있다면 87%와 13%로 배분되겠죠?

그런데 사실 87% 사이트는 제가 볼때 체류시간에 비해서는 가치가 낮아요.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체류시간 비중을 수작업으로 바꿀 수도 있어요.

배분이 반반이 되었네요.

이렇게 체류시간에 따라
후원금 즉 BAT를 자동으로 배분해줄 수도 있고
수동으로 비율을 조정할 수 도 있어요.

각 매체들은 이렇게 쌓인 BAT를 받기 위해 매체등록을 하고 인증을 받아야 해요.
인증했는지는 위의 매체 리스트에서 사이트 옆의 체크 표시 여부를 보고 알 수 있어요.

매체등록을 하지 않은 BAT를 받아갈 수 없는데
이렇게 남은 BAT를 유저 확보를 위한 리워드풀로 쌓인다고 해요.

앞으로 과제는?

개념적으로는 좋지만 여러가지 과제도 있어요.
전에도 얘기했지만 광고차단을 할 수 있는 브라우저는 많아요
굳이 바꿀만한 유인을 만드는 것이 쉽지는 않아요.

토큰 경제를 도입했지만 실제로는 유저들에게 돌아오는 것은 아니에요.
물론 나중에 광고를 보는 대가로 토큰을 받는 시스템이 도입되겠지만
어느정도 유저풀이 쌓이고 난 후의 이야기일 거에요.

스팀잇처럼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유저에게도
광고 차단의 편익 이외에 토큰을 통한 즉각적인 보상이 있었다면
BAT 생태계에 편입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었을 텐데 아쉬운 느낌입니다.

지난글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브레이브(Brave) 브라우저 살펴보기 1 - 설치 및 기본 설정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브레이브(Brave) 브라우저 살펴보기 2 - 광고 차단 성능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브레이브(Brave) 브라우저 살펴보기 3 - 모바일 브라우저

Sort:  

Congratulations @neoizen!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SteemitBoard Ranking update - A better rich list comparator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Congratulations @neoizen!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Support SteemitBoard's project!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