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참여) 스달깡에 대한 올드스톤의 입장

in #kr7 years ago (edited)

20170819

Screenshot_20170625-233051.jpg

토요일 아침 평소보다 조금 늦게 일어났습니다. 커피를 갈아 내리고 컴퓨터 앞에 앉았습니다. 글을 쓸때면 항상 느끼는 약간의 긴장이 저를 즐겁게 만듭니다. 먼저 키보드를 두드려 봅니다. 스티밋에서 기계식 키보드를 예찬하는 포스팅을 보고 샀습니다. 정말 기계식 키보드에서 나는 소리는 매혹적입니다.

요즘 매우 KR 코뮤니티가 매우 뜨겁습니다. 스달깡에 대한 논란이 여기저기서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읽어보면 어느 쪽이 옳은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트랜잭션만 일으킬 뿐 스티밋 생태환경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은 옳은 말입니다. 그리고 지금 스티밋이 이것 저것 가릴때냐 ? 어떻게 해서라도 많은 사람들 끌어 들이는 것이 필요한 것 아니냐? 그리고 스달깡이 틀린 것이라면 마켓에서 보팅파워받아서 물건값 깍아주는 것도 똑같이 잘못된 것 아니냐? 등등 입니다.

저도 스팀아고라 같은 것이 필요하다고 했던 만큼 이번 논쟁에 한번 참여해보려고 합니다. 논쟁은 자신의 입장이 어떻다는 것을 밝히고 그에 합당한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지요.

제기되는 주장을 정리해보자면
한쪽은 스티밋의 생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다른 한쪽은 스티밋에 사람들을 유인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또 스달깡과 스팀마켙은 본질적 차이가 없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이상의 세가지 문제에 대한 저의 입장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총론적으로 저는 스달깡과 같은 방식은 스티밋의 장차 발전에 긍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 스티밋이라는 것이 블로그를 기반으로 한 SNS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스티밋의 기본취지는 글을 써서 보상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글을 쓰지않고 보상을 받겠다고 한다면 문제입니다. 지금 우리가 받고 있는 보상은 스팀파워에 따라 분배된 보팅파워를 합당하게 나누어서 돌아오는 것입니다.

최초에 댄은 한사람이 하루에 네번이상 글을 올리지 못하도록 설계를 했습니다. 제생각에는 적어도 자신의 받은 보팅파워중 4번정도는 셀프 보팅을 하더라도 나머지 6번정도는 남을 위해 보팅하고 서로 관계를 가져라 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스달깡을 해버리면 어떻게 사회관계네트워크의 기능을 수행하겠습니까?

관계는 가치를 창출합니다. 제가 썼지만 멋있네요. 스티밋은 관계를 통해 가치를 창출합니다. 관계를 맺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입니다. 냉정한 관계, 열정적 관계, 소극적 관계, 적극적 관계가 있을 것입니다. 모두 나름대로 다 차이가 있습니다. 관계라고 해서 모두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는 비교적 냉정하고 소극적인 관계가 편합니다. 너무 적극적일 경우 부담스럽습니다. 절제되고 소극적인 관계가 편합니다. 어떻게 되었든 관계를 통한 가치가 창출되어야 한다는 점이 스티밋과 같은 SNS가 지향하는 바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스달깡은 관계를 배제한 이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SNS본래의 기능에서 벗어난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 스달깡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서 회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통상 스팀가격이 올라가면 회원이 증가하더군요. 그리고 스팀가격이 내려가면 회원이 감소하더군요. 지금처럼 스팀이 내려가는 상황에서 스달깡같은 서비스가 있다고 해서 회원 증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스달깡으로 이익을 보자면 자신이 얼마정도 스팀파워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면 스달깡해서 돌아오는 이익도 별로 없지요. 결국 그렇다면 스달깡으로 이익볼 수 있는 사람은 자본가가 되겠지요. 그런데 스팀파워가 많은 고래가 그런 서비스를 공공연하게 이용할 수 있을까요? 연어님도 고래들이 스달깡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KR의 고래들은 스달깡 같은 푼돈보다는 오히려 SNS의 질적인 측면을 더 우선시 하는 것 같습니다. 어떤 고래분들은 전 재산을 모두 임대주시고 정작 자신은 가난한 뉴비신세를 자처하는 분들도 계시지요. 그것은 스티밋이 제대로된 블로그형 SNS로 자리잡기를 바라기 때문일 것입니다. 사실 그래야 스팀가격이 오르고 그래야 돈이 됩니다. 한국의 여러 고래분들은 매우 이타적입니다. 이타심을 통해 이기심을 충족시킬 줄 아는 현명한 분들이 많으시지요.

스달깡 정도로 스티밋 계정이 늘어갈 정도라면 이미 스티밋은 망해야 했을 것입니다. 작년말 올해초인가요 스티밋 계정이 10만 남짓했습니다. 지금은 31만명이 넘었습니다. 올해 말에 50만명은 될 것 같습니다. 스티밋 계정이 늘지 않는 것이 스티밋의 가치가 떨어져서있지 아닌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최근 스티밋 가입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합니다. 스티밋 본사에서 일부러 계정 늘리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속도의 문제가 있어서 그런거 아닌가 하는 추측도 해보고요. 지금의 속도라면 충분할 정도로 계정은 늘어나고 있습니다. 생각하시는 것 처럼 폭발적이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스티밋 뉴비들의 활동이 줄어든다고 하는 것도 KR 코뮤니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전체 스티밋의 계정증가와 KR코뮤니티의 계정증가간 비교를 해보면 의미있는 해석이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세번째 스팀마켓에서 보팅한 만큼 값을 깍아주는 것과 스달깡은 본질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스달깡은 돈만 오가지만 스팀마켓은 물건이 오갑니다. 돈만 위해서 보팅을 하는 것과 물건을 매개로 보팅을 하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스팀마켓은 SNS를 통한 사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스달깡은 추가적인 사업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합니다.

다시말해서 스팀마켓은 여러사람들이 많이 와서 장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럴수록 포스팅의 내용도 풍부해집니다. 물건팔기 위한 포스팅도 많아지고 사용기도 올라갑니다. 저는 스팀마켓을 통해 진정한 공유경제가 가능하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팀마켓이야 말로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습니다.

저도 언젠가 스팀마켓에 진출해보려 합니다. 언제가 무엇이라도 해보려고 합니다. 스팀마켓에서 물건만 팔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자신의 재능도 팔 수 있지요. 대문을 그려주고 번역을 해주는 것도 경제학에서 말하는 용역입니다. 당연히 비용이 지불되어야 할 것입니다. 돈이 없어도 재능만 있으면 최소한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스티밋입니다.

반대로 스달깡은 여러사람이 달려들면 문제가 됩니다. 앞으로 10명 정도가 스달깡을 한다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스팀마켓은 10명아니라 100명이 달려들어도 문제가 없습니다.

관계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느냐 못하느냐는 상당히 큰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세가지 이유로 인해 저는 스달깡이 스티밋의 발전에 긍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논쟁거리를 제공하신 연어님,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해주신 콘님, 논쟁의 자리를 마련해주신 마진숏님 그리고 논쟁에 참석하셔서 기꺼이 자신의 의견을 말씀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스달깡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했다고 해서 연어님께서 실망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문제는 언제가 스티밋이 한번은 겪어야 할 과정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오히려 이런 기회를 만들어 주신 연어님께 특별히 감사를 드립니다.

글이 길어서 죄송합니다.

Sort:  

스팀잇은 글을 써서 교류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스달깡이 좋은 것인지 아닌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글을 쓰는 내용이 항상 같다면 좋은 글은 아닌거 같습니다.
단지 한번 쓴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은 글은 노력이나 정성이 들어간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ㅎㅎ
그런 측면도 있지요

제가 해피워킹맘님의 글에 댓글로 적어둔 부분을 한 번 참고해 주셨으면 합니다. 저로서는 좀 억울한 측면이 ㅋ

다 이해하고 있습니다

잘봤습니다.
이 문제가 맞다 틀리다를 떠나서 '오히려 이런 기회를 만들어 주신 연어님께 특별히 감사를 드립니다.' 이렇게 적어 주시니 참 보는사람도 마음이 편하네요

어떤 이슈나 생각이 다른 상황에서 사람들이 좀 '너죽 나죽'으로 안싸웠으면 좋겠습니다. 그럴 때 마다 포스팅 올라오는것도 확 줄어들고 뉴비분들이 활동하려다가 머뭇거리게 되는것들이 눈에 보이거든요.

저도 너죽 나죽하곤 했는데 반성이 됩니다

"너죽, 나죽" 딱 어울리는 표현이네요. 참 재밌습니다.ㅎ

저도 동감합니다. 토론중 본인의 의견과 다르다고 열 낼거 같으면 토론하는 의미가 없지요. @oldstone 님께서 주신 마지막 문장덕에 편견없이 글을 읽을수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스달깡과 여타 논란거리에 대한 의견들 중 가장 궁금했던 분은 @clayop님과 @oldstone님이었습니다. 옵님은 증인이라는 독특한 입장을 함께 견지하고 계시고, 올드스톤님의 늘 공동체나 사회에 대가 거시적 관점을
쉽고도 명쾌하게 잘 풀어주시던 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늘 일어나서 두 분 모두의 의견을
경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마침 제3회 밋업이 있는 날이기도 하니 즐거움은 배가 되었습니다.

제가 저의 의견을 게진해 나가다가 올드스톤님께서 여기 정리해두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저의 의견을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좋은 질문은 좋은 답을 이끌고, 좋은 의견은 좋은 동력을 발생시킨다는 철학을 믿는 사람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의견주신 하나하나가 너무 좋은 지적사항들이라 저도 꽤 나쁘지 않은(의견은 다를지언정) 답변을 드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의견 기다리겠습니다

"관계가 가치를 만든다." 제가 스팀잇을 하면서 모으는 표현 리스트에 추가시키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좀더 멋있게
관계가 가치를 창출한다
가 어떨까요 ㅎㅎ

오오... 더 멋진 표현이네요. 감사합니다.

글도 글이지만 올드스톤님 왠지 귀여우신면 있으신 것 같습니다. 무례가 되었다면 죄송합니다.ㅜㅠ

주말아침 커피를 마신것 처럼 명확한 주장의 글이 읽는 재미를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Tip!

감사합니다

Hi @oldstone! You have just received a 0.1 SBD tip from @kingbit!


@tipU quick guide | How to check your pending payouts.

많은 부분에서 동감합니다.
단지 제 생각과 차이라면 저는 마켓에도 부정적인 생각입니다.

네 그러시군요
전 조금의 출구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많은글들을 읽어보면서... 서로다른 확고한 주장들! 딱히 무엇이 맞다라고 결론내리기 보다는 이 생태계에 맡겨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스달깡 ... 좋은쪽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면 계속되겠지만, 부정적인 쪽이 많다면 어느순간 사라지겠죠!
서로의 생각들이 다 확고하시니... 답을 내리기가 힘든것 같습니다...

ㅡ토론은 답을 내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차이를 알아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공감 합니다👍

물품판매도 긍정적이고 더욱 다양한 사업이 나타나야 하며, 그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 환급을 전제로 한 서비스는 반대합니다.

생각의 차이는 많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깔끔하게 요점만 적어주셔서 이제야 이번 사태?를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스달깡이 딱히 스팀잇에 도움이 될꺼 같지는 않지만, 스달깡 자체보다 사람들의 자유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자기 검열이 될까봐 그게 좀 걱정이 됩니다.

어떠한 시도를 하던 선구자들은 그에 따른 반작용을 받기 마련이라 생각합니다. 방식을 좀더 친절하게 설명을 먼저 하고 시작하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그렇지요

논쟁거리를 제공하신 연어님,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하신 콘님, 토론의 장을 말련해 주신 마진쇼트님, 논쟁에 참여하시는 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씀 자체가

관계는 가치를 창출합니다

라고 위에서 언급한 말에 대한 태도이자 실천으로 보여서 인상깊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관계가 보상보다 더 큰 가치이다라고 이해하는게 맞을련지요~ 스티밋이라는 하나의 큰원안에서 하나의 문제속에 서로 다른의견들을 통해 좀더 스티밋에 대한 올바르고 진보적인 방향을 모색하는것이겠지요. 그것때문에 겪는 갈등은 필요한거라 생각합니다. 갈등은 어디에나 있기마련이고 그속에 주고받는 토론은 틀리다가 아니라 서로 다르다는 전제하에 말입니다~

정확하신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조목조목 합리적으로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올드스톤님 달린 댓글 하나 하나까지 다 읽어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 kr 커뮤니티에 올드스톤님 같은 분이 계셔서 참 다행인 것 같습니다. 글 감사드립니다.

지나친 과찬의 말씀입니다

우선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는 어떤 방식일까 궁금해서 스달깡을 한 번 이용해 봤습니다. 마켓을 이용하지 않고 스달깡을 한 번 이용해 본 입장에서 차이를 비교하기는 힘들지만 스달깡을 처음 이용했을 때 느낀점은 ... 이거 내가 해도 되는 아이템인 듯 한데... 다른 사람들도 그런 생각을 하겠구나... 그러면 누가 글을 쓸까?... 이거 였습니다. 그래서 아... 스달깡이 퍼지면 스팀은 망하겠구나.. 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이렇게 의견들을 나누고 뭔가 합의점을 찾아가는 모습이 스팀의 장점이라는 걸 다시 한 번 느낀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한번 두고 보아야 겠지요

제가 가진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 해주신 느낌입니다.
감사 합니다

그렇게 봐주시다니 감사합니다.

토론참여 감사드립니다^^ tip! 0.75

Nice post

본질을 잊지 않고 방향성을 제시하시는 님의 글을 통해
스팀잇이 굳건하다는 걸 보여주네요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