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 편향과 투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 (1) - 군중 심리

in #kr6 years ago (edited)

행동 편향은 우리 일상 생활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우리 모두는 주위 사람, 공동체, 기업 또는 정부에 대해 어느 정도 특정한 편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편향이라는 장애물 없이 세상을 바라볼 수 있었다면, 현재의 세상은 전혀 달라졌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가능하지 않은 일입니다. 우리의 모든 판단은 행동 편향이라는 필터를 통과하기 때문에 우리 결정을 왜곡시키기 마련입니다.

투자 결정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자기 마음 속에 존재하는 고정 관념을 기반으로, 가정, 판단 및 결정을 내립니다. 이런 고정 관념은 투자자가 본 그림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덧칠합니다. 이는 부정확하고 잘못된 투자 결정을 내리게 만들고, 큰 손실로 이어집니다.



군중 심리

가장 일반적인 행동 편향 중 하나가 군중 심리입니다. 군중 심리에 빠지게 되면, 다른 투자자들의 행동과 결정이 합리적인지 비합리적인지 분석해보지도 않고, 그냥 막연히 그 행동을 따라하게 됩니다.

군중 심리는 과거부터 심각한 시장 붕괴의 원인이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시장의 많은 참여자들이 비합리적인 군중에 휩쓸렸고, 더 많은 이들이 몰려들어 왔습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대신, 다른 많은 이들의 생각이 옳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거기에 동조한 것입니다. 모두 커다란 손실을 입었고, 동시에 심각한 시장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군중 심리의 원인

인간의 행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 조사에 따르면, 군중 심리가 생기는 주된 이유는 사회 에 순응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본능 때문이라고 합니다. 군중을 따라 결정을 내리는 이유는 대부분 다른 이들도 그런 결정을 내리기 때문입니다. 투자자들은 다른 투자자들의 행동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과 다르게 행동함으로써 군중에서 소외되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사회의 일원으로 남길 바라며, 왕따당했다는 생각이 들면 괴로워 합니다.

군중 심리가 생기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대다수 사람들의 그렇게 하고 있다면, 올바른 행동이겠거니 생각하는데 있습니다. 어떤 결정을 지지하는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결정이 틀렸을 가능성은 더 낮아진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경험이 적은 투자자일수록, 또 자신감이 없는 투자자일수록, 군중 심리에 더 취약합니다. 따라서 군중 심리에 더 쉽게 빠지게 됩니다. 또한 다른 이들과 다른 결정을 내리는 것보다, 이들과 함께 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군중 심리의 영향

군중 심리는 결과적으로 시장을 한 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만듭니다. 시장에서 어떤 세력이 특정 종목을 팔기 시작하면, 군중 심리가 발생되고, 나머지 투자자들도 여기에 편승해 매도에 동참하게 됩니다. 이런 대규모 매도세는 주가 급락으로 이어집니다. 여기서 처음 세력이 매도를 시작한 이유가 합리적일 수도, 비합리적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에 상관없이 나머지 투자자들은 맹목적으로 군중 심리에 빠진 것입니다. 이를 통해 특별한 원인이나 이유없이 시장은 대부분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군중 심리는 금융 시장의 상황을 더 심각하게 만듭니다. 1999~2000년의 닷컴 거품, 2003~2007년의 신용 거품 및 다른 많은 투자 거품이 군중 심리 때문에 생겨나고 붕괴되곤 했습니다. 2003~2004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자, 모든 이들이 상승세에 올라타길 원했고, 집을 사기 위해 몰려들기 시작했습니다. 이어 서브 프라임 대출을 시작했던 주택 담보 대출 업체들의 광고 공세로 더 많은 이들이 주택 시장에 들어왔습니다. 군중의 규모는 계속 더 커졌고, 합리적인 이유나 근거따윈 없었습니다. 이렇게 기초가 취약한 상황에서 거품이 붕괴되었고, 대출을 갚지 못하는 이들이 폭발하면서, 연쇄적으로 전체 금융 시장의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군중 심리를 피하는 방법?

다른 행동 편향과 마찬가지로, 군중 심리는 투자자의 판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합리적 결정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군중과 유행을 따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흔히 그렇듯 일을 저지르고 나서 생각하지 말고, 먼저 생각해 본 다음 행동에 나서야 합니다. 또한 다른 투자자들의 행동을 의심해 보고, 그 반대로 하는 역발상적 접근 방식을 가져 볼 수도 있습니다. 다른 이들이 살 때, 역발상 투자자가 팔것이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역발상 투자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가 워런 버핏입니다. 하지만, 역발상적 접근 방식은 아주 위험하고, 극도의 주의와 연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투자자에게 가장 적합한 해법은 자기만의 검증된 방식을 두고 이를 따르는 것입니다. 균형잡히고 합리적인 자세로 먼저 군중이 왜 그런 행동을 보이는지 충분히 생각해 본 후 움직여도 늦지 않습니다. 또한 유행을 따라다니다 보면 오히려 잘못된 길로 들어설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자기만의 투자 전략과 투자 원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충분한 연구 조사를 통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면, 유행을 따라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출처: Value Walk, "Behavioural Biases And Their Effects On Investment Decisions Series – Part 1">

늘~~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ㄴ^

Sort:  

군중심리에 빠지면 투자 실패 가능성이 높을 것 같네요.

군중심리의 초기에 접근을 잘하면 효과적이지요.
그러나 절정에 다다를 때 조심해야죠.

군중심리에 이끌려 따라가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도 있지만 모를땐 쫓아가는 경향이 있지요. 투자란 정말 어려운것 같습니다.
무더위 조심하세요.

다수결이 좋음으로 귀결되지는 않습니다. 세상 이치가 그렇지요

그렇다고 해도 반대를 위한 반대로 치우치는것도 갠적으로
어떨까 싶기는 하네요;;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