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 Sigmund Freud) 명언 6

in #kr6 years ago (edited)

  43

.인간의 삶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일(노동), 사랑, 그리고 책임(감)이다.  

 (사견: 

1.할 일이 없으면, 자신을 입증할 길이 없어  내 존재 가치를  잃을까봐  불안해진다.

 2.내게 사랑이 없으면, 삶과 그 현상을 이해할 수  없고, 인간으로 살아갈 수 없다. 

3.책임질 줄 모르는 자는, “최소한의 질서와 규범을 준수하고자 하는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임을 거부하면서, 사회를 병들게 하는, 이기적이고 후안무치한 쓰레기이다.) 

From The Wolf-man and Sigmund Freud Muriel Gardiner, p. 365  

44. 도대체 여성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오? 

 Was will das Weib?    What does a woman want?  

간략해설:  Marie Bonaparte (2 July 1882 – 21 September 1962)공주는 프랑스 나폴레옹황제의 손녀이며, 저자이자 정신분석학자로서, Sigmund Freud와 매우 친밀했다. 그녀의 부유함 덕택에 정신분석학은  프랑스에서 대중적 인기를 누릴 수 있었으며, 또한  절체절명(絕體絕命)의  위기에  빠졌던 프로이드는,  나치 독일로부터  무사히 피신할 수 있었다.   그와 같은 Marie Bonaparte 에게  프로이드가  던진  위대한 질문이  바로 , 도대체 여성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오?”였다. 이것은 여성의 영혼과 정신에 대하여 30년이나  체계적으로 연구해왔던  프로이드조차  답변할 수 없었던 위대한 질문이었다.        

사견:(여성에 대하여 열심히 연구할수록 미궁에 빠지고 있음을 느꼈던 프로이드가 얼마나 궁금했을까! )   여성을 단편적이며 획일적으로 분석하거나, 여성에 대하여 함부로 정의 내리려는 자들은, 모두 자신의 무덤을 파게 될 것이로다!남성들이여!  여성을  남성입장에서 분석하지 말지어다!여성은 논리적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총체적인 삘(feel)의 대상이다. 그저 기꺼이 충복이 되어 사랑하고 존중하고 책임지고 섬겨라! 그런 연후에야 겨우 쪼끔씩 여성의 위대함을 이해할 수 있으리라! 그것만으로도 높은 수준까지 도달한  성공한 삶이라 여겨라! 여성의 입장 또한 남성에 대하여  마찬가지이리라!       

   Sigmund Freud: Life and Work (Hogarth Press, 1953) by Ernest Jones, Vol. 2,   


45. 

미국이란 나라는 실패작이다. 명백하게 어마어마한 실패작(a gigantic mistake)이다.물론 미국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역시, 다시 생각해봐도,  실패작이다. ㅋ

(사견: 이러한 프로이드의 선견지명과 통찰이 있었기에, 미국은  개과천선하여  그나마  오늘날까지 존속할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물론 아직도 문제투성이지만!)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Years of maturity, 1901-1919‎ (1957) by Ernest Jones, p. 60        


 46.

자아(ego 自我)는 이드(id)의 일부이다 . 이드는 외부세계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 자아 (自我):   나. 자기. 자기 자신에 관한 각 개인의 의식 또는 관념. 곧, 의식자가 다른 의식자 및 대상으로부터 스스로를 구별하는 자칭.↔비아(非我).   

** 이드: 정신 분석학 용어로, 인간 정신의 밑바닥에 있는 본능적 에너지의 원천으로, 쾌락을 추구하며 쾌락 원칙에 지배됨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47.

자아는 나에 관한 의식 또는 관념으로, 나의 이성(理性)과  본정신을 대변하지만, 

이드는  인간 정신의 밑바닥에 있는 본능적 에너지의 원천으로서, 

본능과 열정을 대변하고, 쾌락을 추구하며, 쾌락 원칙의 지배를 받는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그에 따르면,  

엄마에 대해 품는  소년의 성적 충동이 보다 강렬해지면서, 아버지는 그 욕망 실현의 장애물로 여겨진다. 바로 여기에서  the Oedipus complex(자식이 이성의 어버이에 대하여 무의식적으로 품는 성적인 사모; 특히 아들의 어머니에 대한 성적 사모: cf. Electra complex) 가 시작된다. 소년은 자기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하게 됨으로써, 적대적인 색채를 띠며, 아버지를 제거해버리고  아버지 대신 엄마를 차지해버리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48.

우리는 무의식[The Unconscious, das Unbewußte]의 개념을 억압이론을 통해 도출해낼 수 있다. 

무의식에는 두 종류가  있다. 

억압되었지만 주의를 기울여 집중함(cathexis)으로써, 의식이나 기억에 나타나는 잠재의식으로서의 전의식(前意識pre-consciousness)과, 

강하게 억압되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의식할 수 없는 무의식(無意識unconsciousness)이 그것이다. 

이러한 무의식은 꿈, 최면, 정신분석, 실책행동, 아무런 연결 없이 떠오르는 생각 등에 따르지 아니하고는 

의식되지 않는 상태로, 정신 상태에 영향을 주는 마음의 심층을 차지하고 있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49. 

정신활동은 깨어 있는 상태나 잠든 상태에서도 항상 진행되며, 단지 소량의 정신활동만이 의식 영역에서 일어난다. 본능적 욕망(欲望)이나 정동(情動)은, 의식적으로 표출되기를 소망하지만, 자아와 초자아 세력의 반대를 불러일으켜, 결코 의식화되지 않는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50.

지형학적 심리모델에서 억압 장벽무의식 체계와  전의식 체계의 접점에 위치하고, 

  구조적 심리모델에서 억압 장벽은 원(초적) 본능과 자아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51.

아동기의 욕망(欲望)이나 정동(情動)은,

 전의식이 무의식에 부가하는 엄격한 검열에 의해 의식에 접근하지 못한다. 

아직 이차 사고 과정이 발달하지 않은 아동의 정신 안에서 억압된다(일차적 억압).” 이것이 “고착”으로 인도되는 “수동적 지체”(passive lagging behind)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52. 

억압[repression]은 규범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본능적 욕동 파생물과 그것의 충동적 힘이,  의식으로부터 제거되는 방어 과정이다. 

 피억압 요소들은 무의식 속에 도사리고 있다가 

호시탐탐   우리의 과도한 흥분, 불안, 갈등 등의 고통스런 정서를 자극할 수 있다.

 억압은, 반대집중(anticathexis)이라는 특별한 힘에 의해, 경제적으로 분배된  정신 에너지에  의하여 유지된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53.

일차억압(=원 억압)은 후기 아동기와 청소년기 그리고 성인기에 일어나는 본 억압(proper repression 이차 억압; 결과적 억압)의 전제 조건이 된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54.

무의식적 정동(情動:희로애락의 급격한 감정, 타오르는 듯한 애정, 강렬한 증오 등)들은 억압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억압된 내용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으면서도 의식이  규범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히 다른 생각들로 전치(轉置)될 수 있다.

 이러한 무의식적 파생물 중 일부는 대체물 형성이나 증상을 통해서 의식에 도달하지만, 대개는 전의식과 의식 사이에 있는, 이차적 검열에 걸려 무의식으로 되돌아간다. (반대집중:anticathexis)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55.

본능적 충동들(원초적 본능들)은 무의식 안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거나 모순되지 않게 나란히 존재할 수 있다. 

무의식에는 반대, 의심, 또는 확실성도 없으며, 여기에서의 본능적인  에너지 집중(cathexis)은 유동적이며, 쉽게 전치되고, 자유자재로 응축(凝縮)된다.  

무의식적 정신활동과정은, 현실관계 없이, 논리적 사고 없이 , 시간개념 없이,  오직 쾌락 원리만을  따른다. 

특히 금지되었던 아동기의 소망들이 무의식에서 꾸밈없이 당당하게 드러난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56. 

무의식 안에는, 무의식적 요소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자아를 구성하는 요소들(방어 기제,  일반적 정서 등)과 

초자아(도덕,  규범 , 양심,기준)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것이 곧 프로이드의 '무의식의 삼중 구조 지형학 이론'입니다.)

The Ego and the Id (German: Das Ich und das Es)  1923.



굿 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