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일본을 닮아 가는가? <서평>

in #kr7 years ago

스팀에서 활동하는 @pyorinho라고 합니다

요금 코인시장이 너무 활발해서 정신 없으신 것 같아 부동산 뉴스를 전해보려고 합니다.

아무리 코인판이 핫하다고 해도

우리나라 자본의 75%가 묶여있는 부동산시장은 누구나 다 관심을 가지고 보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너무 없어서 책을 못보던 차에 2016년에 나온 책 한권을 보게 됩니다.

이 책인데요

우리나라 경제나 사회 문화들이 일본을 많이 따라간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으실겁니다,

일본의 사회적이슈들이 한국에 10년이나 길게는 20년뒤에 나타나는데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분석하고 우리의 미래를 준비하자라는 생각에서 나온 책인 것 같습니다

짧게 요약해 보자면

  • 세계경제는 호황과 불황의 서클을 가지고 있다.

  • 경제의 잠재력은 생산요소의 측면인 자본, 노동, 생산성 으로 보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원자재의 비중이 75%나 된다.

  • 2033년의 노령화인구는 23.3%로 일본보다 빠르게 늘어날 것이다.

  • 그들의 부동산시장에서의 SPC(자산유동화 법률, 리츠)법이나 도시재생특별법은 배울점이 있다.

*새로운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을 기존 제조업의 잔화 및 서비스화 혁신 과정에서 연계적으로 발전시키면서 생산성 증가율을 높게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평생 현역으로 활동하고 자기계발이 필요하다.

()

그래프를 보시면 부동산 버블이 꺼지게 된 이유는 분명합니다. 인구는 계속줄고있는데 공급량은 그래로입니다. 미국의 경우도 공급량을 줄이고있군요

(

우리나라 전문가들의 의견도 비슷합니다 인구는 주는데 입주물량이 과도해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GDP대비 민간신용(가계부채+ 비금융기관부채).PNG

GDP대비 민간신용(가계부채+비금융기관부채)비율입니다. 98년 자산유동화의 관한 법률(SPC법)을 발효하면서부터 확실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ㅂㄱㅎ정부떄 오히려 LTV와 DTI비율을 오히려 높이면서 가계부채비중이 엄청나게 높아졌죠.

2015년 정보를 바탕으로 쓴 글이라 지금은 상황이 많이 바뀌였습니다 ()
세계무역량은 늘고 있으며
()

선진국의 실업률도 줄고 있습니다

()

세계적으로 경기가 좋아짐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3년이후의 물량도 많이 상승하고 있으나

이번정부는 아파트 보유세를 5-10%이상 올린다고 하니 우리나라도 바른 규제가 필요한 시점인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참 책을 읽고 느끼고 쓰고싶은 것이 많았는데 막상 포스팅은 아직 미흡한 점이 많습니다

고수님들의 피드백은 얼마든지 감사하게 수용하겠고

개선사항도 가감없이 말씀해주세요

유용한 정보였길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Sort:  

유익한 글이네요
팔로우와 업봇하고 갑니다
시간나면 제 글도 봐주세요

그럴게요 ^^ 보트감사합니다

한국 부동산 버블이 언제꺼질까요ㅋㅋ 팔로우 하고 갑니다

팔로우감사합니다 ^^ 안꺼질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하고싶었는데, 데이터가 부족했습니다 ㅠ

부동산이 꺼져야 좋지 않을까요?
잘 모르겠네요.

부동산 거품이 아무래도 꺼져야 좋을텐데 일본처럼 버블이 순식간에 없어진다면 장기경기침체로 들어갈 가능이 크니 조심하자라는 책인거 같습니다 ^^

뉴비 인사드려요~업봇하고 팔로우하고 갑니다^^

일본 문화를 좋아하는 저로서는 흥미롭습니다^^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