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개인의 주식투자 실패원인 모음

in #kr7 years ago (edited)

주식투자 실패 원인 11가지

1. 잘못된 참여시기 조절(Timing문제)

거래량이 급증하며 주가가 오를 때에는 매도를 고려해야 하며 거래량이 적고 주가가 오르지 않을 때에는 매수를 고려해야 하는데 일반투자자는 주가가 비쌀 때 몰리고 쌀 때 떠납니다.

2. 잘못된 성장주 선정

국내 주식시장의 상장기업 1,800개 중에서 성장주는 별로 없습니다(아주 적다). 이익은 나지만 성장정체기업의 주가패턴은 BOX권을 나타내고 있으며, 내수관련주는 성장정체우려가 큽니다.

상장기업의 이익패턴을 보면 이익증가 10∼20%, 이익정체 50∼60%, 이익감소20∼30%입니다. 성장주가 얼마 없기 때문에 잘못된 성장주선정으로 손실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본전심리작용

수익종목과 손실종목이 있을 때 보통의 일반투자자는 이익이 난 종목을 매도한 후 손실이 난 종목을 추가매수 합니다. 손실보전심리가 작용하여 먹을 땐 조금, 잃을 땐 많이 손해를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적은 보유종목 수

특정종목에 집중투자하거나 보유종목수가 적으면 위험에 빠지기 쉬우며 불안한 심리를 극복하기 어렵습니다. 샀는데 빠지면 본의 아니게 중장기투자가 되기도 합니다. 심리극복을 위해서 분산투자로 비중을 줄여야 합니다.

개인투자자는 본인의 관리능력 범위 내에서 보유종목이 많을수록 좋습니다. 그리고 평균수익률 개념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합니다. 모든 종목이 전부 수익을 보면 더 이상 바랄게 없습니다만 현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5. Chart위주의 기술적분석

통계상으로 시중에 나온 증권관련 책 중에서 기업의 본질을 설명하는 기본적분석을 다룬 책은 10%정도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Chart를 통한 기술적분석에는 장점도 있는 게 사실이지만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습니다.

세력들은 회사내용을 점검한 후 기본적분석 위주의 투자를 하며 기술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정도로 활용합니다.

6. 저PER는 싸고, 고PER주는 비싸다는 잘못된 인식

주가수익비율(PER)=주당시가/주당이익으로 계산하는데 이는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저PER주가 주가가 오르지 못하고 싼 이유는 미래가 불투명하기 때문입니다.

주식시장은 현재보다 미래실적을 더 중요시 합니다

미래실적이 불확실한 주식은 저PER일지라도 결코 싸다고 볼 수 없습니다. 절호의 기회를 주는 성장주식은 미래이익이 기존이익보다 같거나 커야합니다.

참고로 코스피 상장기업 평균PER은 12배이며 분포도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PER 10배가 50%, 12∼15배가 20%, 7∼8배가 20%, 20∼30배가 10%를 차지합니다.

평균PER인 12배보다 높은 고PER주는 할증거래 되고 저PER주는 할인거래 됩니다. 분포도에서 보듯이 할증거래 되는 고PER주식을 팔고 할인거래 되는 저PER주식을 사면 반대로 손실이 커집니다.

7. 적정PER에 대한 이해부족

적정주가=실적∗적정PER으로 계산합니다. 꾸준히 이익을 내고 실적은 좋지만 이익이 정체한 경우 주가가 오르지 못하고 박스권에 머무는 이유는

매년 일정한 이익을 내는 회사의 경우 자산의 증가 즉 누적이익은 증가하지만 수익률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장에서 할인거래 됩니다. 매해 전년도보다 이익이 증가해야 할증거래 되어 주가가 상승합니다.

8. 손절에 대한 잘못된 이해

자기만의 기준을 설정하라는 말은 주식을 산 가격에서 일정폭(5∼7%) 하락하면 무조건 팔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보유종목이 성장하는 기업이고 Valuation이 낮으면 물려있더라도

가급적 보유관점에서 접근해야 하고 성장하는 기업이 본인이 전망한 것보다 약해지거나 꺾일 때에는 손절처리를 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이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회사는 일시적으로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손절처리 하지 말고 기다려야 합니다.

9. Analyst의 리포트 맹신

Analyst는 국내 주식이나 파생상품을 분석 후 투자전략을 제시하는데 맞는 경우도 있지만 거의 다 틀립니다. 특히 리포트 내는 시점이 중요합니다. 매수의견을 내는 시점은 주가가 상당히 많이 오른 후라는 겁니다.

따라서 개인투자자는 추가매수보다는 매도시점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리포트는 분석에 참고용으로만 활용하고 신중한 투자결정이 중요합니다.

10. 막연한 기대감

주가가 언젠가는 올라오리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갖고 기다리다가는 낭패를 당합니다. 악재를 만나 주가는 하염없이 하락하고 있는데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바라만보고 있으면 더 큰 손실로 이어집니다.

향후 실적 등이 좋아질 기업이 아니라면 매도처리하고 종목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보유종목에 대한 내용을 철저히 점검해서 대처해야 합니다.

11. 고정관념

세력 즉 기관, 외국인이 사면 오른다는 것과 미국시장이 오르면 국내시장도 오른다는 등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해야 합니다.

세력들은 시황에 따라 사고팔 때 강약을 조절하기 때문에 사도 안 오르는 경우도 많고 팔 때도 안 빠지는 경우도 많으며 미국시장과 국내시장이 국내외사정의 변화에 의해 De-coupling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주식투자자에게는 유연한사고가 필요합니다.


성공투자 하세요. 감사합니다.

Sort:  

초보에게 매우 좋은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팔로우할게요

저에게 꼭 필요한 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pys님 저도 몇가지가 해당되는 것 같습니다. ㅎㅎ
아주 중요한 몇가지네요.. 휴..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시작하는 기분으로
투자에 임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해요, 늘 고맙습니다.

어렵습니다.....좋은정보감솨드립니다.

아 저놈의 본전 심리와 손절이 문제인듯해요 ㅎ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요새 글로발하게 장이 미쳐날뛰어서ㅜㅜㅜ 성투하세요!!

감사합니다. 팔로우할게요.

초보자들한테 읽고 시작하면 도움 되는 글입니다 팔로우하고 가겠습니다 맞 팔 부탁드려요

오래전 글인데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팔로우할게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하나 하나씩 배우고 있습니다.

오래된 글인데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팔로우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