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정말 중요한 사실이지만, 당신은 그 기능을 아직 잘 모릅니다 (스팀송금시)

in #kr7 years ago (edited)

03_new_s.JPG

정말 중요한 사실이지만, 당신은 그 기능을 아직 잘 모릅니다 (스팀잇 송금시)


안녕하세요 @skt1 입니다.
연재중이었던 전자화폐이야기 ch4. 플랫폼중요성 그 다섯번재 이야기를 작성 중에, 잘 진도가 나가지 않아 몇 시간째^^; 글을 보기만 하다가 아마도 대부분의 분들이 잘 모르고 있을 것 같다는 내용이 있어서 공유와 의견을 드려보고자 합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스팀잇 내부에서 (즉, 스팀잇에 계정별로 생성되어 있는 스팀의 지갑)에 내부로의 전송시 지갑의 전송(transfer)기능을 사용하여 계정명, 그리고 금액을 입력후 (필요한 경우 메모를 입력 할 수 있구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순식간에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메모기능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로인해 위험성(프라이버시가)이 그대로 노출된다" 입니다.

최근의 해킹사고와, 계정을 도난당하는 사례들의 포스팅을 보면, 부주의 하여 Memo란에 개인키(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등은 이미 여러 차례 접한적 있습니다. 이 위험성에 대해서는 많은 언급도 있었습니다.

게다가. 여러 목적으로 인해서 공신력있는 기록을 위해 일부러 라고 "무슨무슨일로.. 뭐뭐때문에..." 등 개인적인 내용을 기입한 채 송금을 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있습니다.

원문의 저자가 본 기능을 이야기 하면서 사실 언급하는 내용은 후자 입니다. 전자인 Memo란에 비밀번호를 넣으면 해커가 아니더라도 너무나 손쉽게 당신의 계정(스팀지갑)을 분실 할수 있어의 내용은 당장 사고로 연결될수 있기에 이런 실수를 하지 말아야 하는것은 "반드시"해야 할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며, "후자인 Memo기능은 반드시 기록은 결국 스팀이라는 체인으로 기록됨으로 위변조나 장부(기록물)로써의 기능이 보장되다 보니, 유의해야 한다" 의 취치입니다.

조금 더 직접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아래 두 화면을 한번 보여드립니다.

02.JPG

그리고 이 화면은 어떠신가요??

03.JPG

혹시 위 두 화면의 차이점을 발견 하셨나요??
발견 못하신 분을 위해서 두번째 그림을 조금 확대해 봅니다.

04.png

"아하.." 라고 하셨을 것 같습니다.
사실 아주 간단하지만 아주 강력할 수 있는 이 기능은 스팀잇이라는 사이트 내부에서의 전송시 도 활용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스팀잇 아닌곳의 스팀지갑으로 보낼때도 유용할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노출에 많은 기여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대 놓고 난 내 전송시 메모기록(정말 메모든, 계좌든, 또다른 프라이버시 성격의 내용이든 간에)을 남겨야해, 라고 한다면,
말릴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무엇 보다 중요한 것은 그 내용을 모두에게 대놓고 공개해야해 라는 것이 아니라면, 한번 쯤 꼭 생각해 봐야 할 아주 중요한 기능일 것입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혹시 제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Vote 클릭으로 추천을 하실수 있습니다. resteem 기능을 통해 또 다른 누군가에게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Follow 아이콘을 클릭하여 구독 하실 수 있습니다. ]

Sort: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sigizzang 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월렛은 전체공개가 되고 있는데
암호화를 안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메모를 포함한 개인정보의 덩어리인데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갑의 전체공개라 보기보다는, 해당 지갑에서 발생한 트랜잭션의 공개가 아닐까 합니다.
이는 이더든 비트코인이든 트랜젝션이 모두 공개되는 것과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 같구요..
다만, 스팀의 경우 지갑주소에 별칭과 같이 매핑되어 있는 간단한 아이디가 (마치 토큰형태처럼) 이를 대신 해주는 편의기능이 제공되다보니, 오히려 실수를 만들어 내기도 하는것 같습니다. ^^

유익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궁금한 점이 있는데 복사 붙혀넣기를 하는 것 만으로도
체인상에 기록이 되는 겁니까? 아니면 확인까지 눌러야 기록이 되는겁니까?

확인을 누르셔야 체인에 등록됩니다.

@leesunmoo 님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당장은 쓸일이 없어 보이는 기능이긴 한데,
문제가 없길 바랍니다.

@richbaek 님 감사합니다.

와우.... 드디어 메모키를 사용한 메모 암호화가 지원되는건가요? 제가 예상하는 대로라면 좋은데요. 에스크로 기능에 메모암호화까지....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leesunmoo 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저런 기능이 있었군요

꾸준하게 제 포스팅의 독자가 되어 주셔서~ ^^ @acceptkim 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의견도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 배울게 많은 저로서는 좋은 내용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고 하시니.~ 뿌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몰랐던 기능 덕분에 알았습니다. 참 스팀이 불친절한게,
꼭 필요한 기능들이 꼭꼭 숨겨져 잇는 경우가 많아요ㅜ
더 직관적이고 사용자 편의가 높아지는 스팀이 됐음 하네요.
잘보고 갑니다^^

^^ 공감합니다. 사실 영문기반이라 가이드든 정말 유용한 기능이 있음에도, 저 역시도 접근이 쉽지 않다는 느낌은 분명 있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글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조심 또 조심, 확인 또 확인 해야겠어요.

특히 거래 트랜젝션 기록의 기본값이 공개라는 점은 정말 유의 또 유의, 조심 또 조심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근에 수팀잇 시작해서 이것저것 배우고 있는데 유익한 정보네요 ㅎㅎ팔로우 보팅하고갑니다 ㅎㅎ 맛팔부탁드릴께요~~

@jsmpsj 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되셨다니 저도 감사합니다~ 저도 팔로우 하겠습니다~ ^^

누르고 쓰면 비밀댓글 되는걸까요? ㅎㅎ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샾 누르니 글씨가 커졌습니다 두둥

댓글의 샾은 마크다운 문법이 적용됨으로~ 비밀글과는 다르죵..~
일부러 그러신거죠? ^^; @hjoon 님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팔로우합니다 ㅎ
private를 위해서는 처음부분에 #만 추가하면 되는건가요?

넵. 전송기능시 #을 추가 하시면, 퍼블릭이 브라이빗으로 변경됩니다~ ^^
@inhigh 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은 번역과 예시 감사드립니다.ㅎㅎ 새로알아갑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