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업뎃#2] 미국 버지니아 주 정부 주도의 700억 넘게 투자된 채굴장 트위터.

in #kr6 years ago (edited)

P.S ] 오늘 정부 규제책으로 채굴장은 못한다고 하면서 전화가 왔네요.

시작할때만 해도, 제조업이 죽어가는 상황에서 어차피 죽어가는 산업단지내 공간에 몇달 째 임대도 안나가고 있었고,
또한, 시작할때 부터 전기는 모두 일반용으로 상가와 똑같은 비용을 지급하고 있는상황이고, 이는 작년 상반기
한전에서 대대적으로 전국을 실사하여서 , 거의 다 전력발전기금 3.3% 에 일반용 요금제로, 부가세 등도 꼬박 끊어주고 있는 상황인데 말이죠.
도리어 , 전기가격이 예상보다 20~30%이상 올라서, 한계이익 상황인데 말이죠.
정직하게 하면 더 피해 보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또한, 더 크게 할수 있는 같은 공장안의 바로 옆 수백평 부지는 입지상 몇년째 단지 주인은 임대도 못놓아서, 1년에 몇억싞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작년 채굴성이 좋아서, 전기 상황이 양호한곳은 모두 비싸게 임대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와서 투자한것 다 모르겠고, 법에 안맞으니, 소급적용해서 나가야 된다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합니다.

제가 어제 트윗을 발견하여 올린것이지만, 이것을 보니, 채굴도 중앙에서 독식을 하겠다는 글로벌한 중앙정부의 쇼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말이죠. 그렇게 되면 그 블록체인은 죽습니다. 지들 대형고래들이 짬짬이로 해먹을수 있다는 말은 블록체인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분산형 P2P 데이터베이스를 쓰면 되는것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그렇게 해서 퍼블릭 P2P 블록체인 암호화폐를 독식해봤자, P2P 개미들은 떠납니다. 그럼 시장참여자가 없어지기

때문에 그 블록체인의 신뢰는 0 에 수렴합니다. 신뢰의 가치가 바닥으로 가는 것은 그 블록체인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또한, 진짜 P2P 비트코인처럼 주체도 없고 네트워크 상에 떠도는 새로운 새끼 블록체인들이 나타나고, P2P 로 DeCentral Exchange 상에서 네트워크상에서 거래되고, 현실의 화폐와는 P2P 로 현금으로 교환하게 될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진짜 토르같은곳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최근 언론에서 중국이나 미국의 암호화폐 및 채굴 규제 얘기가 나오는데, 제가 보기에는 다 뻥카이고, 그것은 곧 중앙정부들이 이 새로운 산업을 P2P 에서 뺏어서 중앙화 및 독식을 하기 위한 하나의 전 과정이라는게 확신에 가까워옵니다.

사실상 중앙화된 블록체인은 그들만의 리그 입니다. 어차피 맘먹으면 임의의 51% 어택및 블록조작이 가능한데, 뭐하러 블록체인을 씁니까?
그냥, 분산 P2P DB에 보안 조금 걸면 그만이죠.


최근 암호화폐 규제의 원조 격인 중국, 미국의 사례를 공유합니다.

최근 언론에서 중국이나 미국의 암호화폐 및 채굴 규제 얘기가 나오는데,

여기 커뮤니티 에 계신 중국 현지 채굴장 분위기나 그쪽 분위기를 보면 현상은 딴 판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즉, 각 국가별로 언론으로는 죽이기 정책을 립서비스 하지만, 뒤로는 실리 챙기기를 하고 있습니다.

미국 버지니아 주 정부 주도의 700억 넘게 투자된 채굴장 트위터.

이제 글로벌한 4차 산업 생태계의 블록체인 채굴 및 이것이 새로운 디지털 이코노미의 부정할수 없는 한축이 되었다 봅니다.

추가 , 커뮤니티 댓글중 :
저번주에는 뉴스보니 러시아에서 발전소 두개를 채굴 공장 돌리려고 구입했다고 하던데 규모들이 엄청나네요.

원 링크는 현재 조회수 5000 이 넘어 갑니다.

https://www.ddengle.com/miningbitcoin_voted/5287696

저도 제대로 않읽고 댓글을 달았었네요. 정부 투자금액 $500k 맞습니다. Bcause llc가 자체적으로 $65M을 들여 하는 사업에 시정부가 $500k를 투자해주는 것이네요. 뭔가 정부가 투자해주는 모양새만 내려는 느낌이네요. 제 견해는 사기업도 아닌 정부가 전세계적 규제 트랜드아래 $65M이란돈을 투자한다는게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거든요. 더군다나 앞서 뎃글에서와 같이 사진은 실제 지어질 공장규모의 채굴장과 관련없는 사진 같습니다.

어쨎거나, $65M 엄청난것이고, 주정부가 $500K (6억) 을 매칭으로 투자한다는것 자체가, 미국의 규제상황에서는 간보기라고 봅니다. 사진은 참조라고 보고요.
$65M 된다고 하면 저정도 규모보다 클수 있다 봅니다.

또한, $65M 이면 분명히 주 정부가 중계해서, 지역내 Banker 나 VC 와 투자 진행이 될것입니다.
그럼 별도의 옵션들이 붙을것이구요.

일단, $65M 라는 규모가 나왔는데, 주정부가 들어가 있다는것은 약 10%지분이고, 직간접 계약이 있을것입니다.

중요한것은 주 정부도, 상황봐서 매칭들어갔으니, 어떤 형태로든 지분들어가는 형식이고, 단지, 금액적으로는 여차하면 발뺏다 넣었다 할수있는 키를 가졌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정부 주도로 해석해도 됩니다.

여론에 따라서,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

잘 이해하였습니다. 그렇게 이해해야 하는 것이군요. 감사합니다!

그러니까, 표면적인 내용이 중요한게 아니라,

그 이면의 중앙정부들의 속셈은 뻔한것입니다.

P2P 에게서 한번 뺏어볼라는 것입니다.

글로벌로 XX넘들이 글로벌 P2P 를 대상으로 간보기 하고 있다 봅니다.

유투브에 영상까지 있네요. 역시나 사진은 이번 투자와 관련이 없어보입니다. 규모도 사진속의 데이터 센터만큼 크지 않은것 같구요. 제목의 정부주도하의 700억대 투자는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https://www.google.com/amp/s/www.washingtonpost.com/amphtml/local/virginia-city-invests-500k-in-bitcoin-mining-facility/2018/01/17/32410fe0-fbf3-11e7-9b5d-bbf0da31214d_story.html

저는 그렇게 안봐요>

"100 full-time jobs to the area with an average annual salary of $60,000"

7000만원 연봉 100명을 풀타임으로 고용창출을 위해서 버지니아 주 정부가 일부 투자하는것입니다.
명목상의 이유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고용창출 입니다.

그 이면은 모릅니다.

규제상황에서 위의 내용을 이유로 들어갔다면, 반응이 좋으면 더 들어갈 명분도 생깁니다.
표면적으로만 보기에는 의미심장한 기사라 보입니다>

아예 우리나라도, 저런식으로라도 글로벌 눈치보기를 극복하고, 뒤로는 P2P 의 산업을 키우는쪽으로 가야 하는데, XX병XX같습니다.

저 기사를 보고 나니 버지니아 주가 똑똑하네요. 비트 못 잡아먹어 안달인, 월가나, 누구들하고는 다르게요.

300~500세트 채굴장평균 1명 정도로 저는 보는데, 좀 더 쓴다고 해도 , 5000세트 이상규모입니다.
또한, 여러 오퍼레이팅 관련해서는 그 주안의 IT 업체들이 붙겠죠.
새로운 산업이고, 주지사 입장에서는 Why Not!! 입니다.

대형 채굴장이 진화할수록 개인 이나 소형 은 문닫을 상황 입니다 별로 달갑지 않네요

p2p 라는게, 작으면 작은대로, 크면 큰대로 같이 줍줍 하는것이지, 혼자서 먹겠다 그럼 코인가격이 떨어져서 , 채산성이 없어지면 큰놈은 죽게 되어있어요. 이게 블록체인의 오묘함 입니다. ^^
한번 지켜 보세요~

솔직히 채굴은 전기로 생산하는건데 우려스럽네요. 저또한 하고있지만
좋아요 글쎄요
입이 떡!! 벌어지네여

사진보니 헉 소리날 정도로 크네요.

최근 정부 대응을 보면서 아예 국가주도로 채굴사업에 투자하여 공급부족을 해소하면 어떨까 생각했었는데 미국은 이미 하고 있었군요.

확실히 저 방법이 서로 윈윈하는 방법이죠.
갈라파고스 만들어 놓고 프리미엄이 생기면 투기가 문제라며 수요에 범죄프레임을 씌워 때려잡는게 말이 됩니까?

개인적으로 국가에서 채굴을 장려하는 국가는 향후 부강하게 될 겁니다.

나라 정책하는사람은 자기돈이나 생각하지
국가 미래나 국민들은 안중에 이미 없습니다.

어마어마하군요. 이건 머 중기업 공장정도 되네요.
왠만한 공장 저리가라네요 ㅎㄷㄷ

천장이 높아 2,3층으로 쌓을 수 있겠네요

발전소 같어유.~

새로 공장만든건 아니고 기존 폐공장을 용도변경해서 쓰는것 같네요. 우리나라도 저런식으로 활용을 좀 하면 좋겠습니다.

규제할 생각만 하지말고 ㄷㄷㄷㄷ 사실 코인 생산은 외화버는거나 마찬가지라고 봐야되는데 말이죠 ㄷㄷㄷ

저번주에는 뉴스보니 러시아에서 발전소 두개를 채굴 공장 돌리려고 구입했다고 하던데 규모들이 엄청나네요.

소규모 채굴장 말라 죽을지도 모르겠네요
치킨게임 의 서막 일수도

그러게요.
지금 정부의 하는 규제및 이것도 도리어 소규모 채굴장 및 시설들을 죽이려고 하는 정책같아요.
뒤로는 대규모로 준비하면서.
같이 먹고 살아야 하는데..

오 채굴장도 정말 멋지네요..ㄷㄷ 이제까지 불법 다단계 악의 소굴 정도로 치부되던 채굴장이 첨단 대규모 이미지를 갖추기 시작했네요..

상대적으로 저렴 하군요
은행 IDC센타 전기공사만 몇 천억 공사던데

채산성 따지면, 비싸게 IDC 처럼 못해요~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특히 얼마전 중국에서 채굴장 위주 블록체인 말살 정책 한다는 웃기는 찌라시가 불가능 한게 바로 이런 이유도 있구요....작년에 중국 시장 문 닫은게 오히려 장기적 호재 입니다

....

미국버지니아주채굴장.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