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유저는 어떻게 채굴자들에 대항했나

in #kr6 years ago (edited)

뭐 좀더 정확히는 개발자가 계획하고
유저가 참여한 봉기.. 라고 해야겠네요.

작년 채굴자와 개발자의 전쟁이 있었죠.
그 전쟁에서는 개발자의 무기는 UASF 였습니다.

유저가 활성화하는 소프트포크라는 것인데
어려우니까 그냥 채굴하지 않는 유저라도
어느정도 대항할 수 있게 하는 방법..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51% 공격도 그렇고 중국의 채굴자 파워얘기도 그렇고
블록체인은 채굴에 의해 이뤄지기에
채굴은 암호화폐에 있어 절대적인 힘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당시 유저들이 대체
어떻게 채굴자에 대항할 수 있었는지
그것이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고심끝에

편한 길을 택했습니다

그래도 스팀잇을 하면서 강제적으로 지식은 쌓여갔고
시간이 지나 블록체인의 네트웤에 대해서
조금 더 알게 되었죠. 그리고 그때서야 이해했습니다.
어떻게 유저가 채굴자에 대항할 수 있었는지..

나의 지갑은 무슨일을 할까?


어떤 암호화 화폐라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
지갑 프로그램입니다.

채굴자가 채굴 프로그램을 쓴다면
유저들은 지갑 프로그램을 사용하죠.
(단, 웹지갑, 거래소 지갑은 제외입니다)

지갑 프로그램을 통해서야 코인 거래가 가능하니까요
한데 이 지갑 프로그램이 단순히 코인 거래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프로그램을 켠 순간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일'하기 시작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거래정보나 블록이 날아오면
그걸 검증하고 다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이죠.

즉, 블록체인의 네트워크는
채굴자만 아니라 지갑을 켜놓은 사람도 유지에 기여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블록체인의 중요한 한축이
됩니다.

확산


채굴자는 채굴을 하여 '블록'을 발행합니다.
그걸 모아서 '블록체인'이 되죠.

이때 발행한 블록이 '체인'에 연결되기 위해선
'검증'을 받아야만 합니다.
지 스스로 하는 검증 말고 남의 검증 말이죠.
그래서 네트웤에 블록을 뿌립니다.

한데..

뿌리면 스파이더맨처럼 알아서 줍줍하는 구조가 아닙니다

자신과 연결된 애들한테 블록을 전달하는 것이죠.
그 애들이 블록을 받아서 검증을 하면
이제 또 그 애들은 자신들과 친한 애들한테 뿌립니다

이렇게 해서 거미줄처럼 기하급수적으로
퍼져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유저들의 지갑은 '검증과 전달' 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죠.

UASF의 무기


유저가 채굴자에 대항할 수 있었던 무기가 바로
이것입니다.

전달을 안하는 것이죠.

채굴자가 건네준 블록이 유저의 지갑 조건에 맞지
않으면 거부하는 것입니다.
작년의 예라면..
세그윗을 하지 않은 블록이 거부되는 것이죠
그럼 받은 블록을 자기랑 친한 애한테는 안넘겨줍니다

한편 유저의 지갑 조건에 맞춰주는 채굴자의
블록은 통과시켜줍니다.

채굴은 누가 먼저 채굴하여 최대한 빨리 많은 이들에게
'확산' 시키는가.. 의 싸움입니다.
먼저 채굴하면 당연히 먼저 전달했을테니 가장 많이
확산되어 레이스에서 승리하게 되죠.
한데 이렇게 거부하는 유저들이 있으면
다른 채굴자들에 비해 매우 불리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유저들이 내건 조건에 채굴자들이
거부할 수 없게 됩니다.

이 때문에 거대채굴 공장으로 비트코인을 좌지우지하던
우지한이 불같이 화를 내며
우지한의 난을 일으켰던 것이죠
그리고 결국 유저의 힘과 정면충돌해서 얻을게 없다고
생각한 지한이는 아예
개발자까지 수중에 잡고 있는 비캐를 내고
이게 진짜 비트임.. 라고하면서
오늘도 열심히 유저를 꼬시고 있는 것입니다 :)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KakaoTalk_20180208_191621902.jpg
자존심을 건 역대급 펌핑이 시작된다.
꼬심에 안넘어갈 수 있을까요? 헤헤헤

뭐 시세조정에 있어선 천재적이긴 합니다
최근 우따거 코인 엘레.. 뭐시기만 봐도-ㅅ-

this time should have patience, to be able to have an advantage in bitcoin and in beberaoa today has started up in a few percent, and hopefully your success always, please support him for my last post, for a long time you do not support me

우지한의 난이 이렇게 시작된 것이었군요!!!!!
저 항상 이게 궁금했거든요. 채굴자들이 횡포를 부리면 POW 코인들은 진짜 독점에 의해서 탈중앙화 될 수 없는것 아닌가 라고 고민하다가 결국 POS나 DPOS만이 답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대항할 수 있는 방법이 곳곳에 숨어있었다니 신기합니다.....정독하고 깨달은 바가 크네요 !!!!

pow 쪽이 난이도 조정 임의 개입등 악용할 방법이 더 많은건 사실입니다만..
자본 독점쪽은 오히려 pos나 dpos가 더 심합니다. pos를 돌려보면
진짜 빈익빈부익부의 절정을 맛볼수 있을겁니다 -ㅅ-;;
pow가 안그렇다는건 아니지만..
예전엔 탈중앙화가 모두가 정당하게 중앙을 벗어나는 방법이라고
착각한 때가 있었지만 지금에 와선 오히려 진정한 약육강식을
보여주고 있다고 봅니다. 약육강식안에서도 너무 심하면
전부 달아나니 어느정도 조절하는 현상이 현재의 탈중앙체제 같습니다
결국 사람들이 바라던 진짜 탈중앙은..
어느정도 중앙이 강제로 분배할 권한이 있으면서 한편 중앙이 그렇게
힘이 막강하진 않는.. 그런게 아닌가 합니다.
하지만 그런 상태는 만들기도 힘들고 오래가지도 않죠.
문명이란 게임에선 그런걸 '황금기'라고 하죠 ㅎㅎ

good post friends.

좋은 이야기와 영감. 고마워.

쉽게 잘 설명해주시니 편하게 이해 했습니다.
감사 합니다.

개인이용자도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었군요. 그런 부분때문에라도 채굴하지 않는 풀노드의 숫자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근데 비트코인 풀노드 같은 경우 유지하기가 극악의 난이도와 비용을 자랑하지요. ㅠㅠ

Enjoy the bch!

오늘도 좋은 정보 쉽고 쏙쏙 들어오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당!

오... 뭔가 알것 같으면서 잘 모르겠어요 제 한계에요...
그럼 모든 스티미언도 유저라는 건가요? 저조차도?
모두 지갑을 갖고 있잖아요.
저도 제가 모르는 사이 제 지갑이 검증이라는 걸 하고 보내주고 있는건지,
아니면,, 노드? 증인? 그들만 하는 건지..
기분내키실때 설명좀 부탁 합니다.

본문에도 살짝 언급했듯이 웹지갑은 제외입니다.
웹지갑은 필요할때만 살짝 접속하는 것이라서요.
그리고 스팀은 웹지갑이죠.-ㅅ-

하지만 스팀도 프로그램 지갑이 존재합니다.
그걸 키면 그때부터 스팀 블록체인 네트웤에 참여하게 됩니다.

좀더 나아가서 증인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스팀 증인으로 참여할 수도 있죠. 채굴에 참여키 위해선
조건이 있긴하지만..

그렇군요. 웹지갑, 프로그램 지갑이 다른 거여서 이해를 제가 못했군요.
알아야될게 참 많은 것 같아요..
가끔은 너무 많아 힘들때도 있네요...
그래도 열심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언젠가는 제가 다~ 이해할 날도 오겠죠 ㅎㅎ

오호 유저들이 단합해서 일부 채굴자의 코인을 승인하지 않으면 그 사이에 다른 채굴자가 승인받아 저항한다는거군요! 이해한게 맞나 모르겠습니다ㅠ 어쨌든 독점을 방어할 수 있는 유효한 시스템이네요

네 비슷합니다. 다만 채굴자를 지정해서 거부하는건 아니고 (어차피 통하지도 않죠)
유저들이 원하는 패치를 적용한 블록만 통과시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개발자와 유저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채굴자를 유도한다는 것이죠

음.. 지갑이 그런역할까지 하고 있었다니.. 몰랐었네요

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BCH 싫지만 가격 펌핑의 매력을 무시할 수 없네요....

사기꾼과 사업가는 정말 종이 한장 차이인것 같습니다.

악. 내눈과 뇌는 장식인가... 왜 이해를 못하고 있지.큰일입니다. 점점 이해력이 떨어지는듯해요. ㅜㅜ

괜찮아유.. 있다보면 언젠간 이해되요-ㅅ- (아마두)

처음엔 정말 우지한의 난이 성공하는 줄 알았죠 ..ㅎ

조금씩 비캐의 입지가 다져지고 있다고 봅니다. 비캐를 이제는 사심없이 객관적으로 바라볼때가 되었다 생각합니다. 너무 늦게 깨닫게 되면 후회가 큰 시장이잖아요. 저는 비캐가 비코가 되는날이 올거 같습니다.

다들 비캐를 사심있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님이 언급한 그 사심말고 말이죠.
모든 코인이 그렇죠. 우지한이 싫고 말고랑 투자는 완전히 별개의 문제입니다.
어떻게 될지는 모르죠. 경우에 따라선 비캐가 비코가 되는 날이 올수도 있고
비캐랑 비코가 다른 코인의 아래에 있을 수도 있겠죠.
전 후자쪽 가능성을 더 높이 치고 있습니다.

지한이 계속 저러다가 오래 못살지 싶습니다.

아니 오래오래 살거 같은데용-ㅅ-;;

욕을 많이 먹어서 오래 살 수도 있겠네요.

그렇군요. 근데 거부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지갑을 다운받아 업데이트 하면 됩니다.
일반버전, 거부버전 .. 뒤에 것을 사용하는거죠.

오호.... 우지한 욕심은 좀 정치적이네요. 사실은 비트코인만으로 모든게 가능했던 거로군요.

적어도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한 것들은 그렇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저는 이제 막 스티밋을 시작한 뉴비인데 좋은 정보 읽고갑니다 ㅎ
앞으로도 좋은 정보와 글을 기대하겠습니다
ㅎ 팔로우 하고 가겠습니다 ㅎ

작년 우지한의 난은 채굴자들이 딴살림 차려 독립한거죠. 하드포크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비트코인 하드포크하면 코인값 올라가니 좋은 점도 있어요.

우지한의 난은 단순히 딴살림을 차리려해서 일어난게 아닙니다
'내 것이 오리지널 비트코인이다'
라면서 한쪽을 제거하려 했기에 일어난거죠.

좋은글 감사합니다 > _ <

지한이가 올해 새로 발매하고 있는 시아코인은 잘 되려나 몰겠네요 이것도 개발자들과 마찰이 있던데 ㅋㅋ

지난해에 시끄러웠던 사건이 이러한 배경이었군요, 또 하나를 배우고 갑니다.

그렇게 시대 한물갔다고 몰아가기예는 가장 노익장이라는 타이틀이 있고 최장 기간 무해킹 운영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어서 안정적이긴 합니다. 다만 터무니없는 수수료가 저 채굴자들 덕분이죠.

늦깍이인 저는 이제서야 우지한이란 분에 대해 알게 됩니다.

웹 지갑과 프로그램 지갑, 오늘도 또 하나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서로 견제하는 구조라고 볼수있네요.

어쩌다보니 견제구조가 됐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습니다.
만약 개발자들이랑 우지한이 친했다면 유저들 의사랑
관계없이 그대로 갔겠죠.
다만.. 의견 다른 개발자도 많기 때문에 그부분이
자연스레 견제를 형성하게 된다고 볼 순 있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ㅎ

역시 우따거.... 재밌는 글이네요. 몰랐던 사실이라 ..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