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고정관념을 깨자니까요! 큐래이션 보상에 관한 계산자료

in #kr6 years ago (edited)

일단 실제로 얼마나 보상받는지 봤습니다.

구체적인 약속비율과는 조금 다를 수 있어서 실제로 제가 보팅한 자료를 가지고 계산을 했습니다.

현재 저자는 5:5 보상 조건이며 저는 30분 이후에 보팅을 했을 때 입니다.

제가 보팅을 하니 0.44$가 찍히고 그에 따른 큐래이션 보상은 0.027SP 였습니다. 전체 보상금액에서 6%정도죠.

그리고 다시 원론으로 가서 봤습니다.

아시다시피 37.5%가 SBD, 그리고 나머지 37.5%와 25%는 모두 SP로 나옵니다.

SP의 비율이 현재 3.19: 1 입니다.

이말은 보팅금액으로 100불로 가정을 하고 계산을 한다면

37.5의 sbd 과 11.75SP가 저자에게 가고 큐레이션 보상은 7.84SP로 돌아가게 됩니다

SP가 13주 묶이는 건 일단 패스 하고

SBD와SP의 가격이 같다고 한다면 37.5+11.75 : 7.84 의 비율이 됩니다

즉 6.285:1 로 가져가게 됩니다. 무려 6.3배나 더 작가가 가져가는게 현재 구조인데....

큐래이션 보상을 높이자는게 작가의 의욕을 꺽을 정도일까요?

6.285:1 ........여기서 큐레이팅은 한번 한명이며, 저자는 여러명에게 보팅을 받습니다.

동일한 스파를 가진 n명이 보팅을 할때 큐레이션 보상은 각각의 1이지만 , 저자는 6.285 x n 이 됩니다.

지금이 이런 수준인데 이 비율이 조금 바뀐다고 저자들의 창작의욕이 꺽일까요?

정확히 현재의 위치에선

투자 의욕이 꺽이진 않을까요?

그렇지 않다면 스티밋에 들어와서 흑화되지 않을 수 있을까요? 저렇게 달콤한데.. .찍고 풀봇하면 너무 달달한데..

이런 이유로 스티밋은 결국엔 창작자만 넘치게되고 온갖 편법이 넘치게 될지도 모릅니다

진정한 야바위꾼을 만드는건 현재 시스템일꺼같은데....

조금만 고정관념을 깨고 본다면 얼마나 쉽게 바꿀수 있을까요?

이렇게 이야길 하면 그럼 아예 투자자가 1:99로 가져가게 하라라고 하는 억지를 부립니다.

제가 이런 이야길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창작자에게 더 좋은 보상이 가는 게 어떤건지 생각해보기 위해서입니다.

스티밋에 난립하는 글들 속에서 본인들이 글빨만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스티밋에서 창작자의 가치가 최우선이 되는것이라는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모두가 창작자일 필요가 없는거라고 봅니다.

모두가 큐레이션을 하면 그 글은 현재 상태보다 더 좋은 글들이 더 높은 보상을 받게 될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 경쟁요인이 없어지고

  2. 투자요인으로 가격 상승이 생깁니다.

이 두 가지를 이해 못하고 인정못한다면 .....사실 일단 포스팅을 하기 전에 산수부터 배워야 합니다.

1:99로 하는 경우는 그냥 커뮤니티 문닫자는거니까 헛소리죠..그냥 dpos로 ark나 돌리시는게 날겁니다.


이건 보너스!

정확한 산정비율이 어찌될지는 모르지만 5:5의 비율일때 그리고 현재 처럼 SP로만 보상이 될때라고 가정을하면

100불이 찍힐떄

25SBD + 7.84SP가 저자에게 그리고 큐레이션으로는 7.84SP가 갑니다

즉 5:5 보상을 한다고 해도 실제로는 4.19:1 입니다. 그래도 저자가 4.2배 더 가져갑니다.

일하면서 급하게 계산한거지만 대강 비슷한 계산법일겁니다.

추가

정말 좋은글만 남는 또다른이유는 다운보팅족의 등장입니다

----------------------->?계산오류가 있었습니다.

@happyberrysboy 님이 정정해주셨습니다.

5:5 보상일때 계산이 살짝!! 틀리신것 같아요~~

원글
100불이 찍힐떄
25SBD + 7.84SP가 저자에게 그리고 큐레이션으로는 7.84SP가 갑니다
즉 5:5 보상을 한다고 해도 실제로는 4.19:1 입니다. 그래도 저자가 4.2배 더 가져갑니다.

저의 계산
SP의 비율 3.19: 1 기준으로 보면.
저자 : 25SBD + 7.84SP => 동일합니다
큐레이션 : 100불 * 0.75 * 0.5 / 3.19 = 11.76SP

32.84 : 11.76 => 2.79 : 1

요렇게 나오네요..!! 그래도 2.8배니까 양호하네요!!
이정도면 투자자도 혹!! 할수도 있겠습니다..!!

#@bumblebee2018 님의 지적에 따라서 다시 계산식 추가 했습니다.


예, 모두 이해 하고 있습니다.

윗 글에서 현행 75:25 보상이면 저자는 37.5스달+(37.5/3.19=11.76)스팀, 큐레는 (25/3.19=7.84)스팀으로 보상

50:50 보상으로 바꾼다면 저자는 25스달+(25/3.19=7.84)스팀, 큐레는 (50/3.19=15.67)스팀으로 보상

이 맞는 계산 같습니다.


즉 75:25 보상시 스팀:스달이 1:1이라면

저자:큐래 보상비는 49.26 : 7.84 이고(6.28:1)

50:50 보상시 스팀:스달이 1:1이라면

저자:큐래 보상비는 32.84: 15.67 입니다.(2.09:1)

50:50으로 하면 2:1 정도의 비율이 나옵니다.^^

Sort:  
There are 2 pages
Pages

공감 합니다.

스팀 하면서 확실히 깨우친것은
저는 글을 써가지고 돈 벌기는 어렵다는
것 입니다.
..
대신 좋은글 유용한정보는 항상 찾아 봅니다

스팀의 발전을 위한 진지한 고민이 느껴집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스팀에 투자는 했지만 구체적으로 잘 몰랐는데..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동의합니다.

아무도 하지 못하는 이야기를 총대메고 하시네요
작성자를 위해서 또한 투자자를 위해서 비율 조정이 스팀의 발전을 가져올 것 같습니다.

오치님글에 동감합니다. 스팀잇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투자자와, 창작자가 서로 공생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겠지요..


투자하기 좋은 상황이 되면 경쟁요인이 없어지고, 투자요인으로 가격이 상승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전적으로 올바른 보팅문화 혹은 시스템적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도 앵무새처럼 말하고 있는 셀봇이나.. 보팅풀에 대한 불만들을 먼저 해소하지 않고 안그래도 불평등한 보상이라고 이야기 하는 상황속에서 저자 보상까지 낮춰진다면 스팀잇을 떠나는 유저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겠죠..


물론 아무런 투자도 하지 않고.. 받는 족족 현금화를 하는 유저가 더 많은 보상을 요구하는건 잘못된 행동입니다!


댓글로 쓰니간 두서가 없네요.. 결론은 올바른 보팅 문화가 필요하다! 이겁니다! (보팅풀..이 더 활성화될까봐 두렵기도 하구요..)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깊이 오래 생각해보진 않았지만 오치님의 글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드는 생각은 창작자와 독자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로 나누는 것이 더 적절하지 않나 하는 것입니다. 스티미언들의 절대 다수는 '필자이면서 큐레이터'이기 때문입니다. 지금보다 '읽고 평가하는' 큐레이션 행위에 대한 보상이 높아진다면 필자들이 다른 필자들의 글을 더 많이 읽고 소통하고 더 많이 보팅하고 글의 새로운 아이디어도 서로 나누는 등, 결과적으로 쓰는 행위에서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이 클 것이라 생각합니다. 큐레이션에 대한 보상이 커짐으로서 손해보는 사람은 쓰기만 하고 읽지 않는 사람들일텐데 그 분들은 지식 판매상이지 공동체 구성원이라고는 할 수 없고, 그 수도 미미하리라는 생각입니다.

지지합니다.

한 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만약 스팀과 스달의 가격이 둘다 10달러로 오르면 큐레이션 보상의 실질 비율은 낮아지고 둘다 1달러로 내리면 큐레이션 보상의 실질 비율은 높아지는게 맞습니까?

그게 맞다면 이것은 일종의 버퍼 역할도 할듯한데요.

가격이 떨어지면 투자자는 큐레이션 보상을 노리고 더 적극 매수할수도 있겠습니다. 쌀때 사서 큐레이션 보상 엄청 받았다가 비싸지면 큐레이션 보상 비율이 떨어지니 팔아서 이익을 남기고, 떨어지면 다시 사고...

제대로 이해 한건지 모르겠습니다.

오호 일리가 있는 말씀입니다. ^.^;;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큐레이션 보상을 투자자 보상 수단으로 보는건 아직 현재 틀에 갖혀있는 생각인것 같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굳이 활동을 하지 않아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게 중요하다고 보고요, 제가 그래서 투자자를 위한 보상체계인 스팀마노를 실험중인 것이죠 ^^

맞습니다. 그래서 투자자, 큐레이터, 작가의 3박자가 골고루 갖추어져야 완벽해질 듯 합니다. ^.^;;

일단 보팅하고갑니다 바이러스님 짱 !

큐레이션 보상이 적긴 합니다. ㅎㅎ .. 이정도 시스템 수정이면 포크를 해야되는거죠? ㅎ

안할 수 없지요 ㄷ

현재는 가입 안하고 그냥 읽기도 좋은 것 같아요. 투자 매력은 큐레이션 수익이 좌우하는데, 이건 매력이 없어요. 뻘글이라도 쓰고, (사실 뻘글이란 걸 알면서도) 저자수익을 얻는게 이익이니 구리 한다고 생각해요.
글쓴이는 넘쳐나고 유료 독자는 몇 안됩니다. 유료독자 비율을 높이려면 유인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오치님 글에 전적으로 동의해요.
저자보상율이 1% 줄어들면 뻘글도 감소하리라 생각해요. 블록체인이니 데이터 분석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시뮬레이션이면 더 좋구요.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큐레이션 보상이 25%인가 그렇다고 들엇는데 이렇게 되는거군요 ㅋㅋ

말씀하신대로라면 확실히 더 좋은 글들이 자주 눈에 띄게 될것 같습니다. 제가 흔히 봤던 스팀잇의 슬로건.. 글의 가치, 생각의 가치가 참여자들 모두가 납득할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됬으면 좋겠어요

네, 저는 창작자 입장이지만 공감합니다.
스팀 가격이 유지되려면 스팀을 사는 사람이 있어야 할 수 밖에요...

저는 오치님말씀에 적극동의합니다. 이렇게 숫자로 검증?해주시니 감사할따름입니다. 큐레이팅보상 늘립시다!ㅎ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계산이 복잡하지만 저자가 6 배? 4배? 가져간다는 이야기죠?
창작 자만 넘쳐나고 온갖 편법이 난무 할것 같다는게 와닿네요~

바이러스님은 이제 거의 스팀 박사님이 다되셨군유

흠,, 너무 어렵네요 ,,, ㅜ

게다가 큐레이션 보상은 배분까지 하니...-_-a 더 작아 보일수도 있겠습니다. 근데 무엇보다 지금 가장 큰 문제는 로그인이나 추천 없이 무단으로 보거나 퍼가도 전혀 대책이 없다는것도 있지유

크으~~~ 좋은 분석자료 감사합니다

200%동의합니다. 큐레이션 보상이 높아지면 지금보다 어뷰징 비율이 현저히 낮아질거라 확신합니다.

음.... 잘은 머르겠지만.... 큐레이션 보상이 산정이 좀 애매하긴 하네요.... 전 아직 녹조류라....이런걸 논의할 위치가 아니긴 합니다만.....

다양한 의견이 스팀잇 팀에 반영이 되면좋겠네요

좋은 의견이고 적극 동의합니다.

너무나도 어려운 스팀잇..

저는 창작자가 아닌 100% 큐레이션으로만 활동을 하는데... 보상 비율에 대해서는 처음 알았네요...
몇시간씩 고생해서 쓴 좋은 글에 보상이 많이 가는건 충분히 공감하지만... 가끔.. 말도 안되는 뻘글에 많은 보상이 가는걸 보면... 좀 씁쓸하긴 했습니다...
아직은 스팀잇이 초창기니까... 충분한 논의가 오가면서 좋은 방향으로 개선되리라 생각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사실, 이건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같아요. 그래서 보상비율을 고정으로 못박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배비율의 종류로 구분해서 유저가 스스로 선택하라고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 같더라구요.

그런 방법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쓴 자신의 보상은 줄이고 큐레이터 보상비율을 높이 잡은 글에만 보팅이 들어갈겁니다.
그러면 글쓰는 이들은 경쟁적으로 큐레이터 보상을 높일수 밖에 없어집니다.
오히려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을수 있습니다.
무한 저가 경쟁으로 가는거죠.
만약 그런 시스템이 된다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줄 쓰고 큐레이터 보상 99.99%로 해놓은 글에 보팅하러 달려들겁니다.
좋은 글은 모두 묻히겠지요.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는 매번 나오고 있지만, 모두를 만족시키는 방법은 나오지 않고 있지요.
결국 변경 초기에는 누군가가 가져갈 수익을 다른 사람에게 줘야하는데, 반발이 많이 나옵니다. 변경 후 스팀&SBD의 가격 상승(파이 자체가 커지는 것)을 누구도 장담할 수 없고요...
그래서 여태까지 망하지는 않은 현행 방식을 기초로 계속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아ㅠ어떻게 계산을 하는지 봐도 너무 어려운거 같애요.ㅠㅎ

동의합니다.

다양한 보상비율에 대해 테스트 해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스팀잇에 대한 또 다른 점을 공부하고 가네요 ㅎ

크.. 역시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보팅하고 갑니다!!

동의합니다. 큐레이션 보상 비율을 정상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역발상이군요!! 투자의 선순환을 이끌어낼수 있을까요??

오치님 글에 공감합니다~~^^

어떤 말씀일지 알 것 같아요.

현행 저자 보상과 큐레이터 보상 비율이 문제가 있다는 것이네요.

그래서 그러한 대안으로 최근에 이슈가된 POS라는 것이 있네요...

저도 현행 비율을 고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6:1 비율은 큐레이터에게 너무 작게 돌아가요.

고래 전문 큐레이터가 양성될 기반이 약한 거지요...

현행 약 6:1에서 3:2 정도로 바뀌어야 고래들 중에서 전문 큐레이터로 하실 분들도 생길 것 같고 창작자 입장에서도 더 많은 보팅을 받을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이 비율 문제 시급히 고쳐야지 스팀에 대한 매수세를 끌어올릴 수 있을 것 같아요.

가격이 너무 하락해서 걱정입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오.. 오치님 생각지도 못했던 스팀잇의 발전가능한 방향성에 대해 제시해주셨네요!

곰곰히 생각해본결과 100번 동의 합니다!
결국 핵심은 큐레이팅 비율을 올려서 보팅하는 사람에게도 많은 보상이 가게하고 그럼으로써 더욱 보팅을 유도하여
결국은 저자에게 더 많은 보상이가게 만들어!
궁극적으로(헥헥..)!! 좋은 포스팅을 유도하는 그런
큰그림!!+_+ 백번 동의 하는 바입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와 정확한 분석~스티밋 너무합니다 ㅠㅠ잘보고갑니다~모두 화이팅 힘냅시나

제 생각에도 지금 큐레이션 비율을 좀 더 늘리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쓰는 행위도 중요하지만, 그 글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냐도 중요하니까요. 글 감사합니다.

통찰력 있는 분석 감사합니다~
금액 보상을 받는 시스템 안에서 활동하지만
그런거 개의치 않고 편안히 노는 것도 잼난듯 합니다.

사실 이게 진리죠!! ^^

잘봤습니다. 다음에 계산한번 해봐야겠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썼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 주세요.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50-50

스팀잇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좋은 글들이 올라오려면 창작자와 독자에게 합리적인 배분이 이루어져야겠습니다.

항상 스팀잇 발전을 위해 여러가지 고민을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대박사건!!

대충 알고 있는데...

자세히 들어가니 어렵네요. ㅠ

그래서 그냥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

무슨 대단한 영감 이야기! 우리와 함께 공유 해 주셔서 감사 합니다!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글 잘봤어요 ㅎ보팅하고가요^^

리스팀합니다. 좋은 의견입니다만, 다수는 큐레이터이자 작가입니다. 단순히 작가를 후원하는 역할에 만족할 사람들이 충분한가? 한번 생각해봐야한다고생각합니다

선팔하고 댓글 남기고 갑니다 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백프로 이해를 하기엔 저는 아직 ‘먼지’입자 같은 존재로써 잘은 모르지만, 정말 짧은 의미 없는 글에 높은 숫자의 달러가 찍혀있고 논문처럼 길고 그렇지만 내용 또한 좋은 컨텐츠에 0.05달러 찍혀있눈 걸 보면 ^^;;;;; 하~~~~! 싶기도 해요.

There are 2 page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