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 불패는 영원할까?

in #kr6 years ago (edited)

b.png
사람은 직접 경험하지 못한 역사에 둔감해지는 특성이 있다.

5월 중순 내가 처음 암호화화폐에 입문했던 날, 이더리움 가격은 16만원이었다. 언제 살지 망설이는 순간 가격은 계속 치솟아서 결국 18만원에 구입했던 기억이 있다. 그 당시 비트코인 대비 이더리움의 상승률이 두드러졌고, 보다 저가인 알트코인을 사는 것이 현명하게 여겨졌다. 나는 하루하루 자고 일어나면 올라있는 이더리움을 보며 여엇한 '이더리움 신도'가 되어있었다.

eth.JPG

하지만 모두가 알다시피 6월 0.15 BTC 최고점을 찍은 후, 비트대비 이더리움의 가치는 무려 5개월간 지속 하락하게된다.

내가 운이 너무 나빴기 때문에 오르기만 하던 이더리움의 가치가 갑자기 떨어졌던 것일까?
나는 지나간 과거 차트를 돌아봤다.

eth0.JPG
이더리움은 2015년 비트코인 대비 엄청난 가격 상승을 이어왔고 2016년, 무려 1년에 걸쳐 비트 대비 우하향을 겪었었다.

급격하게 상승한 가격은 오랜 기간을 걸쳐 조정된다는 당연한 사실을, 역사는 이미 보여주고 있었다.


비트 불패를 논하기 앞서, 개인적인 투자 실패 경험을 먼저 이야기한 이유는 최근 투자자들의 맹목적인 믿음이 과거의 내 모습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이 맹신하는 명제는 다음과 같다.

비트코인은 우상향한다.

베테랑 투자자 - 조정장은 코인 개수를 늘리는 기회, 조정이 마무리되면 비트코인은 다시 전고점을 돌파할 것이다.
초보 투자자 - 존버하면 승리한다더라.

btc.JPG
비트코인의 2017년 차트이다.
$1000 -> $20000 무려 20배의 가격 상승이 있었다.
지금은 희미해진 굴곡이지만 5월, 9월, 11월에 조정장이 있었고 한국 프리미엄을 포함하면 약 30~50%의 가격 조정 후 전고점을 강하게 돌파하였다.

이번에도 비슷한 수준의 조정을 겪고 있으니, 대다수의 투자 관점은 '존버'와 '능력있으면 분할 매도 후 저점 매수'이다.

btc_0.JPG
비트 불패가 신앙처럼 여겨지는 현시점에서 조심스럽게 과거 자료를 상기해본다.
2014년 마운틴 곡스 파산 사태 이후, 비트코인은 변곡점을 맞이한다.
당시 $100 수준이었던 비트코인은 $1150 최고점을 찍은 후, 1년 간 하락하며 $250에서 지루한 횡보를 이어간다.

단기간 10배 상승과 긴 하락장으로 인한 80%의 비트코인 가치 증발.

btc.JPG
다시 2017년 비트코인 차트를 가져온다.
이번 하락이 변곡점의 시작일 수도, 혹은 모두의 예상과 같은 조정장으로 대세 상승을 이어갈 수도 있다.

나는 여전히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의 열렬한 투자자이며, 블럭체인 기술이 바꿀 미래를 상상한다.
하지만, 비트코인의 상승 추세가 대세 하향으로 바뀔 가능성을 염두해 보는 것은 어떠한가?

대세 하락장으로 전환되는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은 근거에 기반한다.

i) CME 비트코인 선물 시장 이후, 거품 붕괴론

future.JPG
CME 비트코인 선물이 거래된 18일을 기점으로, 하루도 빠짐 없이 숏 공세가 이어지고 있다.
선물 하락이 현물 시세를 흔들어서 현물의 가격 하락을 유도한다.

ii) 풀리지 않은 테더 의혹

비트파이넥스 거래소가 테더를 실제 달러 없이 발행하여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유도한다는 의혹이 풀리지 않았다. 웰스 파고의 보증이 사라진 이후, 테더와 매칭되는 달러 잔액을 보증하는 은행은 명시되지 않았으며 확인할 방법이 없다. 최근에 테더 해킹 사건 또한 발생하였으며 헤프닝 처럼 지나간 전례가 있다.
이 같은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비트파이넥스 뱅크런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테더 위에 올려진 비트코인의 가치는 상당 부분 훼손될 확률이 높다.

** i)에 가담하는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주관적인 상상력이 개입되었음을 감안)

  1. 헷지 펀드(기관 투자자)
    현시점 암호화폐 시장은 매우 과열되었고, 개인의 매수세는 매도세를 압도한다.
    거대 자본을 투입하는 기관 투자자의 입장에서 개미들과 같은 'long' 포지션으로 베팅한다면 '비싼 비트코인'을 더 비싸게 매입해야 한다.
    1천만원, 1억원을 가진 개인 투자자가 '잡알트'를 매입하는 과정에서도 메로나가 발생한다. 기관의 자본으로 원하는 수량을 확보하고자 하면 엄청난 시세상승을 이끌며 매집할 수 밖에 없다.
    자본 시장은 제로썸 게임으로 한쪽이 돈을 잃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보면 기관이 개미의 편에 서는 것이 무척 어색해 보이지 않는가?

  2. 거대 채굴 집단(비트코인 대주주 or 세력)
    거대 채굴 집단의 입장에서 비트코인 가격 하락은 무조건 손해일까?
    btc_1.JPG
    비트코인은 고점을 기점으로 매우 높은 거래량이 터졌다. 이때 세력들은 비트코인 숏 포지션을 매집하고, 대량 매물을 개인에게 떠넘겼을 가능성이 있다.
    일본의 GMO를 비롯해 많은 대기업들이 비트코인 채굴 산업에 진출을 선언했다. 기존 사업자가 새로운 경쟁자를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격 하락을 유도했을 가능성을 생각해보자. 이미 시장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비트메인'의 경우, 새로운 경쟁자가 생기는 것을 원치 않을 것이다.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는 채굴기 개발 사업을 진행하는 중 하락장이 발생한다면, 신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투자에 소극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비트 불패는 영원한가.
나 역시 우려가 기우이길 바란다.

Sort:  

비트는 비트니까 왕좌를 유지하고 있는거 아닐까요?
왕이 똑똑하고 힘세서 되는건 아니니까 말이죠

감사합니다 형님!

;; ㅋㅋ

좋은 글 잘봤습니다 ㅎㅎ
뉴비에게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좋은글-깊은글 감사히 잘읽었습니다.
x글 그분이 맞으신지 모르겠네요?!
저도 예전차트를 복기 하던중 12-1월은 늘 하락했던걸보고 이번역시 그러지않을을까
막연한...걱정도 해봅니다.^^

테더는 저도 겁정입니다. 지금하락이
분명 테더로 장난친거 정리하는 것도 있는것 같아요
구체적으로 쓰기엔좀 그렇지만..ㅠㅠ

내년도에 여러가지 큰호재들이많아보여서
하락해도 다시 상승할것같아서 기대가 큽니다^^

즐거운성탄연휴보내세요^^

글 쓴지가 좀 됬는데, 아직도 비트는 하락 횡보 중이네요.
차트 상 12-1월에 하락했던 것이 반복되는 게 저도 마음에 걸렸었는데, 비슷한 흐름이 이어져 반복된다는 게 신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도 장기적인 우상향을 믿는 만큼 잘 해결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

좋은글이네요
잘 읽고 갑니다 ^_^

이것은 좋은 분석.

한국 프리미엄이 있는한은 쉽사리 마음을 놓을수 없겠지요.

거래소와 규제 문제 때문에 쉽사리 풀릴 수 없는 문제가 되어버린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여기에 더해서 비트코인 자체의 한계(기능적 한계)가 있죠. 이미 전송이 엄청 늦고 수수료가 말도 안되게 비싸졌다는 한계가 나타나서 이 부분에 대한 해소가 안된다면 이제 상징성외에는 지탱해 줄게 없을겁니다. 대중화가 되면 될수록 한계도 여실히 드러나게 되지요. 내년이야 말로 2인자, 3인자들이 '형님, 그동안 많이 해드시지 않았소?' 할지도 모르겠네요.

저도 비트코인이 수수료나 전송 속도를 개선할 의지가 없다면 가치 저장의 수단으로 역할이 제한될 것이란 입장에 동의합니다.

더 이상의 개선이 없다면 비트는 발전이 없을 듯
합니다.

비트도 계속 발전하는 중이지만, 이해 관계를 둘러싼 집단도 많고 덩치도 커서 변화가 느린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초보투자자로서 비트코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됐어요

감사합니다.
차트 뿐만 아니라 지나간 사건들도 돌아보면 도움 될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좋은글-깊은글 감사히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백서번역에 대한 감사마음을 전해드리고 싶어 인사드립니다. 일본어로읽고 영어는 대강보앗는데 한번 차근차근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MT가 수식이나 코드 부분은 좀 난해할 수 있지만, 전하고자 하는 가치는 명확해서 읽으실 때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