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포크21, 22를 마쳤고 증인수입에 대한 논의를 하고 싶습니다

in #liv5 years ago

어제 자정에 하드포크21을 마쳤으나 문제가 생겨서 또다시 오늘 자정에 하드포크22를 진행했습니다. 다행히 이번에는 큰 문제 없이 진행이 되었습니다.

수렴선형 보상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있으나 저는 일단 지켜보자는 입장입니다. 이전 글 스팀의 마지막 경제모델 변화여야만 하는 EIP에서도 밝혔듯이 이제는 스팀 토큰의 경제모델을 손보기보다는 SMT에 집중하고 스팀 경제모델의 비중은 차차 줄여가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하드포크에 도입된 MIRA는 메인노드 운영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백업노드 운영의 부담은 상당히 줄여주었습니다. 이전에는 노드 4개를 운영하면서 1,500~2,000불에 가량이 소모되었는데 이제는 그 부담이 1,000불 내외로 줄어들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요즘 다들 어려운 상황인지라 남는 수입은 증인노드 운영에 기여해주신 분들께 나누어드리는 것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 생각은 제게 프록시 설정해주신 분들 중 한 달 이상 되신 분들 중 신청자들에게 남는 수입을 지분만큼 비례해서 드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분들이 신청하면 정리하고 처리하는데 드는 부담도 크기에 일정 규모 이상만 드리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하지만 소액 보유자분들도 충분히 참여가 가능합니다. 소액 보유자분들이 모여서 일정 규모 이상의 프록시를 확보하시고 대표를 한 분 정해주시면 제가 그 분께 보내드리고 그 분은 중간에서 배분해주시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명인증 사용자만 대상으로 하는 방안도 생각 중입니다. 이러면 한국사람만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고요. 외국인의 경우 아까와 같은 방식으로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그 밖에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행정적인 부담이 적으면 나중에 스팀 가격이 올라가도 이 프로그램은 지속할 생각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ort:  
  • 태그 작성 가이드라인 준수는 콘텐츠 관리와 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입니다. ( It is an essential step to adhere tags guideline, manage content and make access better to your postings.)

  • 스팀코인판에서 활용 가능한 태그는 크게 [보상태그 / 언어태그/ 주제태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보상태그와 언어태그는 필수입니다.(Tags that can be largely grouped into [Main Community / Language / Topic] in community. The language and topic tags are required.)

(예) 한국어로 작성한 자유 주제 포스팅((E.g) Posting for free topic in English)

20190812_141212.png

  • 태그 작성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이 태그 사용을 규제하는 정책보다 스팀코인판의 가치를 높이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We believe that adhering tags guideline is a way to increase the value of SteemCoinpan community than that of forcing tags limitations.)

KakaoTalk_20190607_112035846.png


우선 증인 투표 1인 1투표로 실명인증 기반으로 변경되면 더욱 좋을거 같아요~^^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실명인증 기반은 블록체인 기술상 어렵지만 1인 1표는 얘기해볼 수 있는 문제네요. 감사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응원합니다

오 먼저 시작하시는군요. 직접 투표를 한 사람은 프록시 대비 1/30을 나눠주는 것을 병행하는 것은 어떨까요?

직접 투표자도 포함하면서 또 여전히 프록시에 대한 인센티브가 크니 인센티브를 많이 받고 싶은 사람은 알아서 프록시 설정을 할테니 작업이 번거롭지만 않다면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좋은 아이디어네요. 감사합니다!

오프라인 모임을 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그 분을 중심으로 분배를 해도 좋겠습니다. :) 저도 프록시를 모아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그것도 좋은 방안 같습니다. 믿을 만한 분들을 통하는게 가장 안전하고 좋죠 ^^

이 익명계정으로 단 댓글 때문에라도 실명계정 대상으로 해야겠네요. 의견은 아니지만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핵공감~💙

Posted using Partiko Andr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