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conductor] How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taking charge of its transformation

in #semiconductor6 years ago (edited)

2/100
http://www.mckinsey.com/industries/semiconductors/our-insights/how-the-semiconductor-industry-is-taking-charge-of-its-transformation

맥킨지는 이 기사를 통해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설명하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것들로 충분히 합리적인 전개라고 생각이 든다. 이 시점에서 다양한 IT기기들과 그들의 초연결에 점점 더 많은 자본이 몰리고 발전이 예상된다. 이것은 결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은 낙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반도체 산업은 지난 20년간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 무어의 법칙을 매해 갱신하면서 말이다.
또한 사회의 다양한 면들을 변화시켰다. processor performance의 급격한 성장, display의 발달 그리고 지금 우리의 손에서 내려 놓으면 일상 생활이 힘들어진 스마트폰까지 말이다.

그렇게 반도체 시장은 매우 급격한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 그 배경을 세가지 원인으로 맥킨지는 분석하고 있다. 자동차 전장 부품, 새로운 생산성 향상 도구, 중국의 성장이다.

Changing in tandem: Opportunities in the automotive sector
전장 부품은 1996년부터 2015년까지 CAGR 6.5%를 기록하며 7억불에서 30억불까지 무려 4배가 넘는 성장을 기록했다. 이런 전장 부품의 성장은 반도체 산업 성장의 주요 원인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안전운전을 보조하는 다양한 장치 및 센서, 인포테인먼트 등에 더 큰 수요가 창출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반도체 메이커들은 변신을 취하고 있다. 상품 차별화, 중국시장에서의 기회 그리고 OEM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전략을 펼치고 있다.

How advanced analytics can improve team performance
원초적으로 반도체 회사들은 cost reduction에 집중했다. chip design을 간소화하고 component 불량을 분석하는 등의 공학적인 간소화를 통해 비용 절감을 노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비용 상승을 고급 데이터 분석을 엔지니어링 관리에 이용하면서 새로운 혁신을 이뤘다.
이걸 "Moneyball for engineers" 라고 부른다. 패턴 인식과 머신러닝 등의 발전에 힘입어 이런 새로운 접근법이 성공하게 됐다.
그리고 이런 데이터 분석은 반도체 엔지니어의 팀 성과에 예기치 못한 통찰을 제공했다.

China: The new global–local challenge for multinationals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의 RND 지출은 4배가 증가했고 이는 세계 최대였다. 이러한 급격한 성장은 중국 로컬 기업과 다국적 기업의 기여로 인한 것이었다.
매킨지는 80명의 중국내 design center의 경영진들 대상으로 조사를 했고 그들의 답변은 다음과 같았다. 중국의 성장 이면에는 뛰어난 엔지니어와 숙련된 기술자들이 혁신 제품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내 design center는 혁신에 집중하고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 지원을 강화하며 중국 시장을 키워오고 있다. 이것은 거대 중국 시장의 성장이라는 기회와 함께 다국적 기업에겐 위기도 함께 안겨주고 있다. 다국적 기업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내 투자 증가와 글로벌 비즈니스 유지를 위해 분투하고 있다.

앞으로도 반도체 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년과 같은 고공행진을 지속할지 예단할 수 없지만 적어도 각기 다른 방면으로 성장 동력이 새롭게 생기고 있는 시점인 만큼 그 미래를 낙관하며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