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Steemit 번역] 스팀의 자금 흐름에 대한 간단한 예시

in #steemit8 years ago (edited)

이 부분도 좀 더 쉽게 풀어쓰도록 노력해봐야겠네요. 제가 알기로는 정확한 공식이라기 보다, 백서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셨던 글일 겁니다. 혹시 몰라서... @renohq 님이 직접 제작하신 스팀잇 백서 한글 번역본 링크 남겨놓겠습니다. 읽어보시면 해당 포스트 내용도 포함되어 있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ㅎㅎ https://steemit.com/steemit/@renohq/steam-white-paper-translated-version-in-korean

Sort:  

충분한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백서는 한번 읽어보았습니다.

VEST에 대한 내용은 없었는데요..
다른 자료에 위에 대한 공식이 나온 자료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VESTS와 스팀의 비율은 https://www.steemd.com 사이트에 접근하신 후 distribution 메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보시면 VESTS에 부여된 스팀의 양이 시간이 흐를 때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 이렇게 증가하는 것이 인플레이션 비율이라고 보시면 되구요.
그리고 각 계정의 VESTS를 확인하시려면... https://www.steemd.com/@[계정명]을 입력하시면 되구요. 예를 들어 loum님의 VESTS를 확인하시려면,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s://www.steemd.com/@loum이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주소에 접근하신 후 우측 상단에 보시면 해당 계정의 자산이 나와있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 보시면... STEEM, VESTS, STEEM DOLLAR 이렇게 자산이 존재하는데, VESTS는 스팀파워의 다른 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좀 더 찿아보아야 하는데요..
보상에 대한 공식을 알고 싶은데요..
일단 잠깐 생각한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물론 틀린 공식일 것입니다.)

보상 = (추천인의 SP / 총 발행 SP) * (총 1년 스팀보상량 / 365)

즉, "총 발행 SP에 대해서 내가 받는 추천인의 합산 SP" 에 "1년간 스팀 보상량 중 1일간 보상량"을 곱한 것인데요..

글 쓰면서 잠시 생각해본 것입니다..
물론 맞는 공식은 아닐 것이지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