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emit] 스팀잇 무작정 따라해보기! - Chapter 2. 스팀, 스팀파워, 스팀달러란?

in #steemit8 years ago (edited)

Chapter 2. 스팀, 스팀파워, 스팀달러란?

잘 따라오고 계신가요? 계정 생성을 무사히 하셨다면 다음으로... 스팀잇에서 사용하는 토큰 단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금전적인 부분과 관련있다보니... 이 부분이 스팀잇에 포스팅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생각되더라구요.

스팀잇에서는 스팀(Steem), 스팀파워(SP), 스팀달러(SMD)라는 자산이 존재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세가지 자산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스팀잇 지갑을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아야 내 자산의 현황을 알 수 있겠지요?

회원가입한 스팀잇 계정으로 로그인하신 후 우측 상단의 프로필 사진을 클릭하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하위 메뉴가 출력됩니다. 펼쳐진 메뉴에서 Wallet(지갑)이 보이시죠? 해당 메뉴를 클릭합니다.

스팀잇 지갑 페이지에 정상적으로 접근하셨다면 아래 그림과 같은 페이지가 출력될텐데요.

맨위에 'BALANCES'라고 잔액이라고 표기되어 있고 그 밑으로 좀 전에 말씀드렸던 STEEM, STEEM POWER, STEEM DOLLARS가 보입니다. 맨 아래에는 Estimated Value도 보이는군요...

그럼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할까요?

첫번째로... '스팀'입니다. 스팀은 언제든지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거래가 가능한 토큰입니다. 스팀은 스팀파워의 '파워 다운'이라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파워 다운 시 스팀파워를 104주(약 2년)에 걸쳐 분할하여 스팀으로 지급받게 됩니다. 그리고 스팀을 '파워 업'하면 1개의 스팀을 1개의 스팀파워로 즉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즉, 스팀을 스팀파워로 전환은 바로할 수 있지만... 스팀파워에서 스팀으로 전환은 거의 2년이 걸리기 때문에 이 부분은 자산관리하실 때 주의하셔야 합니다.

두번째는... '스팀파워'입니다. 스팀파워는 장기간 보유하는 동안 파워를 벌어주고, 포스트를 투표(Voting)했을 때 해당 포스트의 보상에 영향을 주는 토큰입니다. 스팀파워를 많이 보유한 사람이 투표할 수록 투표를 받은 포스트의 보상이 많아지게 됩니다. 즉, 스팀파워가 100인 사람과 스팀파워가 10000인 사람이 포스트 한개를 대상으로 똑같이 투표했을 때, 투표를 받은 포스트는 스팀파워가 10000인 사람으로부터 투표받았을 때 해당 포스트에 매겨지는 달러가격이 높아지게 됩니다.
또, 스팀파워는 인플레이션에 비례해서 이자분을 지급하기 때문에 장기로 보관하시게 되면 이자율이 상당하게 됩니다. 이자율에 대해서는 저도 공부를 더 해봐야 할 것 같은데... 지금 현재는 하루에 1퍼 정도의 이자가 지급되고 있습니다. 즉 100개의 스팀을 스팀파워로 전환하고 하루가 지나면 스팀파워가 101개가 되는식이지요. 스팀잇은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스팀의 장기보유를 유도합니다.

마지막으로 '스팀달러'가 있습니다. 스팀달러 또한 스팀과 마찬가지로 언제든지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스팀달러를 통해서 스팀을 구매할 수 있으며, 스팀잇에서 스팀을 팔면 스팀달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스팀잇에서 스팀과 스팀달러를 동시에 운용하는 이유는 보다 안정적인 시장가격을 형성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외부 거래소에 의해 가격대가 형성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외부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암호화폐는 트레이더에 의해 가격대가 조작될 위험성이 아주 높습니다. 하지만, 스팀잇은 내부에서 스팀/스팀달러 거래를 가능하게 하여 외부 거래소의 특정인에 의한 시장가격 조작을 어렵게 만들어 보다 안정적으로 시장가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뿐만 아니라 스팀달러 또한 일정량의 이자를 지급하게 됩니다.

여태까지 공부한 내용을 구성도로 그려보면 아래와 같이 그려지겠네요.

아마 다음에는 포스팅하는 방법을 올릴 듯 하네요. 기대하시구요.^^

포스팅한 내용이 유익했다면 아래의 스팀잇의 게시글 하단에 투표해주세요!
투표하셔도 스팀이나 스팀파워가 소모되지 않는답니다.

이전 챕터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

해당 글은 제 블로그를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ort:  
There are 2 pages
Pages

기존에 알던 소셜미디어랑 흡사하지만, 다른면이 많고 언어적 난해한 부분들이 있었는데 이렇게라도 궁금증이 해소되니 다행입니다~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

영어로 되어있으니 이런 튜토리얼 포스트라도 많아야 겠네요. 소셜미디어를 아무리 잘 알아도 언어가 장애물인건 완전 복병 ㅜ

스팀파워, 스팀, 스팀달러 개념 잘잡고 갑니다.

스티밋이 뭔지 궁금해서 구글링 하던 중에 발견했던 닌자코드님의 글을 이젠 스티밋 뉴비가 되어 읽고 댓글을 남기게 되니 기쁘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어제 시작했는데 검색해서 들어왔어요 :) 유용한 정보입니다!!

오~ 검색해서 들어오셨군요. ㅎㅎ 이렇게 찾아주시다니 감사합니다. ^^

유용한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가입하고 chapter1, 2 보면서 도움이 정말 많이 되었습니다ㅜㅠ
다시한번 좋은글 감사합니다!

이제 막 스팀잇 가입했는데요
자주들려서 궁금증좀 해결해야겠어요
궁금사항있으면 질문해도 괜찮죠?

좋은글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 궁금했었어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자율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좀 궁금하네요

계속 공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나오는 포스팅에 셋팅이나 기술적인 것도 게시되어 있길 바라며 화이팅 해주세요 너무 감사드려요

스팀잇은 어렵네여~
그래도 포스팅 보고
대략적인 감은 오네여~~~
좋은 글 감사합니다~ ^^

What are we going to do about this issue . Will language be the borders that separate our community?

Hm... how to response about this issue... What your think about that?

Language will never be a barrier to Steem Community. There's always google translate! Steem on Korean Steemerz!

Of course, I agree. Language will never be a barrier to Steem Community. ^^

와, 진짜 유용한 정보예요! 저 이게...정확히는 뭔진 모르지만 재테크하기 좋은 SNS라고 언질듣고 시작하게 된거거든요 :D 그러니, 계속 파워를 가지고 있을수록 하루치의 이율도 얻네요! 많이 모아둬야겠어요!!

그렇죠. ^^ 앞으로도 좋은 내용 많이 올릴게요~! 많이 보팅해주세요 ㅎㅎ

처음 접해서 스팀에 대해 이해가 어려웠는데
이글보고 이해가 쉽게 되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스팀 관련내용 포스팅해서 올릴텐데요. 그 때도 관심있게 봐주세요. ㅎㅎ 보팅해주시면 더 좋구요.

잘보고 갑니다. ^^

감사합니다. ^^

информативно и понятно а главное доступным языком написано-

반갑습니다 ^^ 좋은 포스팅 잘 봤어요

네~! 반가워요 ^^ 앞으로도 좋은 내용 올리겠습니다 ㅋㅋ 많이 보팅해주세요~!

질문이 있는데 사람들이 vote를 하면 거기에 비례해서 그 옆에 있는 달러도 올라가게 되는 것인가요? 그리고 그로 인해 올라간 달러는 스팀, 스팀파워, 스팀달러 중 어디에 속하게 되는 것인지용??

스팀파워가 많은 사람이 보팅을 할수록 바로 올라가는 달러양이 커지게 됩니다. 스팀파워가 10인 사람 10명보다는 스팀파워가 10000인 사람이 투표하는게 게시글에 매겨지는 달러가치가 더 크게되지요. 이렇게 게시글에 가치가 매겨진 달러는 게시글 포스팅 후 24시간이 지나면 스팀파워와 스팀달러로 환산되어 지급받게 됩니다.

ninza님 질문 드릴께 있습니다. 만약에 Steem power 1412가지고 있다면 하루에 추가적으로 누적되는게 1412+1412 X 0.01%=A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A+A X 0.01%=B 이런식으로 누적이 되는건가요? 그리고 만약에 이렇게 된다면 1412는 가지고 있을경우에 보트를 하면 게시자에게는 얼마나 달러로 도움이 되는지 혹시 답변 해주실수 있나요?

스팀파워를 가지고 계실 때 실시간으로 스팀파워가 증가하는 걸 보실 수 있을텐데요.
24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했을 때....
1412 스팀파워를 가지고 계시다면 정확히 24시간이 지난 시점에... 1412 + (1412 × 1%) = 1426.12이기 때문에 스팀파워가 1426.12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겁니다. 거기다 하루가 더 지나면... 1426.12 + (1426.12 × 1%) 이런 식인 셈이죠...
게시자에게 지급되는 달러 양은 저도 정확하게 파악하진 못했는데요... 제 스팀파워가 1000이 약간 넘는데 보팅파워가 100%일 때 게시글 보팅하면 $0.03 정도 올릴 수 있더라구요. 대신 보팅을 많이 해서 보팅파워가 낮아지면... 오르는 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기존에 보팅하신 게시글이 $0.03이 올랐더라도 제 보팅파워가 약해지면 해당 게시글에 오른 금액이 $0.02, $0.01 이런식으로 낮아지게 되죠.

데이터가 많이 없다보니 생각했던게 맞았던건지 궁금했는데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무님 의견듣고 곰곰하게 생각해본결과 여유자본이 있으면 투자해보라는 말씀을 하셔서 생각중입니다. HQ님도 스팀의 관계를 잘파악하면 2%~30%를 폴로보다 싸게 구입 할수있다고 하셔서 찾아보고있습니다. 제가 싱가포르에 살고있다보니 비트코인을 어떻게 구입해서 투자할지도 알아봐야할거 같습니다. 항상 포스팅 하게되면 바로 찾아가서 읽고 보트 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게 많지만... 도움 드릴 수 있는건 최대한 돕겠습니다. ^^ 싱가포르에 사시는군요? ㅎㅎ 부럽습니다. 제 생각에도 스팀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엄청난 효과를 가져올 거 같습니다. 두비님도 포스팅 하시면 말씀주세요. ㅎㅎ 제가 가서 보팅하겠습니다. ^^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재밌네요 스팀!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출처 인용하고 퍼가도 되겠죠? 미리 감사드립니다.

당연하죠 ^^

두리뭉실하던 개념이 조금더 명확하게 잡히게 되네요.
고맙습니다 ~

댓글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항상 스팀달러가 왜 존재할까에 의문을 가졌었는데 이제 이해가 되는군요 ㅎㅎ 스팀... 보면 볼수록 물건입니다.

스팀 매력적이죠. ㅎㅎ 답글이 너무 늦었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스팀파워를 얻기 위해서는 포스팅된 글의 달러를 따로 무언가 해주어야 스팀파워로 환산되는건가여? 24시간 이후에 스팀파워/달러로 환산지급되신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안들어오는것 같아서 ㅜㅜ 설명 부탁드립니닷!

아~! 지금은 업데이트가 되서 보상이 일주일 뒤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늦었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그리고 궁금한게 하나 더 생겼는데 혹시 답변 가능하시면 부탁드립니다!
포스트된 글에 보트된 달러 가격이 내려가기도 하던데(보트 수는 똑같았습니다.) 스팀달러 가치에 따라서 변경되는걸까요? 그리고 7일 이후에 스팀달러가 지급되면 그 뒤로는 다시 지급되지는 않는건가요 아니면 또다시 7일뒤에 추가된 보트달러만큼 지급이되는건가요?
감사합니다!

스팀의 가치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구요. 다운보트라고 해서 스팀파워가 높은 사람이 게시글 옆에 깃발(Flag)을 누른 경우에도 해당게시글 보상이 적어지기도 합니다. 보상은 한번 수령하면 없는 걸로 알고 있어요. ㅎㅎ

그렇군요! 궁금증이 해결되었네여!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영어로 되어있어서 어려웠는데 쉽게 이해했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아직도 잘 이해가 되진 않지만 그래도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글작성시점이후로 아래 saving도 추가됐는데 이건 뭔지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steem power 밑에 괄호로 + 기호가 있던데 이것도 추가된거 같습니다.

답글이 늦었네요.;; saving 기능은 자금 인출 시 3일정도 기간이 소요되도록 자금을 묶어두는 기능입니다. 해킹 방지 목적이죠. 만약 계정이 해킹 당하더라도 해커가 바로 자금을 이체시킬 수 없게 됩니다. 해커가 인출 신청을 하더라도 계정 주인이 3일안에만 이체 취소를 하면 자금이 빠져나가지 않게 되죠.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제가 스팀에 가입했지만 토큰에 대해 잘 모르고있었는데
이글 덕분에 알게됐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닌자코드님 블로그에 초보를 위한 꿀팁들이 많네요!!

@donghaeng님, 댓글 감사합니다. ^^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려웠는데 그나마 이해를 조금은 할 수 있게 됐습니다 ㅎㅎ

제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ㅎㅎ

머리가 굳었는지 3번을 더 읽어봐도 개념잡기가 힘드네여...ㅠ.,ㅜ
계속 건드려 보면서 이글을 참조해봐야겠네요...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처음시작했는데 유용한 정보 얻었습니다 :)

댓글 감사합니다. ^^

@ninzacode 닌자님 덕분에 오늘 가입했지만 차근차근 스티밋 플랫폼에 대하여 알아가는중입니다 감사합니다

@bumjune.kim님 답글이 많이 늦었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뭐가 이렇게 복잡해라고 생각하고 있는 일인입니다. 하나씩 차근히 알아가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사용하다 보면 나름 매력적인 플랫폼입니다.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어려웠는데 하나씩 알고갑니다 고맙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너무 좋은 정보에요 오늘 얘기듣고 가입했는데 개념정리가 잘 되어있어서 와이프한테 잘 설명해 줄수 있겠어요 투표했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ㅎㅎ 댓글, 보팅 감사합니다. ^^

뉴비인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유용한 정보 잘 배우고 갑니다 :)

댓글 감사합니다. ^^

최근 가입했는데 유용한정보 잘 보고갑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게시글 밑에 있는 달러 표시가 스팀잇에서 사용되는 스팀달러인거네요.. 조금씩 이해가 되기 시작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답글이 많이 늦었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잘 배우고 갑니다 ^^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많이 배우고 가요. 팔로우하고갑니다.

답글이 많이 늦었네요. 팔로 감사합니다. ^^

뉴비입니다. ^^궁금한게 있었는데 해소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다니 다행이네요. ㅎㅎ

좋은 글 잘 읽고 가요 페이스북에 퍼갑니다^&

네, 댓글 감사합니다. ^^

덕분에 글을 쓸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같은 뉴비들에게는 꿀 같은 글이네요 ^^

댓글 감사합니다. ^^

한 번만 읽고도 정확히 이해 했습니다. 너무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

이해되셨다니 다행입니다.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궁금한 내용이었는데, 설명을 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There are 2 page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