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2018/05/25 포커복기 - AJ river decision

in #tooza6 years ago

음, 아뇨 그냥 포커를 ai가 더 정교하게 치기 때문입니다. 포커는 심리게임이 아니라 수학게임이기에, 더 완벽한 포커를 구사하는 쪽이 장기적으로 더 유리합니다.

제 기억에 헤즈업에서 인간을 이긴 포커머신의 경우엔, 해당 플레이어의 플레이에서 특정한 약점이 있는지 분석하고, 공략하는 머신으로 알고 있습니다.

결국 퀀트투자와 같습니다. 통계적으로 하는 보편적인 실수를 잡아내는 것이죠. 이런 솔버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은, 정답을 알기 위함이고 그를 통해 제 약점을 만들지 않고, 상대방이 어떤 약점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을 하기 위해 진행하는 것입니다 :)

AI vs 인간 헤즈업 스토리는 조만간 한번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할게요 :)

Sort:  

상대방 개인의 약점을 공략하는거군요.
상대방이 누군지를 고려하지 않는 알파고와는 이부분에서는 다른 방식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알파고 만큼의 고성능 컴퓨터와 훌륭한 딥러닝프로그램이라면 , 제 생각엔 상대방을 고려하지 않고도 이길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지금 돌리는 프로그램이 한 핸드를 실험하는데 약 30분정도의 시간을 쓰는데, 이 과정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성능의 컴퓨터와 프로그램이 있다면 개인의 약점을 공략하지 않고도 포커의 정답대로 플레이 하는 머신이 나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럴 수 있겠군요.

관련 분야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괴리를 이용해서 수익을 얻고 하는 것 말이죠.

이전 댓글로도 말하셨듯 퀀트랑도 비슷한 것 같네요.
깊게는 모르지만 퀀트에서도 상대방 고려 없이 수익을 내는 것도 있지만, 특정 상대방 퀀트 알고리즘 매매에 대응하는 알고리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