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Split & OBS 무엇이 더 가벼운 프로그램인가?

in #xsplit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angliss 입니다. 오랜만에 스트리밍 프로그램 팁으로 찾아뵙네요.

XSplit과 OBS는 대표적인 스트리밍 프로그램입니다. 간단히 둘의 차이점과 많은 분들이 착각하고 있는 것에대해 알아봅시다.

OBS는 XSplit에 비해 가벼운 프로그램이다??


답을 말하자면 No 입니다. OBS는 XSplit보다 다양한 설정방법이 존재합니다. 처음으로 설정되있는 것이 XSplit보단 사양을 덜 먹을 뿐입니다.

XSplit.Core_2018-06-02_14-44-56.png

아주 꼭꼭 숨겨놨다...

그 예로 렌더링 설정법에 있는데 XSplit의 설정창에 들어가서 Shift +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면 렌더링 색공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걸 누가 찾을 수 있겠습니까..?

간단히 말하면 우리가 보는 영상에 얼마나 많은 색을 표현 할건지 설정하는 겁니다. 제가 알기로는 저중에서 RGB32가 제일 많은수의 색을 볼 수 있습니다.

obs64_2018-06-02_14-50-45.png

OBS는 비디오 항목의 색상 형식을 보면 처음에는 NV12로 되어있습니다. RGB보다 더 적은 수의 색을 표현하죠.

즉, 초기에 설정 되어있는 렌더링 설정방법에서 OBS가 사양을 덜 먹는 설정방법으로 되어있어서 OBS가 가볍게 느껴지는 겁니다.

XSplit은 녹화 설정을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이역시 답을 말하자면 No입니다.

XSplit.Core_2018-06-02_14-57-47.png

기본으로 설정되있는 설정법이 4개가 있습니다. 보통 여기서 OBS처럼 세밀하게 이것 저것 설정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chrome_2018-06-02_14-59-28.png

여기 XSplit 에서 지원하는 설명을 보면 아니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Custom을 선택해서 바로 오른쪽에 있는 톱니바퀴를 눌러 이것 저것 설정할 수 있습니다만,

chrome_2018-06-02_15-01-51.png

여기 나와있는 설명을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CRF = 18 과 CRF = 0 의 퀄리티 비교차이를 못느낀다고 합니다. 그래서 Ultra High 의 설정법이 CRF = 18로 되어있죠.

XSplit.Core_2018-06-02_15-05-29.png

preset 말고 세밀하게 설정하고 싶었지만
x264 코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거의 불가능 하더라구요...

제가 궁금해서 Custom 설정으로 CPU 의존도를 더욱 높인다음 CRF = 15 를 설정해봤습니다. 43000 비트레이트 나오더라구요. CRF = 18 과 눈으로 보기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제 눈으로 보기에는 25,000 비트레이트와 45,000 비트레이트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프로그램을 써야할까?


본인 자유입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발 빠르게 업데이트를 해주고 있는 프로그램이여서 어떤 프로그램을 써도 무방합니다.

OBS와 XSplit 모두 다양한 설정방법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연구하셔서 최적의 설정법을 찾으시면 됩니다.

방송을 하면서 방송 세팅에 대한 여러 방법들을 연구를 할수록 느끼는 거지만 본인 컴퓨터에 무리안가는 설정법이 최고입니다. 그 설정법은 스트리머 본인이 직접 찾아야겠죠.

보통 사용률 70% 이하를 컴퓨터에 큰 무리가 안간다고 말합니다.


2018-06-02

Sort:  

근데 화면설정은 Xsplite 처음쓸때 찾아보고 그런거 없이 설정할 수 있었는데 OBS는 뭔가 숨겨져 있는 기분이랄까... ㅎㅎ OBS가 무료라 뭐 이런 불편쯤은 감수해야징

결국은 똑같다는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