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시장 및 향후 전망 - 오쇼너시 에셋 매니지먼트

in #kr4 years ago

오쇼너시 에셋 매니지먼트의 투자자 서한 중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한 부분을 요약해 봅니다.

팩터별 성과

가치 팩터가 여전히 상당히 저조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퀀트 전략보다 뒤처지고 있다. 에너지와 금융 부문의 비중이 높은 가치 전략이 앞으로도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팩터 기반 전략 내에서 현명한 다각화가 필요해 보인다. 지금 같은 시기에는 특히 더 그러하며,

아래 차트는 2월 말 시장 고점부터 3월 9일까지 팩터별 수익률을 보여준다.

image.png
<>

시장

당사에서는 내부적으로 미래 기대 수익률의 지침 역할을 하는 두 가지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5년 미만으로는 기대 수익률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10년 동안으로 볼 때 (불완전하기는 해도) 아주 안정적으로 보인다. 두 모델 모두 최근 몇 주 동안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주가 수준

당사에서 사용하는 주가 배수(Price-to-Integrated-Equity)는 현재 미국 주식시장의 향후 10년 동안의 수익률을 연간 5%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2019년 말 기준 연간 1% 예상치보다 크게 높아진 것이다. 이 모델은 최근 기업 수익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게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코로나19 + 원유 시장의 움직임으로 인해 기업의 단기 수익이 심각한 타격을 입더라도, 당사의 수익 전망이 작년 말보다 더 매력적으로 보일 가능성이 높다.

image.png

또한 당사의 "기계적 평가" 모델은 모든 미국 기업의 현재 시장 가치를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내재가치에 대한 당사의 관점을 계산하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모델에서 나온 내재가치와 실제 시장 가치를 비교한다. 아래 차트에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러셀 1000의 경우, 그동안 고평가된 것처럼 보였지만(대부분 성장주 때문), 지난 한 달 사이에 격차가 상당히 좁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흥미로운 것은, 현재 러셀 1000 가치 지수는 당사의 내재가치 추정치보다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는 반면, 성장 지수는 여전히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점이다.

image.png

당사의 모델은 결코 완벽하지 않다. 단기적으로 주가는 예측할 수 없고, 계속해서 급락이 벌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당사의 모델을 통해 "공황에 빠지지 말라."라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대신에 장기간의 투자 지평선에서 현재의 주가로 볼 때, 불과 두 달 전에 비해 더 나은 기대 수익률이 예상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자료 출처: Patrick O’Shaughnessy, "An Update From OSAM"

Sort:  

Congratulations @pius.pius!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published more than 2000 posts. Your next target is to reach 2100 posts.
You published a post every day of the week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