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역사 이야기] 독일, 제 4의 금융제국으로 도약할까?

in #coinkorea6 years ago

글을 다 읽어본건 아니지만 어느정도 핵심만 읽었습니다. 역사적인 비례와 지금 현 전자화폐 BTC, usd와 eur의 역사경제 시험 문제를 보는 것 같네요. 이 글을 읽고 한가지 말해드리자면 통합화폐 usd를 밀어내기란 쉬운일이 아닙니다. 지구의 강대국 1위가 미국으로 그 아래 중국이 치고 올라오고 있지만, 물론 독일이 중국을 받아들여 eur로 usd를 밀어낼 수 있는 강력한 힘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하지만 그 방법 또한 제국이 한나라가 아닌 여러나라의 통합적인 의미이기 때문에 엄청나게 내부 분열이심할 거에요. 독일은 결국 칼날위를 계속 걷게 될 것 입니다. 독일이 중국을 받아들이고 통합한다면 그 시점에서 usd시장이 흔들리겠죠. 단, 그 역사의 변환시점이 아직 현세기에는 안된다는 거죠. 그렇게 eur이 내부분열로 다시 흔들리면 usd가 다시 압도적으로 치고 올라올 수 밖에 없다는 거죠.
그 전환점이 필요한 시기는 it 시대의 근본적인 발전이 필요합니다. 예를들어 암호화폐가 추후에 모든거래에 필수 자본이 된다는 가정하에 금의 자본을 초월하는 상상할 수 없는 위력을 가질때 일 것 입니다. 그 모든 강력한 전자화폐의 BTC의 70퍼센트는 중국에서 채굴이 되고 있었죠. 하지만 중국정부는 이러한 채굴을 금지시키고 막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제가 최근에 본 뉴스에서 들은바로는 그렇습니다. (만약 님말대로면 굳이, 굳~~이 중국이 독일에게 자본을 투자해 eur을 치고나가게 할가요? 중국이 미국도 밀어낼 강대국으로 커가는 시점인데? 저라면 앞으로의 강대국의 뒤에는 자산이라는 큰 무기가 뒷받침 한다면 저라면 비트코인을 더욱 대중화시키고 모든세계를 전자화폐 시대를 만들어 나가겠죠.
그러면 자연스레 중국의 화폐가 usd를 치고 나갈테니까요.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는게 현실이고 usd를 치고 나가는건 그렇게 쉽지 않다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죠.) 이렇게 이야기하는 내용들은 흔한 서민들의 정치 뒷담화라고 볼 수 있어요. 정치에 관심은 가지나 직접적인 개입은 매우 힘들다는 점이죠. 예를들어서 김치 프리미엄 한국의 전자화폐 시장이나 중국이 직접 채굴하는 btc, 이 전자화폐가 두나라에서 정부의 말에 엄청난 가치가 떨어지고 흔들릴때를 기억하시죠?정부의 한마디에 btc의 가격이 900만원이 내려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즉 이말은 아직 전자화폐를 돈으로만 보는 서민의식 때문에 이것이 보편화되려면 아직도 엄청난 시간이 필요하단 의미입니다. 사람들은 단순 부와 권력을 따라 쫒습니다. 그것을 쫒기위해 btc에 몰리는 것이고 아직은 noctisk님 말처럼 역사의 흐름을 보아 언젠가 eur이 치고 올라올 수도 있지만 미국 또한 자신들의 무엇인가를 만들어 치고나올 수 있어요. 반대로 한국이 엄청난 기술을 만들어 치고 올라갈 수 있는거죠. 제일 팩트는요. 우리같은 사람은 이익을 추구한다는 점이 다 같은 공통점이고 현실팩트입니다. 그러기에 저희가 역사를 가지되 개입은 정치가들이 하라, 라고 말하고 싶네요. 그래서 우리 한국이 btc 현물통제 또한 우리 서민이 가지되 정부는 개입하지말라,라고 말하고 싶어요. 권력과 부를 얻기엔 굉장히 헬파티인 국가인 대한민국은 이렇게라도 경제적인 자유를 얻는다면 근본적인 악또한 줄어들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 개인적인 이야기였지만 지금 현재 투자자들의 답은 낮은 금액의 물량 매수입니다. 조만간 가격이 다시 반등할테니까요. 물론 실명제 도입여부에 따라 뒤바뀔테지만 실명제 도입하고 다시 올라갈 것이라 보고 있기 때문에 저도 noctisk님처럼 이시기가 진주 줍줍하는 시기라 생각합니다. 어떤 주식들이 오를지는 대충 알고 있지만 공개하지 않겠습니다. ㅎㅎㅎㅎ

Sort:  

사실 그 기준은 다 정해져있죠 ㅎㅎㅎㅎ

어떤기준을 말하시져??

어떤 아이들이 오를지에 대한 선택기준요 ㅎㅎ

예리하신걸요?ㅋㅋㅋ간혹 그 예리함을 뚫고 반등이란 기술이 있으니 참 예측하기 힘든게 주식인것 같습니다~! Noctisk님도 진주를모아서 그 진주가 아주 빛이나게끔 경제적인 자유를 줍줍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