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광수 교수님에 대한 기억(5) - 그에게 빚진 것.

in #kr-art6 years ago (edited)

마광수 교수에 대한 기억(5): 그에게 빚진 것



마광수 교수님에 대한 기억(1): 기억, 수업
마광수 교수님에 대한 기억(2): 소설, 음식과 담배
마광수 교수님에 대한 기억(3): 반복과 늙음, 산다라박의 사자 머리
마광수 교수님에 대한 기억(4): 나에게, 마광수는

2016년 가을, 결혼을 위해 누굴 초대할 것인지 생각해 보는데, 마교수님을 초대해야 하나 생각이 들었다. 아내는 초대하라고 했지만, 오랜만에 결혼이라고 새삼 연락하기가 민망하기도 했고, 정신없이 결혼 과정이 진행되다 보니 결국 뵈러 가지 못했다.

그리고 2017년 9월의 어느날, 아내와 잠들기 전 이야기를 나누는데, 왠지 모르게 갑자기 마교수님 생각이 났다. 뭔가가 죄송했다. 이미 결혼은 했어도 새삼 연락해야 하지 않을까 싶었다. ‘그래, 민망해도 내일이라도 연락드려봐’ 라고 아내는 말했다.

그리고 바로 다음 날 오후에, 나는 마교수님의 부고를 들었다.

내가 마교수님을 뵙던 때, 마교수님은 이미 세상에 흐름에 뒤쳐져 있었다. 그는 세상에 저항하고 싶어하지만, 그가 저항하던 세상은 이미 지나가 있었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바로 그가 세상에 저항했던 것이 세상을 변하게 한 큰 이유가 되었고, 바로 그 이유로 그는 뒤쳐졌던 것이다.

나는 힘든 시절 마교수님에게 마음의 위안을 얻고, 어떤 지점인지 파악하기 힘들만큼 영향을 받았다. 보수적이던 기독교 청년은 탕아가 되었고, 탕아의 복음인 마광수를 접하였으며, 그리고 방탕한 생활을 접으며 마교수님을 떠나 보냈다. 그렇게 나는 그를 잊었다.

마치 내가 그랬던 것처럼, 우리 사회는 마교수님을 잊었다.


윤동주와 기형도가 유명 문인이 되고, ‘장미여관’이 인기 가수가 되고, 페티쉬와 성개방에 대한 논의가 사회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었지만, 이 흐름을 만든 마교수님은 그냥 ‘개콘’속 변태 캐릭터로만 남은 것이다.

마교수님이 26세에 쓴 박사논문 ‘윤동주 연구’에는 이런 대목이 있다.

나는 문학은 문학일 뿐, 그것이 문학 이상의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보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엄청난 힘이란 문학이 혁명가나 사제의 역할까지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문학은 문학 나름의 힘을 어찌되었든 가지고 있다.

그 힘은 물리적인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것이요, 정신 중에서도 이성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이나 감각 또는 본능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은 정치나 이데올로기처럼 단기간에 효력을 나타낼 수는 없다. 문학의 효력은 서서히 나타나 인간의 의식 자체를 변모시킨다.

윤동주는 옥사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절대로 총각귀신이 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는 이상하게도 ‘투사’보다는 ‘유약하지만 솔직한 사람’을 한 시대의 상징적 희생물로 만드는 일이 많다. 윤동주는 바로 그러한 역사의 희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들은 일제말 암흑기, 우리 문학의 공백을 밤 하늘의 별빛처럼 찬연히 채워 주었다.

마교수님은 ‘투사’일 수 없던 ‘유약하지만 솔직한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렇게 외롭게 죽고 싶지 않았을 것이 분명하다. 마교수님 개인은 그냥 좀 덜 외롭고, 좀 더 재미있게 살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마교수님이 윤동주에 대해 이야기했듯, 그는 서서히,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나와 우리들의 의식 자체를 변모시켰다. 그리고 나의, 우리의 어둠을 밤 하늘의 별빛처럼 찬연히 채워 주었다.

그러니 나도, 사회도 딱 그 별빛의 무게만큼의 빚이 있다.



마교수님의 젊은 시절

이제 그에 대한 기억을 정리하면서, 내가 그에게 빚진 것들과 우리 사회가 그에게 빚진 것들에 대하여 생각하고 잊지 않으려 한다.

선생님, 정말 죄송합니다.
그리고 정말 감사합니다.

Sort:  

Hi @cyanosis,

It seems you got a $10.0715 upvote from @dakfn at the last minute before the payout. (17.91h) and this comment is to make everyone aware.

Please follow @abusereports for additional reports of potential reward pool abuse. Thank you.

I am a curator and this article is not an abuse. As I found this article in the series lately, I made a proper reward for it.

짱짱맨은 스티밋이 좋아요^^ 즐거운 스티밋 행복한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바이러스님.ㅎㅎ

@cyanosis님 안녕하세요. 써니 입니다. @justinelee님이 이 글을 너무 좋아하셔서, 저에게 홍보를 부탁 하셨습니다. 이 글은 @krguidedog에 의하여 리스팀 되었으며, 가이드독 서포터들로부터 보팅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감사해요 가이드독! 멍멍!

다행히 마지막 글을 7일이 되기 전에 리스팀 할 수 있었네요.
마광수 선생님에 대해 여러가지 새로운 걸 알게 되었습니다.

와 리스팀까지... 정말 감사드립니다 다크핑거님. 과거 마교수님 돌아가셨을 무렵 썼던 글이니 조금 시의성이 없는 글이라 생각했습니다. 너무 초반에 올려서 묻힌 것은 아쉽지만 그래도 보팅 상관없이 여러 사람이 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ㅎㅎ

이제야 발견했네요/잘 읽겠습니다.

앞 시리즈까지 꼼꼼히 읽어 주시다니 정말 감사드립니다.ㅎㅎ

정주행했어요... 글이 너무 잘 써져 있어서 가독성이 엄청나 단숨에 마광수 5부작을 다 읽었어요.
마광수 교수.. 시대를 앞서간 선구자였지만 진솔하고 사람다운 냄새가 나는 분이었네요.
이런 글이 묻히기엔 너무 아까워요..
@홍보해

가이드독님도 불러주시고 감사합니다 저스틴리님.ㅎㅎ 제 글 인용해서 써주신 CC라이선스 글도 이제야 봤네요.ㅎㅎ 이달의 소녀도 화이팅입니다!!

마교수님께서 장수로 인해 사람은 이혼을 쉽게 하게되고 결혼도 두번 세번씩 하는게 이상하지 않을거라 말씀하신게 머리에 남아있네요. 당시 사회적비판이 상당했던걸로 기억하는데 우리 사회가 조금씩 그렇게 되어가는걸 보면 그분 혜안에 놀라게 됩니다. 변태라고만 치부돼 조롱당할 분은 절대로 아닌데 사회가 그를 담지 못한게 아쉽습니다. 그런데, 변호사님의 은사님이셨다니! 놀랍네요.

감사합니다 종식님. 대단한 통찰이 아니었음에도 우리 사회는 받아들이지 못헀죠... 그분의 작품에 대한 시도 역시 사실 대단한 내용이 아니었다고 생각하는데, 그것들을 받아들이지 못했던 점이 너무나 아쉽습니다. 우리 사회가 한 발자국만 더 나아갔다면, 마교수님도 '권태'와 '사라'에서 한 걸음 나아가셨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시리즈를 읽으시면 아시겠지만 사실 '은사님' 이라고 하는 것도 부끄럽습니다.ㅎㅎ

일전에 연대 국문과 다른 교수님과 이야기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마 선생님에 대해서는 동료 교수들 간에도 호불호가 매우 갈리더군요. 논란과 센세이션의 중심에 있기도 했지만, 문학사 관점에서 마 선생님은 통념과 기준의 극단까지 밀어붙인 작업으로 어떠한 의미에서든 일종의 족적 (그 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을 남겼다 생각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사실 마교수님의 작품은 매우 시기를 타는 작품들이라 오래 남을 마스터피스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제가 읽는 2010년대 시점에서는 솔직히 이게 뭐야, 싶었거든요. 하지만 시대적으로 의미가 있는 작품이라 생각하고, 본인의 힘으로 바꾼 시대가 본인을 밀어낸 상황으로 생각합니다...

jjangjjangman.com kr-art,muksteem 지원 봇입니다. 회원님의 활동 점수 향상에 따라 3000 VESTS 15일간 임대 지원 해드렸습니다. 활동점수: 1460630000.

앗 감사합니다 :)

소설 너무 재미있게 봤었는데 너무 일찍 돌아가시어 애석하네요

와 마교수님의 소설을 재미있게 읽으신 분이군요.ㅎㅎ 대놓고 그렇게 이야기하기 힘든데!! 저도 몇 가지 소설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아 이 글을 이제서야 읽네요. 글이 너무 좋아서 그동안 연재하신 내용까지 다 읽어보고 왔습니다. 직접 마선생님을 겪으셔서 그런지 글에서 진심이 더욱 진하게 묻어나오는 것 같습니다.
생전에 마선생님을 두고 그저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면면을 직접 들여다 보면 그게 아닌 걸 알 수 있죠. 그분이 윤동주 시인을 밝혀낸 과정과 결과를 봐도 그렇고, 시대의 맥락 속에서 즐거운 사라와 같은 작품을 낸 것만 봐도 말이죠. 개인적으로 언젠간 한국의 문학사 한 켠에 길이 남을 별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실제로 한국의 문학사에서 중요한 인물은 아니라도 반드시 언급된 인물일 겁니다. 슬픈 점은 아직도 '윤동주 연구'만큼 평가받는 물건이 없다는 것이지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나우시카 글을 비롯한 글들 잘 읽고 있습니다.ㅎㅎ

스팀잇 관련 글만 주로 읽다가 이런 좋은 글을 읽다니, 기분이 참 좋습니다.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그러나 역시 인기는 미미합니다.ㅎㅎㅎ

세상은 알지도 모르면서 대중을 따르는게 정답이고 맞다고 생각하죠 저도 그런 우를 범하는 사람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요 cyanosis님의 글을 보면서 우를 범하는 대중이었던 제가 반성됩니다..

무엇이 맞다 틀리다를 판단하기 전에, 그 행위자들도 같은 인간이라는 점에서 바라보는 일종의 신뢰, 따뜻함 같은 것들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종종 합니다..

코리안걸님이 우를 범하셨다기보다는 깊은 곳까지 바라보기 힘든 어쩔 수 없는 인간의 한계인 것 같습니다. 저도 늘 봉착하는 한계이구요..ㅎㅎ

스팀잇에 첫 댓글을 달아보네요. 우연히 마광수 작가님의 청춘을 읽게되었는데 누구보다 감성적인 청년기를 보내신거같더라구요. 글에서 말씀하신 대로 답답한 밤하는같은 사회에 앞으로 발생할 필연적인 부분을 앞서가 소설로 시대감각으로 얘기했던거 같네요. 오랫만에 책장에서 마작가님 소설을 다시 읽어야겠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필더아츠님.ㅎㅎ

저는 젊은시절 성의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시기에 마교수님의 책을 접하게 되어 푹빠지긴 했지만 가치관을 혼란을 겪었던 기억이 있네요
모든 책을 읽어버릴 정도로 열광했지만
지금은 그분의 성의식에는 반대입장입니다

저도 그분 글들이 현재 시점에서 문학적 가치가 높거나 가치관이 절대적으로 괜찮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시대 속에서 누군가 꼭 해야 했던 주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마교수님이 이런 취급을 받지 않는 사회가 되었더라면 우리 사회가 지금의 미투 캠페인이 필요가 없는 사회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성개념은 반드시 그에 따르는 책임과 사회적 역할을 동반했을 테니까요. 마교수님의 죽음과 미투 캠페인의 열풍이 교차되며 묘하게 씁쓸합니다..

재미있게도 마교수님은 온갖 야한 망상으로 글을 쓰는 사람이고, 여성에 대한 의식도 진보적이었다고 말할 수도 없으며, 대학원 조교들을 교열 등에 이용한다거나 하는 잘못은 똑같이 저질렀던 분이었지만,

최소한 학생 등에 대하여 선을 넘은 사례는 하나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야한 곳에 몸을 담고 스스로를 야하다고 하는 사람일수록, 사실 지켜야 할 선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었던 사례 같습니다.

부족한 글에 댓글 감사합니다 법사님.ㅎㅎ

동시대를 사는 사람으로
마광수 교수에게 진 빚으로 부터
자유로운 사람이 있을까요.
그러면서도 그 빚의 무게를 느끼는 사람은
또 얼마나 될지요.

공감합니다. 우리는 모두 마교수님께 조금씩 빚을 지고 있는데, 그 빚을 너무나 쉽게 생각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마교수님과 같은 분들 위에 우리가 서 있는데 말입니다. 마교수님과 같이 묻힌 사람들은 훨씬 더 많을 테구요... 숙연해집니다.

필력이 상당하시네요. 저도 1부터 5까지 쭉 읽었습니다. 좋은 글 잘 읽고 리스팀하고 갑니다.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멍하니 첫글부터 끝까지 다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