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도 65 달성의 의미

in #kr6 years ago (edited)

연어입니다. 저도 이제 60대가 꺾이는걸까요. 밤사이 명성도 65를 달성했습니다. 순간 이런 저런 생각이 교차합니다. 가장 먼저 생각난건 제 외국인 친구의 명성도였습니다. 이 친구의 명성도 역시 65, steemd.com에서 정확히 확인해보면 65.8입니다. 제가 이제서야 65.0를 찍었으니 이 친구를 따라잡으려면 아직도 멀었습니다.

제 친구는 저의 소개 덕분에 저랑 거의 같은 시점에 스팀잇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스팀파워가 저보다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저자 보상이 저보다 높았고 명성도 저보다 빨리 올라갔지요. 제가 막 태동하여 자리를 잡아가고 있던 KR 커뮤니티에서 영어 강의 컨셉으로 비집고 들어갔다면, 제 친구는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들을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보통은 사무실에서 쓰는 공책이나 A4지에 그림을 그렸지요. 사실 제가 포스팅 때마다 올리는 이 생선 한마리 그림도 그 친구가 그려준 것입니다. 본인은 연어라고 하는데 진짜 연어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설마 고등어는 아니겠지요. 아, 그러고 보니 @leesunmoo 님의 올빼미 그림도 사실 이 친구가 그려준 것이었습니다. 올빼미를 워낙 좋아하셔서 올빼미와 관련된 것을 수집하는 취미가 있으시다는 이야기를 듣고 선물로 그려준 것이었지요. 아마 이걸 @leesol님께서 더 예쁜 캐릭터로 그려주셨을 겁니다. 다 서로 인연이 얽히고 얽혀있네요.

친구 이야기를 조금 더 하자면, 친구는 자신의 그림과 함께 늘 영어, 중국어, 그리고 한국어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한국어도 꽤 잘하는 친구인데 글로 써서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은 많이 부담스러웠는지 대개는 제가 문장을 고쳐주거나 번역을 해주곤 했습니다. 한국을 좋아하고 한국 커뮤니티 분위기를 너무 부러워했는지 그렇게 한글 설명을 넣어서 KR 태그까지 달았던 것이지요. 고맙게도 꽤 많은 한국 유저분들이 호응을 해주셨습니다.

하지만 그 악영향도 있었습니다. 몇몇 중국 유저들이 중국인임에도 불구하고 (마카오도 엄연한 중국이니까요) 왜 한국어를 쓰고 KR 태그를 넣느냐.. CN 태그를 넣을거면 그냥 중국어만 써라.. 등등 훈계도 들어야 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CN 커뮤니티 내에서 특정인 밀어주기(그 혜택의 1순위는 종종 영혼없는 포스팅으로 보이기도 했던 스윗젯이란 미녀였습니다), 끼리끼리 놀기, 외부인 배척하기 등등 이기적인 경향으로 흘렀던게 없지 않아 있어 제 친구는 본국의 커뮤니티를 좀 꺼려했습니다. 그리고 KR커뮤니티를 엄청 부러워했죠. 정말입니다. KR에서 자유롭게 교류하며 활동하는 저를 정말 부러워했습니다.

그리고 그 친구는 저를 통해 KR 커뮤니티의 발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었지요. KR 마켓이 생기고, 금융 상품이 생기고 (스달깡 사건도 잘 알고 있을겁니다 ㅋㅋ) 상품도 주고, 선물도 주고, 글짓기 대회도 열고, 후원금이나 위로금도 모으고.. 외국에 계신 유저분들과 교류도 하고, 모임도 열고 말이죠. 이런 다각적인 활동을 CN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으니까요. 그래서 한 마디 하곤 했지요.

너희가 정말 부럽다..

사실 CN 커뮤니티도 많은 노력을 한 것은 맞습니다. 얘기를 들어보면 쟁쟁한 실력자들도 많았고, @abit님 같은 경우엔 CN을 활성화 시켜보기 위해 그 나름대로 많은 중국 유저들을 챙기기도 했지요. 제 친구도 @abit님의 보팅으로 각박했던 살림살이를 벗어날 수 있었고, 이런 저런 요소가 알려졌는지 몇 몇 해외 고래들이 큰 보팅을 해주어 저를 놀래키기도 했습니다. 제가 KR에서 따복따복 포인트를 올려나가면서 좀 따라잡나 싶으면 간밤에 친구에게 해외 고래가 왕림하여 큰 선물을 뿌려놓곤 했으니까요. 저자 보상에서 제가 도저히 따라갈 수 없더군요. 그 친구가 최근에 다시 스팀잇 포스팅을 시작하긴 했지만 거의 1년 동안 활동을 안했던 것을 감안하면 그 때 명성도를 얼마나 빨리 높였는지 다시금 놀라게 됩니다. 친구의 잠수 기간 동안 활동을 재개한 제가 6개월 정도 더 활동을 했음에도 아직 못 따라잡을 정도이니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친구에게 미안한 점도 많습니다. 제가 스팀잇 같이 하자고 꼬드겨 놓고는 먼저 지쳐버렸으니까 말이죠. 작년 가을, 친구가 두 번째 한국 여행을 마치고 돌아간 후 저와 친구는 포스팅을 할 에너지가 고갈 되어버렸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스팀잇을 하다 보면 모두가 느끼는 과정이지요. 처음엔 재미도 붙이고 신기하기도 하고, 매일 뭐를 포스팅하나 고민하다가 잠들고.. 그런 과정을 스스로에게 몰아치다 보면 어느 순간 몸과 마음이 고갈되는 것을 느낍니다. 그다지 시간을 못 낼 것도 아니고 뭐라도 쓰면 쓸 것 같은데.. 그냥 손이 잡히지 않는 시간이 하루 이틀 지나가다가 손을 놓아버리고 마는.. 여러분도 잘 아시죠? 저희가 그러했습니다.

그런데 그 친구는 포스팅에서 손을 놓지 않았습니다. 포스팅을 예전 만큼 온 에너지를 쏟아부을 정도는 아니지만, 종종 출퇴근하면서 찍는 사진들이라도 올리고 싶다며 정말 두 어달 정도 그렇게 하더군요. 처음엔 저도 보팅만 좀 해주는 정도까지 하다가.. 마침내 그것도 시들해져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럼에도 한루에 1개 정도의 포스팅을 꾸준히 올리길래 제가 이렇게 한 번 물어봤죠.


친구야.. 포스팅할 재미도 나지 않을텐데 왜 그렇게 열심히 올려? 지금 스팀 보상도 말이 아니고.. 요즘은 포스팅 한 편 올려봐야 1불 챙기기도 벅찬데 말이야..

글쎄.. 잘 모르겠어. 그냥 딱히 뭘 해야할지도 모르겠고.. 이거라도 해야하지 않겠어? 이렇게 꾸준히 하다보면 작은 보상이지만 나중에 한국 여행 갈 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지도 모르니까..


전 순간 가슴이 울컥했습니다. 제가 친구에게 스팀잇을 같이 하자고 꼬드긴 여러 이유 중에는 스팀잇이 더 성장하고 그 안에서 활동하는 유저로서 자리를 잡게 되면 포스팅에서 발생된 보상으로 여행도 하고 보다 자유로운 삶을 꾸리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희망이 있었기 때문이었죠. 주소는 잊어 버렸지만 당시 '당신의 보팅파워로 어느 나라에서 돈이 없어도 살 수 있는지 체크해보세요' 라는 컨셉의 사이트가 있었습니다. 저는 그 사이트를 보면서 언젠가 보팅파워가 커지고 보상도 그에 걸맞게 따라오면 살아볼만한 나라에서 스팀잇 활동만으로도 살 수 있는 꿈을 꾸었지요. 물론 진짜 현실적인 계산은 아니었지만 뭔가 그런 기대감을 가져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삶의 활력이 되는 것만은 분명하니까 말이죠. 그런데 저는 지쳐 나자빠져 있고, 친구도 자포자기 상태에서 가는 실타래 하나를 붙잡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나날이 스팀 가격은 폭락하고.. 커뮤니티는 활기를 잃어가고.. 이래저래 여기저기 곡소리가 나던 때였습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친구도 포스팅을 멈추게 되었고.. 저와 친구의 잠수가 시작되었는데.. 6개월 전부터 저도 다시 에너지를 충전해 달려들었고, 이제 친구도 조금씩 에너지를 채워가며 활동을 재개하는 중입니다. 활동을 멈추면 이웃도 팬도 사라지고..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커뮤니티가 활성화 될 수록 경쟁력 있는 포스팅들이 많아지면서 친구도 이제 어떤 내용과 개성을 가지고 다시 자리를 잡아가야 하나 매일 고민하는 중입니다. 욕도 많이 먹는 스팁샷이지만 우선 스팁샷을 이용해 보면서 조금씩 자신감을 찾아가는 중입니다. 친구로서 무한한 보팅을 날려주고는 있는데 요즘 분위기상 이게 욕을 먹을 짓일수도 있지만 스팀잇에 무한한 애정을 쏟고 본인이 접어야 했던 그림 그리기에 대한 아쉬움을 스팀잇 유저들을 통해 발산했던 친구의 모습이 너무 그립기 때문에 친구의 온전한 컴백을 위해 당분간 제가 해줄 수 있는 지원은 다 해줄 생각입니다.

저 또한 최선을 다해 친구의 명성도를 따라가 보고 싶고.. 64에서 65로 넘어가는 과정이 왜 이리 길고 험한지.. 대체 70 이상의 명성도를 획득하신 분들은 어느 경지에 다다른건지 정말 존경스럽기까지 합니다. ^^ 우리끼리 늘상 옥신각신 하고.. 어느 분 말씀처럼 KR이 영향력이 있다한들 수퍼스타조차 제대로 키워내지 못하는 우물안 개구리일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어느 외국 친구의 눈에는 옥신각신 하면서도 서로 정을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고 보팅을 주고 받는 KR 커뮤니티는 매우 부러운.. 그리고 가까이 참여 하기에 어려운 멋진 곳일수도 있습니다. 그런 KR을 좀 더 아름답고 소중히 가꿀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이것이 명성도 65를 달성한 저의 소감입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이브 하시고.. 내일은 메리 크리스마스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명성도가 엄청나시네요 ㅎㅎ 그만큼 오래 활동해오셨다는 거겠죠? 아직 뉴비라 명성도가 어떻게 상승하는건지도 잘 모르고 있네요 ㅎㅎ

저도 어떻게 하다보니 여기까지 올라오긴 했는데.. 명성도 상승에 대한 내용은 사실 저도 완벽히는 모릅니다. 다만 초반에는 좀 쉽고 빠르게 올라가다가 뒤로 갈수록 어려워 진다는..

언제 60까지 가볼까요ㅎㅎ 갈수록 한단계 올리기도 어려운 느낌이네요^^;;

하하. 역설적으로 명성도에 연연하지 않고 꾸준히 활동하다보면 야금야금 올라가 있을겁니다.

안녕하세요jack8831님
좋은 연휴아침입니다~~
저도 글을 읽다가 울컥했네요~ 명성도 65 정말 축하드려요~
저는 어제 따듯한 스티밋을 만들기 위해 구세군을 돕기위한 자선 길거리 공연을 했습니다ㅎㅎ
처음으로 영상도 올려봤으니 한번 구경오셔서 따듯함 느껴보세요~ 보팅은 안해주셔도됩니당~

아.. 추운 겨울이 되면 선행을 하고픈 분위기가 솟구치죠. 정말 좋은 일을 하셨네요. 감사드립니다. 응원합니다. ^^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뭔가 '꺾이는'게 기분 좋은 적은 처음이네요. ㅎㅎ

연어님의 글을 좋아하는 애독자로서 오늘의 소감을 보며 저도 자극을 받게 되네요.
꾸준히 포스팅을 하고 많은 분들과 소통하며 저도 연어님이 걸어가신 길을 따라가보고 싶어집니다. ^^
명성도 65 달성을 축하드리며, 크리스마스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그러고보니 저도 앞만 보고 달려가고 있는데 저를 바라보면 오는 분들도 많으시겠네요. 제가 좀 모범이 되어야 할텐데.. 반성도 하게되고 그렇군요. ^^

연어님께서는 늘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 모범의 표상이 아니실까 생각합니다. ^^
변치않고 지금처럼만 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앞으로도 좋은 인연으로 이어지길 바래봅니다.

^^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힘이 나네요.

명성도 65 축하드립니다!
찬찬히 어느순간 오르는게 명성도라 생각합니다 ~
메리 크리스마스입니다~~

네. @heejae님께서도 즐거운 성탄절 되시기 바랍니다. 저도 여기까지 달려왔으니 이제 70을 향해 달려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

저도 언능 60을 향해 달려가 보겠습니다 ㅎㅎ

축하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재밌게 해보자는 격려로 알겠습니다. ㅎㅎ

명성도 정말 축하드립니다 ㅎㅎ
저도 열심히하고 있는데 아직 결과가 많이 안나와서 속상하기도 하네요!!
꾸준하게 해보려고합니다!

하다보면 문득 '얼레? 좀 올라갔네?' 하는게 명성도 같습니다. 국방부 시계가 돌아가듯이.. 꾸준히 활동하다 보면 언젠가 ㅎㅎ

Merry xmas eve @jack

연어님...
명성도 65가 되는 지금까지 그동안 꾸준히 함께.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사실 #kr 태그가 너무 우리들만의 리그 인것 같다는 생각을 하는데... 그래도 그 안에서 함께 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 싶기도 합니다 ^^

연어님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감사합니다 (_ _

반님도 즐거운 성탄되시길 바라고 앞으로도 좋은 관계 지속해 나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아직 새파란 뉴비인 데다 SNS나 블로깅이 서툴러 맨땅에 헤딩하는 기분으로 스팀잇을 하고 있는데

매일 뭐를 포스팅하나 고민하다가 잠들고.. 그런 과정을 스스로에게 몰아치다 보면 어느 순간 몸과 마음이 고갈되는 것을 느낍니다.

꼭 제 마음을 읽는 것 같고 저만 그런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에 위안과 격려가 되네요. 연어님에게는 고달픈 시간이었을텐데^^; 저도 이 글을 계기로 손놓고 마는 대신 명성도 65를 목표삼아야겠어요 :D 팔로우해요!

정말 이곳에서 중요한건 꾸준함인데.. 쉽지 않은 여정인것 같습니다. 그래도 그 꾸준함이 위력을 나태내는 것만은 정말 확실한것 같아요. ^^

명성도 65 달성하신거 축하드립니다.
저도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뒤늦게 시작하신 분들이 저를 추월해 가는 것을 보고
부럽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습니다.
이제 에너지가 충전 되셨다고 하니
꿈을 펼쳐 나가시길 빕니다.

자신을 제대로 드러낼 수 있는 사람만이 세상을 만끽하며 살아갈 수 있겠지요.

그 친구분과 함께 행복한 인생 만들어 가시길 빕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감사합니다. 이제 저도 노하우가 쌓였는지 지쳤을때 대응하는 방법들을 하나씩 찾아놓게 되더라근요 ^^

오랫만에 인사드려요. 연어님.
그간 65 달성 하신 것을 축하 드립니다.ㅎㅎ
저도 kr 커뮤니티의 일원이라는 게 항상 자랑스럽고 감사하네요.
앞으로도 잘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말도 되어가고 하니 정말 한분 한분 소중한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skuld2000님이야 정말 가족같은 인연이지요. 저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연어님 글은 늘 읽어보면 좋습니다. 쉽고 그러면서도 내용도 알차기때문에 평소 생각하시는 바를 이것저것 쓰시면 분명 금방 명성도도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한테 영어강의 쓰라고 하셨었는데... ㅋ 실패했지만 재미있었습니다~~

아악 그러고보니 계속 좀 써보시지 그러셨어요. ㅎ @soosoo님께서 집행하시는 강의료 배분도 쏠쏠해지고 있거든요. 무엇보다 보람이 있고 말이죠.

65명성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친구분과 함께 이곳에서 지내온 시간을 보여주심도 감사합니다. 저는 이 공간에 지인은 딱히 없지만 그 친구분께서 부러워하시듯 kr커뮤니티 모든분들이 함께 계셔 기쁩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메리크리스마스:)

아.. 홀로 활동하기엔 쫌 심심할 수 있지만.. 여기서 친구 사귀고 이웃 사귀고 스승도 만나고 나눔도 베풀고.. 다 지지고 볶고 할 수 있으니까 안심하십시오. ㅎㅎ

명성도 65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연어님 말씀처럼 kr 을 위해 다 같이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저런 다른 생각과 방법일지라도 kr을 위하는 기본 취지는 존중하면서 말이죠.

네. @floridasnail 님께서는 타지에서 성탄절을 맞이하시겠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kr이 무럭무럭 무탈하게 발전하길 바란답니다. ㅎㅎ

명성도 65 축하드려요
멀고도 험한 길인 듯 해요 ^^
거북이처럼 천천히 꾸준이 기어가고 있답니다
좋은 시간 함께 해요~

첨엔 토끼처럼.. 점점 거북이처럼 더뎌가는게 스팀잇의 명성도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묵직해지는거겠죠? ㅎ

Hi Jack~! I guess it's Christmas Eve there too! I hope you have a good one :)

Thanks @kawaiipower ~ ^^ You look Japanese.. Right ?

여보세요 @jack8831! yes I am japanese 😊 are you korean? I guess so ✨

Sure. kankokujin des~

We are neighbors then! Merry Christmas 🎄 ✨💕

명성도 65를 축하드립니다~. 앞으로도 연어님의 포스팅 기대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명성(?)에 걸맞은 활동 계속 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명성도 65 달성하신 것 축하드려요!
친구분 말씀처럼 kr은 좀 복작복작하고 따뜻하죠.
앞으로 kr이 더 커지더라도 이 활기는 늘 유지됐으면 좋겠어요. :)
크리스마스 연휴 즐겁게 보내세요! :)

@bree1042님~ 네, 종종 시끌하긴 하지만 언제 그랬냐는 듯 화기애애하게 바뀌는게 KR 인가 싶네요. ㅎ

메리 크리스마스 입니다~

워니님도 메리 크리스마스~ ^^ 요즘 밀린 작업 하시느라 많이 바쁘시죠? ㅎㅎ

연어님 명성도 65 축하드려요!!~ ^^ kr을 위해 힘써주신 연어님 덕분에 즐겁게 스팀잇 생활 한것 같습니다!!~ ^^ 앞으로도 따뜻하고 사랑이 넘치는 스팀잇이 됐으면 좋겠어요!!~ 축하드립니다!!~ ^^ 메리크리스마스!!!~ :)

아앗.. 소철님과 마니쭈님의 이벤트에 당첨되신 @rosaria님~ ^^감사합니다. 로사리아님도 메리 크리스마스~

65 달성 축하합니다. 100까지 고~^^

아앗.. 100까지는 생각 안해봤는데.. 그런 경직 있긴 있겠군요. ^^ @vip님 오랜기간 정말 감사합니다.

살아있는 연어를 본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제가 아는 연어는 코스트코에서 포 떠진 모습밖에 모릅니다.

kr에 대해서는...
연어가 돌아오고 싶은 맑은 물 만들어 갑시다.

하하. 저도 코스트코에 가면 유혹이 ㅎㅎ 동족상잔이지만.. 감사합니다. @soyo님도 즐거운 성탄 되시구요.

저도 개인적인 사정으로 최근에 복귀한 터라 잠시 쉬어가셨던 그 마음이 이해가 됩니다. 장기간 활동이 없다가 복귀했음에도 여전히 따뜻한 KR커뮤니티가 있었기에 저도 다시 적응을 완료하고 활발하게 활동할 수가 있네요.

즐거운 크리스마스 연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명성도 65 달성 정말 축하드립니다 연어님 :) 앞으로 명성도 70까지 쭉쭉 헤엄칠 수 있는 연어님이 되시길 바랄게요^^

잭님 명성도 65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메리 크리스마스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