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 에 대하여...(2) 외향성[E]과 내향성[I]으로 나눠보자

in #kr6 years ago (edited)

연어입니다. 설 연휴도 되었고 하니 MBTI 에 대한 연재를 계속해볼까 합니다. 우선 @annvely 님과 저 @jack8831 의 포스팅에 밝혀주신 여러분들의 결과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함께 보실까요?

저를 포함해 모두 43명의 표본을 얻을 수 있었고, 우선 간단하게 I 와 E 코드를 기준으로 구분을 해 보았습니다. I 와 E 의 구분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는 제가 천천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개개인의 특성을 세세하게 확인해 볼 수는 없지만 일단 I 라는 집단과 E 라는 집단으로 구분한다면 상대적으로 I 에 속해 있는 분들은 내향적(내성적), E 에 속해 있는 분들은 외향적인 성격을 지니셨다고 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어떤가요? 그리 틀리지는 않지요?

자, 이번에는 이렇게 구분해 보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J 와 P 를 기준으로 구분하는 방법이지요. 역시 이것이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 아직은 잘 모르실 겁니다. 하지만 앞의 경우처럼 이렇게 J 와 P 를 기준으로 구분을 하면 사람들이 행동하는 스타일에 매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J 성향보다 P 성향 분들이 많으신데.. 이 P 성향의 분들이 '1일 1포스팅' 계획 같은 것을 지키실 수 있을지 다소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ㅎㅎ


일단, 이렇게 확보된 43명의 이웃분들 결과를 표본으로 하여 이야기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학술적인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므로 일반적인 순서와는 다르게 좀 더 친근한 접근법으로 먼저 살펴보도록 하고, 구체적인 원인이나 해석은 나중에 얘기하는 식으로 진행해 나가겠습니다.

원래 MBTI 에서는 I/E , S/N, T/F, J/P 등의 4개의 항목에서 각각 2 종류의 이니셜을 사용하여 총 16개의 조합(combination)을 내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조금 굵게 압축하면 SJ, SP, NT, NF 의 네 종류로 나눌 수 있지요. 참고로 이 중에서 사람의 성향을 가장 크게 가를 수 있는 부분은 S / N 에 대한 구분으로 알 고 있습니다. 왜 그러한지는 역시 나중에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사람이 생각하고 활동하는 모든 것에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 '에너지'를 실제 활동하기 위한 칼로리 같은 것으로 이해하든, 마음 속에서 발동되는 동력으로 생각하든 상관없습니다. 이 에너지는 분명 소모되는 것이고, 그렇다면 어디서로부턴가 다시 충전을 해야 합니다. 소모만 있고 충전이 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몸과 마음이 지쳐갈 것이고, 무언가를 하기 위한 힘이 나지 않을테니까 말이죠. 자, 그런데 사람이 이러한 에너지를 충전하는 방식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한 가지 방법은 나의 외부로 부터 에너지를 끌어오는 것입니다. '밖에서 부터 에너지를 당겨 온다'는 개념이 좀 생소하겠지만 우리는 사실 이런 방식을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스팀잇에서 Meet-up을 왜 할까요? 이런 밋업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얻어가는 것일까요? 물론 서로 안면을 트고, 정보를 교류하고, 동질감을 느끼고, 인맥을 쌓아가고.. 이렇게 수많은 이유들이 얽혀있을 겁니다. 그런데 우리는 대개 이런 만남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가 채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에너지는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인가요? 네, 바로 상대방.. 즉 타인으로 부터 생겨난 것입니다. 이와 비슷한 식으로 특정 외부 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충전할 수도 있습니다. 바깥으로 나가 화창한 날씨를 만끽하고, 자전거를 타고, 운동을 하며 땀을 흘리고, 사람들과 함께 술을 마시고.. 이런 모든 방식들이 결국 내 자신이 아닌 외부에서, 그리고 외부와의 교류를 통해서 에너지를 흡수해 나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방식을 유독 활용해 나가는 사람들이 바로..

E (Extrovert) 성향의 사람들입니다.

반대로, 자신의 내부로 부터 에너지를 서서히 충전해 나가는 방식이 있습니다. 대개 에너지가 심하게 고갈되고 피로한 상황에 빠지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외부와의 교류를 차단하고 내부의 에너지를 끌어 올리는데 집중을 하게 되지요. 그런데 이런 방식을 유독 필요한 사람들이 있는 것입니다. 이들에게는 외부 활동, 외부와의 교류가 에너지를 충전하기 보다는 되려 소모하는 쪽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고갈된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해 자기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환경과 분위기가 필요하게 됩니다. 혼자 방안에 조용히 앉아 사색을 하고, 책을 읽으며 머리를 식히고, 차분히 음악을 듣고, 커피 한 잔 음미하며 마음을 가다듬고... 가급적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안락한 공간과 시간을 만끽하며 서서히 내부에서 피어오르는 에너지를 재충전을 해 나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방식의 충전 과정이 꼭 필요한 사람들이 바로..

I (Introvert) 성향의 사람들인 것입니다.


이렇게 E 와 I 로 구분되는 성향을 우리는 이렇게 부르곤 합니다.

(1) 김부장은 외향적인 사람이야
(2) 김미숙씨는 정말 내성적인 사람이지..

외향적 / 내향적, 또는 외향적 / 내성적 이란 표현으로 말이죠. 아무래도 외향적인 사람은 상대적으로 활동적이고, 적극적이고, 진취적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내향적인 사람은 상대적으로 과묵하고, 차분하고, 진솔하고, 조용해 보입니다. 물론 이런 점이 약점으로 비춰질 때는 이렇게 얘기하기도 합니다. 외향적인 사람의 경우엔 시끄럽고, 까불고, 설치고, 정신없는 사람으로.. 내향적인 사람은 소심하고, 숫기 없고, 있는지도 모르겠고.. 등등 말입니다. 어쨌거나 이 모든 것은 외견상 보이는 모습을 기준으로 하는데.. 대개 MBTI 에서 나오는 결과와 주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평가해주는 '외향적 / 내성적'인 경우가 크게 다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MBTI 에서 구분하는 E / I 의 원래 의미는 사람이 소진하고 고갈되어가는 에너지를 어떤 경로를 통해 충전해 나가는가에 대한 고찰에서 온 것이며, E 는 내부 보다는 외부를 통해, I 는 외부 보다는 내부로 부터 충전을 해 나가는게 훨씬 자연스러운 사람들인 것입니다.

때문에 E 성향의 사람과 I 성향의 사람이 함께 어울리거나 부부일 경우, 한 사람은 늘 밖으로 나가고, 사람을 만나고, 그 사람들과 1차, 2차, 3차를 달리며 그것도 모자라 집 안으로 술 병 잔뜩 들고 사람들을 데려오는데.. 반면에 I 성향의 사람들은 외부 활동에서 고갈된 에너지를 다시 채우기 위해 집 안에 꽁꽁 박혀 있으려 하고, 다른 사람의 간섭이 힘들게 느껴지고, 나만의 시간과 나만의 공간이 필요하고.. 이렇게 갈등의 요소가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참고로.. 우린 외향적인 사람(E)보다 내향적인 사람(I)이 훨씬 외로워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외향적인 사람은 늘 주변에 사람을 가까이하고 시끌벅적한 반면, 내향적인 사람은 혼자 조용한 시간을 만끽하는 것을 즐겨하니까요. 그러나 이런 기준으로 살펴본다면 외로움을 더 많이 타는 것은 되려 외향적인 E 성향의 사람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어쩌면 E는 강아지 같고, I는 고양이 같다고 할까요? 고양이는 대개 혼자 있어도 외로워하지 않는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편이니까 말이죠.

  • 이 다음에는 S / N 에 대한 구분을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Sort:  

아, 그러나 어떤 사람이 한가지 성향만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요. 내향적인 사람도 웃고 떠들며 에너지를 받아갈 때도 있고, 외향적인 사람도 사색으로 에너지를 쌓을 때도 있는거죠. 한쪽 날개만으로 날 수 있는 새가 없듯이... 여러분의 깊숙한 내면을 더 오래 들여다보시길 바랍니다. 자기가 누구인지 모르는 사람은 남들이 보는 대로 살 수밖에 없으니까요.

저는 정식으로 한 검사는 INFP인데 마지막 검사했을 때 F성향 점수가 높지 않아그런지
야매로 한 테스트에서는 T로 나오는 경우도 있더라구요ㅎㅎ
처한 상황이나 컨디션에 따라 F와 T를 오가는 것 같아요 -ㅁ-ㅎ
연어님은 ENFP시군요~~ ^^

한국사회에서는 '외향적인 성격=좋은 것' '내향적인 성격=나쁜 것'이라는 인식이 아직까지도 강한 것 같은데, MBTI의 E와 I의 의미를 지금 처음 알게된 저로서는 해당 검사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강해지네요.

좋고 나쁜 성격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름이 존재할 뿐. E는 동적인 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얻고, I는 정적인 활동을 하며 휴식을 취하고 에너지를 얻는다. 단순히 외향/내향으로 성격을 가르기 위한 검사로서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성격에는 장단점이 있음을 알려주는 목적으로 시행하면 더욱 의미있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저는 E 성향의 사람같습니다
사람과 어울리면 많은 피로감을 느낍니다
세심하고 잼있는 분석을 하셨네요~^^

s/n에 관한 이야기 좀 더 집중해서 보도록 해야겟습니다
다음 이야기도 기대하겟습니다.

재밌는 실험을 하셨네요ㅎㅎㅎmbti 입학하고 얼마안되서 학교에서 했었는데 와..대통령 유형이 나와서 부끄러워서 손도 못들었던기억이있어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테스트는 언제나 재미있어요 ^^

ㅜㅠ 이런것이 있는 줄 알았다면 저도 한번 검사에 응해 보는 건데..지난번 호떡 이벤트는 뉴비가 아니라서 놓치고..이번 MBTI 검사는 이런게 있는지 몰라서 놓치고..저는 내성적과 외향적 경계에 있는 사람이라 어떤 결과가 나왔을지 무지 궁금하네요ㅜ

https://www.16personalities.com/ko
언제든 가능한 테스트입니다. ^^

@jack8831 님의 의미 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표본에 저도 들어가 있다 보니, 더 유심히 읽게 된 것 같아요~ ^^; 외향이었지만, 그래서 말씀처럼 주변에 사람들을 가까이 했음에도, 혼자 조용한 시간을 만끽하고 싶은 요즘인 듯 합니다~ ^^; I가 되고 싶은 E 인가 봅니다~ ^^

연어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성향이라는 것이 어느 한 쪽으로의 쏠림이 아니라, 복합적인 성향을 드러내겠지요,. 저도 겉으로는 내향적인 사람이라고 하지만 다중적인 성향을 드러내거든요. 지난번에 검사지 포스팅 올리셨을 때에 한 번 검사해보는 건데 후회되네요.

외향적인사람이 외로움을 더 타는거 같네요 ㅎㅎ 연어님 맛나는 저녁드시고 저녁시간 편안하게 보내세요^^

정식으로 한 번 검사를 받아봐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식으로 검사지로 전문가의 도움을 안받고 측정을 하고 제 주관도 들어가다보니까 할때마다 다르게 나와서요 ... ㅠㅠ

저의 "이야기"를 해주시니 ㅋ 더 집중되어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ㅎ정말 저는 혼자만의 시간이 충전시간이고 회복시간입니다..ㅎㅎㅎ 정말 ㅎㅎ 신기하군요!

Good.
나는이 물고기가 저녁 식사에 좋다고 생각한다.

(1) 김부장은 외향적인 사람이야
(2) 김미숙씨는 정말 내성적인 사람이지..
Great to share of kr

Good work,very nic post.

I don't understand this language but the sketch is pretty good.

문서 매우 유용한 @jack8831

nice post. Informative. @jack8831

Really wish to know what you wrote about.

포스트에 대한 전체 요약

Wow, really awesome post my dear friend..i love this post

I will try to understand your article because I have not fully understood what you mean, but for me your post is good and useful

👍👍👍👍👍👌👌👌👌

네. 저는 혼자 있는것을 좋아합니다.

집에서 또는 심지어 교묘한 참으로 읽고, 어떤 커피와 다른 사람을 좋아, 하지만 그의 나가 사랑 하는 사람들을 위해 타고 난 사람, 친구의 비슷한 모임을 농담 하 고 그래서 그것은 나 였 어, 왜냐하면 내가 될 수 없습니다 외로운, 난 항상 친구 들과 함께, 그리고 서로 공유 하는 이야기, 우리 모두에 게 매우 유용한 게시물에 대 한 감사를 찾을 수 있는 우리 그룹의, 그리고 나 또한 이미 그를 알고 싶어, 그리고 귀하의 매우 게시 아주 좋아요. 공유를 주셔서 감사 합니다. @jack8831

this is lovely content and it is amamzing wrottingnThanks

저도 이거 해봤는데 대학생때랑, 지금이랑 성향이 다르게 나오더라구요~ 아마 사회생활하면서 성향이 많이 바뀐것같아요.. 원래 적극적이고 도전적인 성향이 있었는데..지금은...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