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이 제2의 르네상스를 촉발시킬 것이다.

in #kr7 years ago (edited)

오늘은 조금은 거대할 수 있고 조금은 황당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인류 역사에서 잊을 수 없는 르네상스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인류는 경제적으로는 산업혁명을 통해서 통해서 진보했고 문화적으로는 르네상스를 통해서 진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입니다.(물론 무수한 이견이 있을 수 있음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런 여러 이견도 존중합니다)

산업혁명으로 진보하던 인류의 경제적 진보는 컴퓨터와 통신 그리고 인터넷으로 이야기 되는 IT 혁명을 통해 한 발짝 더 앞으로 나가는 듯이 보였습니다. 그러나 IT 혁명이 산업혁명만큼 인류를 진보시키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이들이 의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IT혁명이 인류를 문화적으로 진보시키고 있다는 주장을 하는 이들을 만나는것조차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어쩌면 인류의 진보는 경제적 차원의 앞으로 나아감과 동시에 문화적으로도 앞으로 나아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보곤 합니다.

IT 혁명은 문화적으로는 인류를 진보시킨 것이 아니라 퇴보시키고 있다는 생각이 저는 많이 듭니다.

IT 혁명 이전에는 한 번 생성된 기록물이 위변조 되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단 한자도 바꿀 수 없었던 조선왕조실록을 떠올려보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반면 최근에는 청와대 기록물들을 통해서도 특정 사건에 대해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우리는 인터넷의 익명성 뒤에 숨은 수 많은 인신공격과 명예훼손을 경험하곤합니다. 이것은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쉽게 떠올려지는 인터넷 사이트는 뒤로 하고라고 언론이라는 탈을 뒤집어 쓰고 행하는 온갖 난잡한 광고와 거짖뉴스는 도를 넘은지 오래입니다.

(1) 스팀은 최종 기록된 내용을 위변조 할수 없습니다.

(2) 스팀에서는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인신 공격성 포스팅을 거의 볼 수 없습니다.

(3) 스팀은 광고 없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인류가 14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한번의 문화적.정신적 진보를 이룬 후 문화적.정신적 측면에서 최근까지 단 한 발짜국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것을 스팀이 이끌어갈 것 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스팀 블록체인에 남은 인류의 기록은 위변조되지 않을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익명성 뒤에 숨어서 인신 공격성 포스팅을 남기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기록물을 남기는 것은 점점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스팀블록체인은 소위 말하는 광고를 없앰으로서 쾌적한 인터넷 환경이 만들어가게 될 것입니다.

스팀은 인류의 문화적.정신적 진보를 이끄는 제2의 르네상스 혁명의 가장 선두에 위치하고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leesunmoo 올림

대문이미지를 제공해 주신 @leesol님에게 감사드립니다.

Sort:  
There are 2 pages
Pages

좋은글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사실 제가 스팀잇에서 미래를 보는 이유 중 하나가 이런 것도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에서 절대 변하지 않는 정보는 정보의 흐름과, 정보의 변화를 볼 수 있고.
변하지 않아야 할 정보를 원하는 사람들은 점차적으로 스팀잇에 모이게 될거라 생각합니다. 거기다가 한국에서는 서서히 스팀잇이 퍼지고 있지만.. 더 많이 퍼지게 되면 투자하는 사람도 많아질테고.. 그럼 한국에서의 스팀잇도 엄청난 위상을 가질거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kr-steemit의 어른격으로서 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상업화와 대중화를 위해 필연적인 부분이고
그래야 스티머들 또한 좋은 일들이 많아질텐데요.

다만 요즘 페이스북처럼 주객이 전도되는 스팀이 되지 않길 간절히 바래봅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것은 매우 흥미 롭다 :)

문화와 화페 경제의 새로은 혁명으로 다가온 스팀잇
그리고 보상이 좋습니다.

예 보상은 스팀에서 가장좋은 부분이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동감 합니다. 그동안 SNS 를 하지 않았었는데 스팀잇을 접해보고서 많은 신선한 감동을 느꼈습니다.
사이드로 Steem 코인도 구매 했으며. 향후 SNS 업계를 리딩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분명 사람마다 생각은 다를수 있지만 저는 어지간 하면 좋은 방향을 보는 편입니다. 감사합니다.

신입유저 가입수, 성장속도 비교해보면 2005년에 시작한 레딧은 금방 잡을 수있을거같아요. 현재 성장 속도도 경이롭지만, 앞으로 정말 큰 성장이 일어날거같은 좋은 느낌이 듭니다.

예.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제 이름 Sharmin. 너의 관심이 내게 천국 줄지도 몰라. 내 미술 학교에 작은 도움이 필요해. 이 게시물을 확인하십시오.


REsteem if possible

https://steemit.com/art/@sharmin/my-dream-your-upvote-and-reward-will-big-support-2017630t414510z


I love how this post is just as aesthetic as Hangul is. It's a shame I can't read it.

말씀해주신 스팀의 장점들에 이끌려
전혀sns를 하지않았던 제가 스팀을 시작하게 됐답니다:)

저도 스팀에 가입하기 위해 페북에 가입한 사람이긴 합니다. 감사합니다.

hahaha I understood that the photos !! If not I even know your language but upvote and reetsem to help u

다시한번 스팀잇의 가능성에 놀랍니다. 요즘 약간 힘이 빠져있었는데 희망적이고 좋은글 읽고 힘내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르네상스 !! 좋네요. 단지 사용자가 증가하면 2,3 번 항목은 훼손되지 않을지 걱정이 되기도 하구요 ㅠ 저도 스팀잇과 전자화폐가 서로의 가치를 높여주는 윈윈관계가 될거라고 믿습니다. 팔로우 하고 갑니다.

2번을 행하는이는 반드시 댓가를 치를테니....저는 사람이 늘어도 2번은 쉽지 않을거라 보는 입장입니다. 3번은 만일 된다면 개인 포스팅내에 하단에 광고가 자그마하게 들어갈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IT로 인해서 직접 민주주의가 가능해졌고, 스팀 블록체인으로 인해서 질적으로 고양될 듯 합니다.

저를 깨우처 주는 관점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그리되었으면 합니다. ^^

제가 할 수 있는 노력은 해볼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광고 없는 서비스가 이렇게 소중할줄은 몰랐습니다.

독립언론사가 스팀으로 들어와 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면 광고주에게 휘둘리지 않아도 될텐데.....말입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스팀잇도 향후에는 광고를 받아서 수익을 내야하지 않을까요?

스팀잇은 수익을 낼 이유가 없을 겁니다.

좋은글 잘보고갑니다ㅎ

감사합니다.

와 문서보존은 정말 새로운 시각입니다!!
"저도 맨처음에 왜 글을 삭제하지 못하지?"
이런 생각을 하다가 글을 삭제할 수없는 것이 실세상의 의사소통을 가상현실인 인터넷상으로 가져왔다고 생각했습니다.
한번 뱉은 말은 주워 담을 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요.. ㅎㅎ

@tata1 님의 포스팅 중 글씨에 대한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스팀은 아주좋은 문서보관 장소일 겁니다.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사람은 나무가 아니라 숲을 보고 먼곳을 내다 봐야 하는것 같습니다. 그게.. 사람을 최상위 포식자로 만들었으니까요

감사합니다. 티월드님.

최종 기록된 내용을 위변조 할 수없다. 그만큼 더 신중하고 양질의 포스팅들이 늘어나기를 희망해봅니다~^^

예. 최종기록은 위변조할수없으니. 매우 신중하게 기록을 남겨야 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Good post

맞는말씀이십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글입니다.

개인적으로도 꼭 그렇게되어서 조금이라도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어요ㅋ

ㅎㅎ. 아마 그리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맞는 말씀 공감백배!
인터넷은 문화를 퇴보시켰는가? 진보시켰는가-를 보면 명백한 진보라고 봅니다. 다만 그 안에서 쓰레기도 엄청나게 양산된 것이죠.
스팀은 다를 수 있는가?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그런 의지를 가진 우리가 있기 때문이죠.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꾸벅

감사합니다. 꾸벅.

네 선무님께서 포스팅 하신 내용에 공감합니다.
스팀잇이 이제는 현실세게의 SNS를 평정하게 된다면 다시금 인본주의가 도래할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듭니다.
그러한 때를 위하여 우리 모두 클린스팀잇을 유지발전 시켜야 할 의무 또한 갖고있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좋은 글을 읽으면 기분이 좋아집니다. ^^

즐거운 TGIF되세요~

옙. 소철님도 행복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포스팅 감사합니다. 스팀잇이 제2의 르네상스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초석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팔로우 신청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공감되는 글입니다. 늘 좋은 정보 많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 지식이 미천하여 상당부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나 잘 읽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글을 통한 이득이 아닌, 글 자체가 이득으로 직결되는 방식이기에,
광고도 없고, 지나친 인신공격도 없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자본을 통한 '인간교화'라는 느낌?! 입니다 ㅎㅎㅎ

"글 자체가 이득인 방식" 저는 생각할 수 없는 멋진 표현입니다. 감사합니다.

늘 좋은글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읽고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leesunmoo님의 글에서는 인문학이 느껴집니다. '과학 인문학을 논하다'라는 식의 글을 쓰셔도 좋을 듯 합니다. ^^

댓글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만큼의 인문학적 소양을 갖추지 못한 사람이 접니다. 아무튼 관분한 칭찬이지만 감사드립니다. 더욱 소양을 쌓은 계기로 삼겠습니다.

'르네상스팀'이 되길 원합니다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재밌게 잘 읽어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세계사가 기원전, 기원후로 나뉘듯
문화가 스팀 이전과 이후로 구분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듭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항상 배우고있습니다.

힘을주는 댓글 감사드립니다.

오랜만 입니다.
좋은 글과 조언 앞으로 부탁 합니다.
팔로우, 보팅 하고 갑니다.

안녕하세요. 유전자 관련글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자주 뵐께요

공감합니다. ^^
익명성, 광고, 명예훼손, 변조... 수많은 오류들이 없는 그런 곳.
진화라고 생각하네요.

감사합니다.

뿌둣함을 느끼게 하는 글 잘 읽었습니다.

이같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대의 인간으로 존재함을 감사하게 생각하며
스티미언들이 그중심에 서는날을 학수고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선배님.

조선왕조실록과 비유되는 스팀잇.

이렇게 저는 다시 한번 스팀잇에 확신을 갖게 됩니다. 저도 과거에 만들어졌던 블로그 회사가 망하는 바람에 여러가지를 날렸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글을 쓸 때에도 이번에는 아니겠지 하는 생각으로 계속 백업에 백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곳에 쌓아 놓으면 정말 1000년의 기록으로 남게된다면 그것이 얼마나 꿈같은 일일까 하는 생각으로 말이죠. 디지털의 장점이지만 반대로 한없이 가볍고 백업에 백업을 해도 안전하지 않은 것을 체험했기 때문에 스팀잇의 가치는 무궁무진해 보입니다.

좋은글 감사히 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위변조 될수 없음에 큰 매력을 느낀 사람입니다. 모든기록이 남는 시대에 무슨 사건만 생기면 그 기록들은 다 사라지는 사태를 받아들이는게 힘들었었거든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leesunmoo 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스티밋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스티밋이 1억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한다면,
결국 언젠가는 큰 일을 치룰겁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스팀잇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 가끔 문제가 생기기도 하지만 스티머들의 자정 노력이 항상 있고 그 효과도 좋아서 스팀잇의 생태계가 건강함을 느끼곤 합니다.

감사합니다.

선과 악으로 구분하는 것이 좀 유치하기는 하지만 혹시미래에 다크어벤저스들이 세계 통화를 지배할 목적으로 virtual currency 의 ranking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스팀잇을 공격해 일명 루시퍼바이러스가 퍼짐으로써 100년 간 혼돈의 세계로 빠져들 수도 있지 않을까요? ㅋㅋ

진정성을 담보하는 소통이 참 아름답고 가치 있는것 일 이라는걸 실감할 수 있는곳 이지요

적어도 네이버는 먹어치워버렸으면 ㅋㅋ

There are 2 page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