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W / 메타마스크에 있던 EOS 는 ? 에어드랍은 어디로 들어온건가요 ?

in #kr6 years ago (edited)

대문.jpg

오늘 EOS 체인에서의 ADD 토큰 에어드랍이 있었습니다.
다양한 커뮤니티에 정보를 전달하고 얘기하는 과정에서 EOS 메인 체인이 런칭된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1. ERC-20 기반의 개인지갑에 있던 EOS 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
  2. 에어드랍 받은 코인은 어디로 들어오죠 ?
  3. 그럼 MEW 나 메타마스크로 들어왔던 ERC-20 코인은 뭐죠 ?

많은 분들이 이런 부분들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계셔 동일한 질문들이 쏟아지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Q. ERC-20 기반의 개인지갑에 있던 EOS 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

A. 우선 ERC-20 이라는 것은 이더리움 체인 위에 존재하는 이더리움 기반 토큰입니다. EOS 는 ICO 를 이더리움 체인위에서 했기 때문에 ERC-20 으로 존재하고 있었고, 6 월 초 EOS 독자 체인이 런칭되면서 세들어 살던 이더리움 집을 나와 내 집을 가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진짜 EOS 는 퍼블릭 키로 다 이전되었고, 교환권의 역할을 다 해버린 이더리움 주소에 남아있는 EOS 는 이제 아무런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시간이 지난 후 트랜잭션 내역을 보며, "아 내가 EOS 메인체인 런칭에 기여했구나" 정도는 알 수 있을겁니다.

그러므로 이제 이더리움 지갑과 EOS 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절대 절대로 거래소에서 출금시 MEW 나 메타마스크 주소로 전송하지 마세요.

Q. 에어드랍 받은 코인은 어디로 들어오죠 ?

A. 앞으로 EOS 는 메인 체인이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에어드랍되는 토큰들은 EOS 메인체인을 통해 EOS 퍼블릭 키 (12 자리 계정명) 으로 에어드랍 될것입니다.
https://eospark.com 으로 접속하셔서 계정명을 입력하시고 아래 사진과 같이 붉은 화살표를 눌러 토큰명을 클릭하시면 갯수를 조회 하실 수 있습니다.

Q. 그럼 MEW 나 메타마스크로 들어왔던 ERC-20 코인은 뭐죠 ?

A. ERC-20 기반으로 에어드랍되었던 것들은 EOS 독자 체인이 없었을 때 에어드랍을 해야 했었기 때문에 EOS 가 올라 가 있는 ETH 체인 안에서 ERC-20 기반으로 에어드랍을 진행 했던 것들입니다. 이 토큰들은 앞으로 추후 Dapp 들의 자체 일정에 따라 스냅샷을 진행 한 후 ERC-20 -> EOS 기반의 토큰 으로 스왑을 진행 할 확률이 높습니다.

Sort:  

그러면 EOS를 전송하고 이러려면 모두 다 위에 링크해주신 EOSPark에서 가능한건가요?

아뇨 ㅎㅎ 제가 소개해드린 eospark 이나 eosflare 는 이더리움에서의 이더스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더리움에서 이더리움이나 이더 기반 토큰을 전송 할 때 이더스캔이 아닌 마이이더월렛을 사용하듯이, 이오스나 이오스 토큰을 전송 할 때는 현재는 그레이메스 툴을 사용하거나, 스캐터와 연동된 스캐틀렛이라는 것을 사용 해 전송 할 수 있습니다. 그레이메스 툴로 Unstake와 EOS 전송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