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BAT 토큰 로드맵 발표, BAT token roadmap 1.0 announced

in #kr7 years ago (edited)

추가적으로 제가 읽으면서 잘 모르는 용어에 대해 찾은 내용을 reply로 달아놓고 갑니다. 혹시 몰랐던 단어나 내용에 대해 도움이 되시는 분이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넷스카이프가 제공한 브라우저 코드를 재부팅할때 Mozilla를 공동설립하고" : 90년대에 유명했던 넷스케이프 웹브라우저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전환하고자 하는 시점에 넷스케이프 브라우저 프로그램의 소스코드가 속된말로 개판 오분전이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고자 새롭게 브라우저 엔진을 새로 만들어서 다시 시작(reboot)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재단을 설립하기로 했습니다. 이 엔진의 이름은 게코(Gecko)이었으며 현재 오픈소스 웹 브라우저 중 하나인 파이어폭스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attention-economy : 주목 경제(https://goo.gl/R31DUv)
attention-economy 앱 : 개인/단체의 주목을 받아야 시장에서 생존이 가능한 앱

Micro-paywell-piercing "link gifting" : 최근 앱에 실리는 광고 플랫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는데, 유료 결제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앱(ex: 게임)에서 사용자가 유료 상품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른 앱을 실행하게 하거나 다른 상품에 대한 광고를 내보내는 플랫폼과 그 보상 체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ex: 특정 게임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10 다이아를 제공합니다.)

KYC(Know your customer) : 광고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광고주에게 타겟 소비자의 속성을 알려주는 일련의 정보
제공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ZKP(Zero-knowledge proof) : 영지식 증명. 어떠한 정보에 대해 증명을 하려는 증명자와 검증자가 있다고 가정할 때, 이에 대한 참과 거짓의 프로토콜에 대한 임의의 변경을 허용하지 않도록 하는 일련의 증명 절차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https://goo.gl/xdFnyu)

BAM(Benefits Apportionment Matrix) : 수익 분배 모형의 줄임말.

맨 마지막 단락의 "BAT 와 오픈 소스 및 사양에 기반한 다른 앱과의 통합으로 광고 구매력 강화 및 게시자의 onboarding."(BAT integration into other apps based on open source & specs for greater ad buying leverage and publisher onboarding)는 다음과 같이 번역하는게 더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광고 구매력 강화/증대와 퍼블리셔(광고 발행인?)의 신규 진입에 도움이 되는 (BAT의) 스펙과 오픈소스화는 다른 앱들의 BAT 통합의 기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