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모델 알아보기 2탄: 베팅형, 협조형, 영향가형>

in #kr6 years ago (edited)

스팀 커뮤니티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영리 단체의 재정 모델 종류 소개를 이어가려고 해요. 저번에는 10가지 중에 1번부터 3번을 소개드렸었는데, 오늘은 또 다른 3가지를 소개시켜드릴게요!

혹시 1번부터 3번을 보고 싶으시다면 전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4

네번째 재정 모델은 베팅형입니다. 베팅이라는 이름이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대부분 큰 금액을 지원받으면서 하나의 문제를 해결할려는 이유 때문에 베팅형으로 불립니다. 예를 들어 의료 연구팀 같은 경우에, 소수의 지원자들에게 큰 금액을 지원받아서 연구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비영리 단체의 창립자가 특정 문제의 해결에 큰 영향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예를 들면, 어느 의대 교수님의 가족이 특정 질병이 있어서 그 교수님께서 그 질병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드신 단체일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특성상, 베팅형은 의료 연구나 환경 단체들이 대다수입니다. 이 이유는 의료 및 환경 문제들이 큰 지원금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정 질병을 고치기 위해 연구를 하는 팀이라던지, 아니면 환경 오염 및 생물 다양성을 지키기위해 노력하는 단체들은, 재정적인 지원이 많이 필요한 편입니다. 하나의 예로, 현존하는 Conservation International 이라는 국제적인 단체를 들 수 있습니다. 이 단체는 지난 30년간 생태계 보존이 필요한 지역들을 찾아 보존함으로써, 생물 다양성을 포함한 자연을 지키려는 단체입니다.

#5

다섯번째는, 공공 기관 협조형입니다. 이 부류는, 사회에 꼭 필요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정부 기관과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목적을 이루려는 단체들입니다. 이런 기관들은 정부가 미처 충족시킬 수 없는 서비스들을 정부의 아웃소싱을 받아 자금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한, 단체의 규모가 커질수록, 외부 자금원을 모색하기도 합니다. 예를 드리면, 텍사스 이주 협의회 (Texas Migration Council) 라는 단체는 이민자 커뮤니티에서 아동 및 가족을 지원합니다. 1971년에 설립된 이 단체는, 초기부터 미국 연방 정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자금을 지원받아, 이민자들의 자녀들이 각기 다른 나라의 문화를 언어 및 교육을 통해 배워가는 것을 지원합니다. 규모가 커지며 텍사스 이주 협의회는 연방 정부에 대한 자금 의존도를 낮추며 새로운 자금원들을 성공적으로 찾아내어, 현재는 텍사스 주를 넘어서 다른 7개의 주에서 문맹 퇴치 및 소비자 교육 등, 여러가지를 교육하는 중입니다. 활동 반경이 넓어지며 이름을 Teaching & Mentoring Communities (TMC) 로 변경하였습니다.

#6

여섯번째는, 정책 영향가형입니다. 이런 비영리 단체는 현존하는 정부 자금 지원 프로그램들의 사각지대에 있는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려 노력합니다. 기존 해결책보다 비용이 적게 들거나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서, 대체 방법을 모색합니다. 5번의 공 기관 협조형처럼 이미 존재하는 공공 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HELP USA라는 단체가 있습니다. 이 단체는 1980년대에 미국 뉴욕 주에서 호텔에 돈을 지불하여 노숙자들을 수용하는 “복지 호텔"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이를 통해 노숙자들의 일시적인 주거를 해결하고 영구적인 보금자리를 찾아주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런 노력들을 통해 뉴욕 주민들에게 노숙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어, 정부의 정책을 바꾸어 주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아내었습니다.

오늘도 마찬가지로 이렇게 3가지 종류에 관해 얘기한 걸로 마칠게요~ 지금까지 거론되었던 6가지 중에서 어떤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답글로 알려주세요!

이야기는 계속됩니다..

Sort: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I am unable to read your language. But upvoted you. TY for sharing

친구를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runorg 아마도 당신은 그것을 정말로 즐긴다, jhoni는 좋아한다.

Very important information I really like your blog And will resteem your information to my blog.

Help me with your vote... I'm steemian from aceh Indonesia.... Thanks

DQmb3MTa5Nre48dXEkrbWF4CPtmWpkS4UiutQebSxdDYXq3_1680x8400.png

What a beautiful blog! sorry to bother maybe leave an indistinct comment to your publication but I have raised a VOTE support to be able to get out, thanks to the community and steemit to my next stop and my country destination for this reason I bother asking for a simple vote. THIS is not a comment like many who only look for customers and that follow this comment is helpful and granite in granite build great things I hope you are very well thank you.

rabbit_footer.gif

https://steemit.com/steemit/@jesusj1/power-down-or-will-2018-be-a-whale-up-vote-in-a-post-on-my-blog-or-motivo-direct-to-chile-with-steemit

아직까진 1번이 제일 효과적인 것 같은데요...
끝까지 봐야겠어요! :)

하하 감사합니다!

@ 루고 르그 계몽주의는 나를 위해 매우 유용하다.

잘 정리된 글 잘 읽었습니다.
팔로우 하고 갑니다.

우와 좋아용 ^^
전 4번 베팅형이. 오히려 큰 연구호과가 있을수 있지 읺을까 하는. 생각이드네여
아이들을 의사로 아니면. 의사 사위를. 봐야하는. 생각을 했네요 ^^
보팅했어요 ^^

정책영향가형이 일반에게 꼭 필요한.. 우선순위가 높다고 하겠네요.
그럼에도.. 비영리단체의 입장에 있어서는 다섯번째 유형, 공공기관협조형이 제일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몇번더 읽어봐야겠네요^^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정책 영향가형이 저는 효과적이라 봐요. 사각지대를 챙기는가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요?

저도 #6의 모델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좋은 글 잘 읽었어요. 다른 글들도 볼께요~~^^

새롭게 알게된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자주 들러 지식을 키워 나가야 겠어요 ㅎㅎ

잘보고 갑니다.. 좋은 글 감사해요

안녕하세요? 뉴비예요. 아직 모든게 익숙치 않아서 어리버리 하고 있습니다. 하루 15에서 17개까지 보팅해도 된다고 해서 열심히 보팅하러 다니고 있습니다. 글 잘읽고 보팅 드립니다. 제 블러그에도 와주세요 ^^ 친구도 추가하구요 좋은 날들 되세요

비영리단체에 이렇게 많은 재정모델이 있는지 처음알았습니다
유익한 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