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녀 가정, 국가에서 혜택 많지 않아요??

in #kr6 years ago (edited)

오랫만에 포스팅 합니다.

갑자기 컴퓨터가 켜지지 않아 테스트 해보니 메인보드가 사망해서
구입 날짜를 보니 무상보증기간 3년중 딱 7일 남겨놓고 가셨더라구요;;;;;;
일단 얼른 똑같은 중고보드를 구입해서 살려놓고 기존 보드는 AS를 보냈습니다.

회사에서는 업무적인거 외에 화면에 띄워놓기가 그래서
하루종일 컴터 앞에 앉아 있으나 여기와도 업무 관련된 글만 보게 되네요ㅠㅠ

아무튼!

오늘은 다자녀 가정이 가장 많이 듣는 질문!
오늘의 포스팅 제목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이미 아이 셋 일때부터 듣고 다닌 소리긴 했죠.
요즘 저출산이니 뭐니 해서 아이를 낳아도 한명만 낳다보니
셋만 데리고 다녀도 애국자네, 힘들겠네, 고생이 많네, 대단하네 등등
여러가지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런데...

어르신들이 저렇게 안부를 물으면서 덧붙이며 묻는 말이 바로 제목처럼
애 많으면 나라에서 혜택 많이 주지 않냐?? 라고 물으십니다.

그래서..

오늘 다자녀를 키우는 제가 얼마나 혜택을 받는지 써볼까 합니다.

먼저, 아기를 낳고 출생등록을 하면 받게 되는 출산 축하금.
이건 지역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인구가 적은곳 중에는
둘째부터도 백만 단위가 나오는곳이 있으나
보통 대도시는 10~20만원이 전부인 경우가 많습니다.

첫째부터 20~30만원 정도가 나오는데 1회 지급이며
둘째부터 10~20만원 정도 추가가 되고
셋째부터 조금 커지긴 하지만 지역에 따라
적게는 30만원에서 많게는 천만단위도 있습니다.
그러면 그 지역가서 애 낳으면 되지 않냐? 라고 묻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그걸 악용(?) 하는 분들이 있기 때문에
그 지역에 최소 6개월 이상 살아야 하며
금액에 따라 한번에 주는게 아닌 기간을 나눠서 1년에
얼마씩 해서 3~5년에 걸쳐 줍니다.
받는 중간에 이사를 가게되면 지급은 중지 됩니다.

제가 이번에 다섯째를 낳으면서 받게된 금액을 적어 봅니다.

  1. 시와 구에서 주는 출산축하금 70만원 (1회 지급)
  2. 그외 용품이나 그런거 하나도 없음;; (일부 지역에서는
    주민센터에서 육아용품셋트를 주는곳도 있음)
  3. 가정출산 하여 의료기간 외 출산으로 25만원 (1회 지급)

그리고 끝! 입니다. 하하...
대부분 병원에서 낳기 때문에 3번은 거의 없다 보심 됩니다.
제가 사는 지역에서는 셋째 이상 낳으면 70만원이 전부 입니다.

얼마전 아이셋 이상인 집은 첫째부터 대학 학비 지원 해준다고 나왔었죠??
근데 그것도 1년에 1000만원까지 지원이지 전액은 아닙니다.
초과분은 내야 하구요.
문제는...... 지금 발표했는데 저희 첫째 애가 9살인데 첫째가 대학에 갈때쯤 되면
그땐 정권이 또 어찌 바뀌게 될지도 모르고 설령 유지가 된다 해도
지금처럼 인구절벽에 인구가 줄어들면 당연히 학교의 학생수가 줄어들테니
그때쯤 되면 대부분 정원미달로 지금처럼 시험점수가 아니라
학비만 내면 다 갈 수 있거나대학들 경쟁으로 학비가
더 싸지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암튼 이건 먼 미래이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고..

그리고 아이를 낳고 키우면 받게 되는 양육수당이 있는데
이건 집에서 아이를 키우면 나오는것이고
0~12개월까지는 매달 20만원씩
13~24개월까지는 매달 15만원씩
25~60개월까진가? 학교가기전까지는 매달 10만원이 나옵니다.
매년 5만원씩 줄어드는데.. 과연 아이를 학교가기 전까지
집에 부모가 데리고 있는 집이 얼마나 될까요?
보통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갑니다.
기관에 가게되면 이 양육수당은 지급이 안되고
보육료 지원으로 바뀝니다. 어차피 부모통장으로 들어오는
돈이 아니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고
보통은 정부의 보육료 지원을 받고도 추가로 수만원에서
몇십만원까지 더 내야 합니다. 매달 말이죠..

이건 어차피 모든 아이들이 받는거니까 다자녀 혜택이라고 하긴 그렇고요..

실질적인 다자녀 혜택은.....
주민센터에서도 출생신고할때 같이 하라고 알려주는것은 바로

전기요금 할인과 가스요금 할인 입니다. 이게 전부 입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수도세도 감면이 된다고 하지만 '부산' 지역에 한합니다.
그외 지역은 또 안해주고요ㅠㅠ

자.. 오늘 관리비가 나와서 사진으로 올려봅니다.

20180420_210241.jpg

이번달에 나온 전기요금과 수도요금 입니다.
저희집은 7인 가족입니다.

이거 밖에 안나오냐고 하실지 모르겠는데 저희집엔 전기를 많이 안씁니다.
그렇다고 쓸것도 안쓰는건 아니지만 평균 저정도 나옵니다.
저거에는 다자녀 할인 30%가 들어갔습니다.
단, 최대한도 16,000원까지 입니다.
할인이 얼마가 되었을까요?

20180420_210300.jpg

네.. 딱 저 만큼 입니다.
할인율만 보면 30%면 엄청난거 같지만 많이 써도
최대 16,000원까지만 할인되고 나머지는 쓴만큼 나옵니다.
3자녀 이상이면 애가 4명이든 5명이든 더 안되고 똑같습니다;;
웃긴건 3자녀중 첫째 나이가 18세가 넘으면 할인이 끝납니다;;;;;

보통 전기를 저정도 쓰고 할인은 5천원대로 나왔던거 같네요.

1년이면 6만원 좀 넘나요??

자, 그럼 이번엔 가스요금을 봅시다.

20180420_211136.jpg

이번달은 36 세제곱미터를 썼습니다. 원래 30 세제곱미터가 안되는데
아직은 설거지나 세수할때 찬물로 하기엔 물이 차가워서 온수를 씁니다.
아마 여름엔 1만원 중반대 나올겁니다. 7인가족 치고 적은편인데
저희집은 난방을 거의 안합니다. 1월 2월도 3만원대 나옵니다.

암튼 내용을 보면 중간에 경감금액 해서 -4,878원이 보이죠?
이게 다자녀 할인 금액 입니다.
이게 매년 12~3월까지는 정액으로 -6,000원을 해주고 나머지 달은
쓴 금액에서 얼마만큼 빠지는데 %가 생각이 안나네요..
1년중 3달 하면 18,000원에 나머지는 쓴거에 비례하고
저것도 전기요금처럼 할인 한도가 있을겁니다.
저희집은 많이 안써서 풀로 할인이 안나오네요..
나머지 9달을 5천원 잡으면 45,000원 정도 할인이네요.
1년이면 약 63,000원 정도 되겠습니다.

저걸 아이 한명당 해주는것도 아니고 그냥
만18세 이하 자녀 3명일때 일률적으로 받는겁니다.

그외에?? 생각나는게 없습니다.....
애들이 어리고 많아서 놀이동산이라 해봐야 동물원 정도고..
어디가도 다자녀라고 할인이나 혜택 같은거는 없습니다..

그냥 집에서 다자녀 키우면서 받는게 저게 전부 입니다.
어떤가요?? 많나요????

저거 혜택 받을려고 아이 여럿 낳는거 아닙니다.
근데 언론에서나 정부에서는 혜택 엄청 주는것처럼 얘기하죠..
무슨 교육비니 주택비니 의료비니 하는것들은
집도 없고, 차도 없고(있어도 배기량 제한에 년식 오래된것)
기초생활 수급자 정도는 되야 혜택을 받습니다..
거의 차 때문에 탈락이죠..
차량 배기량을 1600cc 미만, 차령 10년이상으로 정해놨으니 말입니다....
국산차에 아이 넷, 다섯 태울만한 저거에 해당되는 차가 있을까요??

그래놓고 주민센터에 물어보면 자기들도 기준이 그래서,
법이 그래서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만 얘기합니다.

아이들은 많아도.. 항상 공공장소나 식당가면
다른사람이나 옆자리에 피해 안주려고 합니다.
그것도 힘들면 집에서 밥차려 먹든지 아니면 배달 시켜 먹죠..

다자녀 혜택이란것도 왜 같은 대한민국 땅에 살면서
지역마다 다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어디는 해주고 어디는 안해주고..
그 지역 사람들은 해주는데 타지역 사람들이 놀러 가면 또 혜택 못받고..

정부는 저출산고령화대책위원회까지 만들어 놓고는
지자체마다 기준도 다르고 다자녀 혜택이라며 실질적인 다자녀 가정에서
몸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은 위에 쓴게 전부 입니다.

제가 2010년에 첫째를 봤으니 그때부터 지금 2018년인데
지금까지 기저귀 사는걸 한번도 쉬어본 적이 없네요..
그나마 감사하게도 아이들이 모유를 먹고 자라고 분유는 거의 안먹어서
분유값은 많이 아꼈습니다.
옷도 여기저기 친척조카들꺼나 지인들 옷 물려 받아 입히구요..

다자녀라고 모든 집이 연예인들 처럼 해줄거 다 해주고
그러지 않습니다. 근데 왜 애를 여럿 낳냐구요??
글쎄요... 이건 셋이상 낳아보신 분만 아실거 같습니다.

다자녀 가정을 봤을때.. 동물원 원숭이 보듯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들 여럿을 봤을때 힘드시겠네요, 애국자네요 이런얘기보다
차라리 아이들 예쁘다~ 멋지다~ 그런 말이 다자녀 키우는 부모들에게
더 나을거 같습니다.

혹시 이 글을 보시는 다자녀를 키우는 분이라면
네이버 카페에 '다자녀 가족 행복 만들기' 라는 카페가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donpiryo

이곳에 오시면 다자녀 가정들이 느끼는 공감되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으니
참고 하세요~

Sort:  

진짜 조금지원해주네요
그래도 7월부터 아동수당이 나오니 5살까지 밖에 안되지만여
팔로 꾸욱~❤

감사합니다~
9월부터로 알고 있는데 7월인가요?
그것도 7월이전 생일인 아이들은 한번도 못받더라구요..

이것도 다자녀가정에게 주는게 아닌 전체적으로 주는거라 다자녀 혜택이라고 하긴 그렇죠..

다섯 째를 낳으셨다고요?! 이걸 실화입니까?!
와. 정말 대단하시네요. 전 셋 키우는 중입니다. 명함도 내밀 수가 없네요. 와. 정말 대단하십니다!!

감사합니다~
저의 이전 글들을 보시면 사진과 함께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자녀 가정 화이팅 입니다^^

저도 아이 셋 아빠인데 제대로 알지도 모르는 사람들은 "나라에서 많이 지원해 준다던데 좋겠다~" 라고 말도 안 되는 얘기할 때마다 화나죠! 저는 가스 할인도 모르고 있다가 지난 달에 신청했네요. 셋째가 벌써 다섯 살인데... ㅠㅠ
좋은 까페 알려 주셔서 가입해야겠네요 ^^

감사합니다~^^

아~ 그러고 보니 @leeja19님도 아이 다섯 키우시는 분이에요.
스팀잇도 활발하게 하시니 이웃하셔도 좋을 겁니다~ ^^

넵 그분도 팔로우 신청 했습니다^^

즐거운 스팀잇 생활 하시길 빕니다~ ^^

헉. 가스비랑 전기세가 어떻게 저렇게 적게 나오시죠??
배워야겠어요. ㅠㅠ
애들이 저희랑 또래가 비슷하겠어요. ^^
넘 반갑습니다.

오셨군요~ 반갑습니다~
전기나 가스나 쓴만큼 나오는거라..ㅎㅎ
쓸것만 쓰니까 그렇겠죠?;;
저희집은 9,7,5,3,1(60일되감)로 다 2살 터울 입니다.

지금 두째가 아내 배에있는데.. 3명까진 낳아보자 생각하는데..
아이들이 많은건 행복인거 같아요~~~

첫째부터 셋째까지가 다 아들이라 딸 없는 설움에
낳긴 했는데 주변에 셋,넷 키우신 분들 말씀으로는
키울때 힘들어도 크고나면 보람있고 행복하다고 하시네요.
원래 둘이 가장 힘들고 셋 부터는 오히려 덜 힘들어요.
왜냐면 큰애가 커서 그만큼 몫을 하거든요.

둘째 순산 하시길^^

저도 셋이긴 하지만 5명 이라니... 댜단하네요 ^♡^

응원할께요~~

감사합니다~
다자녀 카페에는 셋은 명함도 못내밀고
제가 한번은 통계 비슷하게 내봤더니 4명인 가정이 가장 많았고
다섯,여섯도 꽤 있습니다. 최근에 아홉째 보신 분도 계셨네요.
쌍둥이도 아니고 9번 출산요.. 그분들이야 말로 더 대단한거 같습니다.

잠자는 시간이 길게 느껴지네요.
포스팅을 하면 내 블러그에 와서 댓글로 언질을 주세요.
약소하게라도 지속적으로 보팅 지원 하겠습니다.
@cjsd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