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잇에서 셀프보팅 논란만큼 무의미하고 어리석은 논란은 없다.

in #leesunmoo6 years ago (edited)

무수히 많은 뉴비들과 헌비들이 스팀잇에서 일으키는 논란이 셀프보팅 논란이다.
마치 스팀잇에 대단한 통찰을 가진듯이 표현하지만 실상은 이것만큼 무의미하고 어리석은 논란은 없다.
우선 스팀잇 증인 중 한 사람인 @clayop 계정을 살펴보자.

그간의 포스팅도 많고 유명인인지라 @clayop 이 누구인지를 인지하는 것은 스팀잇 사용자라면 어렵지 않다. 그리고 이 계정 소유자는 어뷰징(나는 어뷰징이 정확히 무얼 의미하는지 모른다)이라는 것을 하지 않는 것으로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식되어져 있다.

그리고 @korea 라는 계정을 살펴보자.

물론 @korea 계정은 @clayop 이 본인의 서브계정임을 밝힌 계정이다.

그러나 만일 @clayop이 코리아 계정을 본인의 서브계정이라고 밝히지 않았다면, 그리고 지금처럼 단 하나의 포스팅도 없는 상태라면 코리아 계정이 @clayop의 서브 계정임을 알 수 있는 제3자가 있을까? 단언컨데 없다.

만일 @clayop 자신의 스팀파워를 코리아계정에 숨겨두고

@clayop 계정으로 올린 댓글이나 본글에 보팅을 우회한다면 이것은 셀프보팅일까? 아닐까?

좀더 나가서 이런 실체적 진실에 접근할 방법이 있을까?

현실적으로 블록체인 기반에서는 이 실체적 진실에 접근할 방법이 없다. 즉 셀프 보팅 논란은 아무리 이야기 해봐야 해결책이 없다는 말이다.

좀 더 한발짝 나가서 누군가의 계정에서 거래소로 흘러들어간 스팀은 과연 매물이 되었을까?

아니면 다시 다른 계정으로 흘러 들어 갔을까? 실체적 진실은 계정 소유주만이 알 수 있는 것이다.

스팀은 블록체인기반 서비스이다. 이말은 시스템적으로조차도 해결 불가능한 것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셀프보팅이던 보팅풀이던 어뷰징이라는 황당한 단어로 정의 되어지는 또 다른 무엇이던 원인은 단 한가지 이다. 사용자 입장에서 현재의 스팀잇 보상구조가 불균형 상태라는 의미이다. 이 불균형 상태를 바로잡으면 모두 해결될 문제이다. 이 불균형 상태를 그대로 두고 사람들의 행동이 바뀌길 바라는것만큼 어리석은 것은 없다.

스팀잇에서 큰 변화를 일으킨 하드포크가 19 하드포크이다. 19하드포크 이전에는 보상곡선이 2차함수였고, 19하드포크 이후 부터는 보상곡선이 1차함수이다.

19포크 이전에는 2차함수 보상곡선으로 인해 자동봇 보팅이 유행했고 이걸 하면 안된다는 주장이 수 없이 올라왔지만 해결하지 못했다.(스팀보터라는 자동 보팅 서비스 제공 사이트도 있었다)

(당시 논리 중 생각나는 것이 "읽지도 않고 주어진 100불의 보상보다 보상은 1달러여도 100명이 보아주는게 나는 좋다" 였다. 그런데 아이러니 하게도 지금은 "많은이가 보팅해주고 많은이가 보아주는데 왜 셀프보팅만 하고 보팅수도 별로인 고래의 글 보상이 많으냐" 고 논란이 일어난다. 아마도 19포크 이전 사람들과 19포크 이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인듯 싶다.)

1차함수 보상식이 적용되는 19포크 이후에는 자동봇 보팅논란은 없어졌다. 자연스럽게 자동봇이 사라졌고 존재 하더라도 유의미한 수준 이하로 줄어들었다.

스팀은 보상비율을 조절하면 셀프보팅논란은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된다. 그런데 이 비율 조절이 쉽지 않다. 개발자나 증인들은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저자들은 자신들의 몫을 투자자들에게 빼앗긴다고 생각해서 비율조절에 동의할 생각이 없기 때문이다.

나는 보유했던 스팀파워를 절반 수준으로 줄인 상태이지만 여전히 저자보다는 투자자에 가깝다. 나는 투자자 입장에서 현재의 보상비율이 내가 균형점이라고 생각하는 수준으로 바뀌길 기대한다. 가능할지 모르겠다.

나는 7개월전에 이와 관련된 포스팅을 했던적이 있다.

https://steemit.com/kr/@leesunmoo/ned-2

기타 유용한 자료



good luck

Sort:  

셀프보팅은 투자자들이 투자의 매력을 느끼게 만드는 스팀잇의 매리트라고 봅니다. 따라서 셀프보팅을 통해 자신의 최소한의 수익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을 어필하여 성장할 수 있는 강한 동력이 될 수 있는 요인이라고 판단되는데, 그걸 무슨 어뷰징이라는 어색한 영어 딱지를 붙여가며 부도덕한 행태로 몰아가는 주장은 이해 불가능합니다. 저는 애초부터 그러한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고, 그런 언동은 스팀잇을 태생적 본질은 부인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항상 좋은 글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시스템 개발자들이 허용하고 있는데 kr 커뮤니티 내에서 갑론을박 하는것은 아무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셀봇으로 스팀잇이 망하게 될 것 같으면 우리가 말 안해도 개발자들이 고칠 것입니다.

아마도 스팀이 망한다면 셀봇 때문이 아니라 다운보팅 때문일겁니다. 다운보팅은 스팀백서에서 제시한 3번째 원칙에 기반한 다양한 상품의 개발을 방해하거든요.

7개월전에 쓴 저자보상의 숫자를 보니 큐레이션보상이 늘고 저자보상이 줄어들도록 바꾸고 싶다고 하셨군요. 스팀의 보상 배분 비율을 정하는게 정말 어렵다고 느껴지네요. 말씀하신 큐레이션보상이 늘어난다면 스팀투자자들이 더 많아질거 같다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나는 시스템 개발자들이 그것을 허용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공동체의 지도력으로부터 보호가 없다면 특정 공동체에 있다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Steemit이 자동 제어 로봇에 의해 파괴 될 경우 개발자는 말하지 않으면 해결할 것이며 steemit이 녹아 떨어지지 않도록해야합니다. From @boile

저는 셀봇을 반대하는
의견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스파가 높은분들은
보통은 자기자본을 투자를 하였기 때문이라고 여겨집니다만
대체 셀봇을 못한다면 왜 투자를 할까싶습니다

다른분들에게 보상을 주기위한것도 아니고... 물론 스파가 높은 분들 덕분에 큰 보상을 받기도 하는데 말이죠

짧은 저의 소견은 이렇답니다~^^

셀프보팅이 논란이 될 지 논쟁이 될 지는 또 홍역을 치뤄봐야 알 문제지 않을까 싶습니다. 권력이나 파워를 쥔 사람들이 투자입장에서 당연시 하는 셀프보팅은 일개 유저들이 부러워함과 동시에 불만을 낳는 화근이 되는 것도 사실이죠. 커뮤니티의 결속력을 부르짖지만 저자들 역시 스팀잇 진입 후 얼마 안가 투자의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고래분들의 큐레이션으로 숨통이 좀 트이나 싶으면 어느샌가 호의를 당연함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때, 자신의 힘 없음을 권력 있는 자에 대한 불만으로 삼게 될테니까요. 어떤 형태로든 표출합니다. 스팀잇에서 스팀잇 이야기만큼 휘발성이 강하면서도 집중도 높은 컨텐츠는 그렇게 없습니다. 스팀잇에서 하지 못 할 이야기는 없다지만 솔직히 sunmoo님처럼 영향력 지닌 분들이 툭 던져놓는 이야기는 또 다른 화제가 될 겁니다.
본인은 의식하지 않으실 수 있겠으나 지금 또 분명히 화제의 씨앗을 심으신 듯 합니다.
누가 시작을 하든, 논란이 되든 논쟁이 되든 결국은 성장통을 겪는 과정이려니 싶습니다.

DQmbr7DE1VM7QAURN4T1pS8XTAyrMQggJV1Lc6GqzWGmeEA.gif

생각하시는 어리석은 논란과 유사한 논란을 일으키고자 글을 썼습니다.
https://steemit.com/kr/@bumblebee2018/41wvxz
혹시 시간 되시면 읽어보고 의견 남겨주시기를 바랍니다.

읽어보았습니다. 저는 님과 관점이 다르지만 그 차이도 존중합니다. 저는 케이알익스체인지의 글이 그닥 나쁜 컨텐츠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함에도 그것을 나쁜 컨텐츠라고 판단하시는분도 계실 수 있다고 봅니다.

very nice pots

리스팀 해서 차근히 살펴 봐야 겠어 요.
좋은 내용과 정보가 가득 담겨 있네요.
감사해요.

정답은 없는듯 합니다. 개인의 목적에따라 정답이 달라지는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저도 뉴비지많 많은 뉴비들이 옳다 그렇지 않다라고 이야기하지만 막상 그런상황이 오면 그 생각도 달라질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일어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마음만 먹으면 티 안나게 셀프보팅을 할수도있기때문이죠.^^
좋은글 감사합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논쟁이 일어나는 건 무의미하고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말씀이시군요.

애초에 논란이 필요 없도록 이상적인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어려울까요?
아직까지는 약간의 보팅과 댓글에 행복해하는 뉴비지만 계속 이렇게 스팀잇을 즐기고 싶군요^^

7개월전의 링크를 보니, 오래(?)된 문제(?)군요. 그 보다는 스팀잇의 본질에 관한 화두인 듯 하네요.
스팀잇에서 보상비율의 변경은 증인을 통한 투표로 결정한 다음, 포크를 하는 것이지요? 블록체인을 들여다 볼수록 해당 체인의 장점과 단점이 이 합의구조로 항상 귀결되는 느낌이네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선무님 글을 천천히 읽어봤는데 저랑 생각이 비슷한 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는 스팀의 3대 불안요소가 셀프보팅, 보팅봇, 그리고 증인선출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지금의 시스템은 오히려 샐프보팅과 보팅봇을 사용 안하는걸 바보로 만드는데 합리적인 유저라면 당연히 사용하겠죠. 그들을 탁하기 전에 시스템을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은 eos 개발을 떠난 dan larimer가 이러한 문제점을 잘 인식하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과연 스티미언들은 자신의 배만 두들길지 아니면 커뮤니티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것인지.. 하드포크 20에서 정답이 보이리라 생각되네요.

안녕하세요 이선무님, 이해되는 부분이 많이 있네요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편안한 저녁시간 되세요.

자본주의 형태가 재현된 스팀잇이지만
그렇기에 각자의 자유를 두고 긴 말 하는 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도에 지나친 어떤 행동이 아니라면
즐기자가 아닌 투자의 목적인 분들을
인정해 드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에구
님의 다른 글을 읽으려고 닉네임을 클릭하다가 언팔로우가 눌러져서 다시 팔로했습니다 실수였어요 >!<

제가 있는 태백 작업실에 오늘
눈이 펑펑 내렸습니다
눈 구경 오셔요

언젠간 이글을 kr에서 볼수 있기를

아마도 보상문제는 개선이 되겠지요?
물론 금전적으로 투자하신 분들에게도 수익이 보장되어야하는거구요
말씀하신
불균형 상태를 차차 해소해주리라 믿습니다

언젠가는 그럴날이 올거라고 기대하고 있기는 합니다만....그때까지 제가 스팀에 투자를 하고 있을지는 알 수 없을거 같습니다.

보상비율을 조정하는 것, 공론화가 필요하겠어요. 많은 사람들이 알아야겠네요.

네 아마 시스템이 바뀌어야 하는 부분도 있다고 봅니다.

알면 알수록 재밌는 곳이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여기에 널리 퍼져있는 사람들에게 의미가있는 게시물, 여기 @leesunmoo는 다른 것들에 게시물을 올리는 데 똑똑한 엉덩이를 전하고 싶다. 말하기에는 우리는 그러한 대화의 본질을 숙달해야합니다.

@leesunmoo를 게시하는 것은 매우 현저합니다.이 글을 통해 문구 단어에서 볼 수 있습니다.이 경우 meurut는 steemit에 관한 더 많은 진정한 마스터에게 나를 포함한 초보자를 mdmbimbing하기위한 제 3자가 있어야합니다. 이것이 내가 바라는만큼 유용 할 수있는 것입니다.
작성자 : @ alfan13

스팀잇이 글의 가치에 의해 성장하는 시스템을 표방하는 만큼, 논의는 가치있다고 생각해요. 모두가 한줄짜리 댓글달고 셀프 풀보팅한다고 가정하면 망하는 건 순식간이죠.

짧은 저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말씀하신데로 셀프보팅에 대한 논란은 큰 의미가 없다는 점에 동의 합니다.
스팀잇은 투자자와 저자가 공존하면서 투자자들의 목적도 보장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뉴비로서 유용한 글들이 링크되어 있어 두고 읽어 보려고 리스팀합니다.

We appreciate your post always

멋진 게시물, 항상 감사합니다.

@leesunmoo님, 스팀챗 확인 부탁드립니다. :)

죄송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챗을 하지는 않습니다.

나는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이야기를 많은사람이 보아야 하는데
태그를 leesunmoo라는 태그만 다시는 이유를...

좋은글 감사합니다ᆞ

저는 아직 초보라 양쪽의 의견을 다 읽어보고 있는중입니다. 셀프보팅 옹호와 반대 각각의 의견을 들어보면 둘다 타당한 의견을 주장하고있습니다.아직은 제 자신이 좀더 공부를해봐야겠네요

기능이 문제가 있으면, 개발자들에게 의견을 제시해서 수정을 요구하면 되는 것...
우리라도 하지 말자... 라고 하는 것은 조금 무리한 요구가 아닌가 싶습니다.

75D5FC2E-2914-4D3A-8A2D-C649BC00357A.jpeg
Good luck my dear friend @leesunmoo 👍👍😉

예를 잘못드신것 같습니다ㅎㅎ 본인이 직접 하셨던 @steemhelpers 같은 좋은 예를 두고 굳이 커뮤니티 소모임 지원하는 @korea를 말씀하신 의도가 무엇인지야 뻔하긴 합니다만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