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e's 번역 이야기] #7. "나 잘하지?"는 뭐라고 번역하지?

in #translation7 years ago

번역.jpg


안녕하세요, 책 읽고 글 쓰는 Bree입니다.
저는 @tata1 님의 붓툰 시리즈를 영어로 번역하고 있는데요. 번역하는 도중에 나오는 재미있는 표현들, 조심해야 할 표현들을 알려드리고, 또 어떻게 번역할까 고민하는 과정이나 뒷얘기들을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

Hello, this is Bree. I'm translating @tata1's Bootoon series. I think my postings can be helpful to those who study English and want to translate Korean into English. So I'd like to share translation tips, do's and don'ts, etc.

"Good" is very easy word, I'm sure you can't find a single Korean who doesn't know that word. And yet it has so many meanings in it, sometimes it's hard to catch all the meaning. If you ask Koreans to translate "잘하다" into English, they probably say "do (something) well". In this episode, I explained that they can also use "good" in the same context.


오늘 공부할 @tata1 님의 붓툰을 먼저 볼까요? 마니님의 귀여운 활약상을 볼 수 있습니다. ^^

[붓툰bootoon 육아일기-근거없는 자신감]

여기에서 같이 공부하고 싶은 몇몇 표현들이 눈에 띕니다. 바로 "근자감"이라는 표현과, 마니님의 명대사 "아빠, 나 잘하죠?"입니다.

근자감


문제집의 답을 보고 풀면서도 아빠한테 "최고로 똑똑한 마니"라고 당차게 얘기했던 우리의 마니님! 어릴 때부터 근자감이 남달랐는데요. 이 근자감은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

영어로 번역하려면 우리말부터 차근차근 따져봐야 한다는 걸 이젠 잘 아시죠? "근자감"은 무슨 뜻일까요? 근자감은 "근거 없는 자신감"을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실력도 별볼일 없고, 가진 것도 하나 없는데도 자신감만은 하늘을 찌를 때 쓰는 말이지요. 그렇다면 이런 말은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strange sense of confidence

일단 자신감은 'confidence'라고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self confidence, self-assurance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고요. 남들 같으면 자신감을 가질 상황이 아닌데 자신감이 넘치다니, '자신감'에 대한 '정의'나 '센스'가 남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감에 대해서 정말 희한한 센스를 가졌다"는 걸 나타내기 위해서 strange sense of confidence라고 표현해봤습니다. (strange 대신 '희한한'이라는 뜻을 가진 weird를 써도 됩니다.)

하지만, 제가 막상 번역본에 쓴 표현은 다른 거였는데요. 바로 이겁니다.

groundless confidence

ground'땅'이라는 뜻도 있지만 '(어떤 일의) 근거, 기반, 이유'라는 뜻도 가지고 있답니다. 거기에 '~가 없는'이라는 뜻의 less가 붙어서 groundless가 되면 '근거 없는, 사실 무근의'라는 뜻이 됩니다. 저는 근자감을 있는 그대로 번역해서 groundless confidence라고 썼지요.

지금까지 제 글을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영어로 XX는 우리말로 OO다"라고 단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황과 문맥에 따라 다르게 사용해야 하니까요. 그러니 "근자감이 groundless confidence래."라고 외우지 마시고, 아래 표현을 다양하게 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e has strange sense of confidence. 걔는 자신감에 대한 센스가 남달라.
I had groundless confidence back then, just as now*. 그때에도 (지금처럼) 근자감이 쩔었어요.

(just as now: 지금처럼, 지금도 그렇듯이)


I had groundless confidence back then, just as now. 그때에도 (지금처럼) 근자감이 쩔었어요.


나 잘하죠?


"잘한다"는 말은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 한국분들에게 "잘하다"를 영어로 번역해보라고 하면, 대개는 "do something well"이라고 합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맞는 번역일 수 있지만, 어떤 때는 이런 번역이 미국인의 눈에 영 낯설게 보일 때가 있답니다.

어린 마니가 아빠에게 물어봅니다. "아빠! 나 잘하죠?" 여기에서 "잘하다"는 "실력이 좋다"는 말입니다. 즉, 아빠한테 "내 실력 좋죠?"라고 물어보는 거지요.

Did I do well?이라고 하면 "나 잘했어요?"가 됩니다. 뭔가를 해놓고 "나 지금 잘했는지"를 묻는 말이죠. 이 말은 "나 잘하죠? 내 실력 좋죠?"가 될 수 없답니다. 헷갈리시나요? 이 문장을 평서문으로 바꿔 놓으면 더 이해가 잘 갈 겁니다. You did well이라고 하면 "너 잘해.(너 실력 좋아)"가 아니라 "(넌 이번에) 잘했어."라는 말이 되거든요.

A: Did I do well? (나 잘했어요?)
B: Yes, you did well. (그래, 너 잘했어.)

자, 그럼 "나 잘하죠?"는 영어로 뭘까요? 더 뜸들이지 않고 바로 알려드릴게요. 뚜둔~!!

Am I good or what?

놀라셨나요? good은 그저 '좋은'이라고만 알고 계신데요, "~를 잘하다"라는 의미로도 사용한답니다. 바로 뒤에 붙은 or what앞에 한 자신의 말을 강조하거나, 동의를 구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즉, 우리말로 자연스레 번역하자면 "어때? 나 진짜 잘하지? 잘하지 않냐?"라는 의미를 더해준다고 보면 되지요.

Am I good or what? 나 잘하지 않니?
Is this a good book or what? 이 책 좋지 않니? 그렇지?

번외로 한 가지 더 알려드릴게요. 만일 상대방에게 "너 쫌 하냐?"라고 묻고 싶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상대방이 잘하는지, 실력을 묻는 거니까 위에서 말한 good을 사용하면 좋겠죠? 하지만 그냥 Are you good?이라고는 하지 않아요. 문법은 맞을지 몰라도 미국인들은 이렇게 쓰지 않는답니다. 대개 영어에서는 여기에 any를 넣어서 아래처럼 말합니다.

Are you any good? 너 쫌 하냐? 너 실력 좀 되냐? 너 좀 잘하냐?

아빠! 나 잘하죠?
Daddy! Am I good or what?


오늘 번역은 어떠셨나요? good은 쉽지만 여러가지로 해석이 될 수 있는 단어랍니다. '착하다, 좋다, 괜찮다, 잘하다' 등등. 앞으로는 '잘하다'라는 말에 good을 써보세요.

앞으로도 재미있는 번역 이야기 들고 오겠습니다. 지금까지 Bree였습니다! :)


관심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 제가 번역했던 @tata1님의 글 링크를 남깁니다. 그림이 있고, 글이 짧아서 영어로 읽기에도 좋아요. 한글판이 있으니 함께 보시면 영어 공부에도 더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shift 키를 누른 채 누르시면 새창으로 뜹니다.)

Please check out @tata1's Bootoon series in English below before you go. Press shift key and click, then a new window will pop open.

Korean version: [붓툰bootoon 육아일기-근거없는 자신감]
English version: [BootToon] parenting Diary - Groundless Confidence

본문에 쓰인 @tata1 님의 그림은 저자의 허락을 맡고 사용했습니다. ^^


덧붙이는 말씀: 번역가는 저마다 자신의 철학과 기준에 맞춰 고심 끝에 번역을 합니다.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는 제가 번역한 것이 틀리다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명백한 오역이 아니라면, 틀린 게 아니라 '다른 번역'인 거라고 이해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물론 건전한 토론과 질문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Bree's 번역 이야기] 지난 글들 최근 5개 링크입니다.
@bree1042를 팔로우하시면 더 많은 번역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

[Bree's 번역 이야기] #2. "그래"는 뭐라고 번역하지?

[Bree's 번역 이야기] #3. "누가 그래?"는 뭐라고 번역하지?

[Bree's 번역 이야기] #4. "덜 익은, 농익은"은 뭐라고 번역하지?

[Bree's 번역 이야기] #5. "됐어."는 뭐라고 번역하지?

[Bree's 번역 이야기] #6. "차를 (손으로) 끌고 가면 힘들어요."는 뭐라고 번역하지?


follow_bree1042.gif

Sort:  

Cheer Up! 댓글이 많은걸 보고 궁금해서 왔습니다!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링크프로젝트] "어문학/languages 13차" 강의료입니다. 행복하세요~

https://steemit.com/kr/@soosoo/languages-14-update-17-11-03-7-125


tip! 0.280

땡큐~!!

Beautiful Post well done

Thank you.

Am I good or what? 나 잘하징?
늘 재밌어 **

오늘도 방문해주셨네요. 고맙습니다.
정말 잘하셨어요. :)

Good morning !!

굿모닝~! :)

읽으면 피가되고 살이되는 불이님의 포스팅 너무 좋아요 ㅎㅎ^-^

제 글이 찌개백반하고 동급이었군요! 고맙습니다. :D

정말 쏙쏙들어오는 영어입니다ㅎ
친절한 설명과 함께 잘보고갑니다~~

말로 설명하기보다 글로 하는 게 더 어려운데, 전달이 잘 된거 같아 기쁘네요.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Am I good?" 생각하며 들어왔는데 맞았네요!

오오, 영어 논문 많이 읽으신다더니, 영어실력 좋으신데요! :)

오늘도 유익하게 잘 배웠습니다

항상 들러주시고 댓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제 글이 영어공부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

good 에 저런 의미도 있었군요. ^^
오늘 좋은 표현을 또하나 배웠네요~

Good은 쉬운 단어지만 여러 의미로 쓰일 수 있어요. 쉬운 단어일수록 활용도가 높답니다. :)

잘읽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00922E3A-63FF-4587-88FA-811DBC5D1032.jpeg

오늘 브리님의 이야기도 Good입니다요! :)

ㅎㅎㅎ 이 고양이들은 어디서 구하셨어요?
고맙습니다! :)

히힛 타타님의 포스팅도 재미있게 읽었는데..
이렇게 번역 이야기도 재미있습니다.
마니님 너무 귀여워용. ㅎㅎㅎㅎㅎ

그쵸? 아드님에게도 이런 귀여운 에피소드가 많겠지요? :)

정말 번역과 타타님 붓툰 홍보 둘 다 되는 일석이조의 컨텐츠군요 :)

네. 누이 좋고 매부 좋고, 브리도 좋고 타타님도 좋고! ㅎㅎ

학부시절 한 교수님이 매번 수식 전개하시는 도중에 "Am I wrong?" 하셨는데 그게 생각나네요 ㅋㅋ

그렇군요. 교수님들 중에는 꼭 그렇게 영어를 섞어서 쓰시는 분이 계시죠? 저도 한분 기억나네요. :)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브리님 ㅋㅋㅋ붓툰과 함께 보니 더 쏙쏙 잘 들어오네요

썬샤인님의 쌍따봉~!! 보기만해도 기분 좋아요. 오늘도 즐겁게 하루 시작합니다. :)

와.. 브리님 강의는 언제나 뜻이있고 명쾌합니다.. 진짜 @tata1님이랑 합심해서 나중에 책한권 출판해도 될것같은데...

오, 그렇군요. 한권이 아니라 여러 권, 시리즈로 내야겠는데요! :D

네! 브리님 정말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그냥 심심하고 따분한 영어책과는 달리 인기가 많을것 같아요:')

잘 배웠습니다.^^
근자감이란 말을 생각해 본 적도 없어요.ㅎㅎ
걍 over confidence 정도 ㅎㅎ

Overconfidence도 맞습니다. 그런데 우리말 근자감은 낙차가 좀 큰거 같아요. 예를 들어 반에서 10등 하는 애도 자신감이 넘칠 수 있지만, 그런 때 근자감을 쓰기보다 전교 꼴찌가 지나치게 자신감이 넘칠 때 근자감을 쓰는 거 같거든요. "자신감이 있으면 안되는(?) 상황인데 자신감이 넘치는" 상황을 재미있게 표현하는 의미로 이해했어요. :)

Did i do well을 떠올렸었는데..
영어 좋아하는 제 룸메 귀가하면 써먹어봐야겠어요~~^^
am i gooooood?나 잘해쪙~?ㅋㅋㅋㅋ

홈슐랭님, 나 잘했어?가 아니고, "나 잘하지?"입니다. 뜻이 좀 달라요. ^^;;
요리 멋지게 차려놓으시고, "나 잘하지? 나 쫌 하지? 나 실력 어때?"라는 의미로 Am I good or what?하시면 돼요. ^^

or what이란 표현이 이런 뜻이 있는 표현이었군요! 좋은 표현 배워갑니다+_ + 항상 피와 살이 되는 좋은 표현들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ㅎㅎㅎ

피와 살이 되는 표현으로 제가 가나님의 다이어트를 방해하고 있었네요. ㅎㅎㅎ 그래도 가나님은 예쁘시니까, 괜찮죠? :)

타타님은 ~~ 너무~~ 행복하실 것 같아요~ ^^~
근자감 ^^ groundless confidence 는 생각해 보지 못했어요. 느낌 팍!!! 전달 됩니다. ㅋㅋ 모든 부분을 늘 너무 잘 살려 주시는 듯합니다~ :)
감사합니다.

느낌이 팍!팍! 전달됐나요? 늘 고민하는데 어떤 때는 번역이 잘 됐다고 신나하다가, 어떤 때는 안 된다고 우울해하다가 그런답니다. ^^;

뭔가 블록체인내 마이닝 과정을 보는 듯한 느낌; 결론만 들으면 알겠는데, 그 학습과정이 어렵단 말이네요~ ㅎ ^*

ㅎㅎㅎ 오늘 설명은 실패했네요. 잘 설명해드리고 싶었는데. 다음엔 더 노력하겠습니다. :)

오늘도 좋은 정보 알아갑니다. 저도 어서 빨리 저 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Am I good or what?

You're already good! Excellent!! :)
당연히 잘 하시지요!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잘배우고 갑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Good job!!^_____________^

Thank you!

제가 했던 말들은 모아서 그림으로 그려주시는 아빠도 감동..
그 웹툰의 표현들을 이렇게 적절하고 멋지게 번역해주시는 불이님도 감동...ㅠㅠ
제 말투의 뉘앙스까지 제대로 담긴 영어문장을 공부하다니, 기분이 묘하네요 XD

왠지 Am I good or what?은 요즘에도 마니님이 입에 달고 사실 것 같은데요? ㅎㅎ
붓툰 보며, 번역하며 제가 오히려 얻는 게 더 많은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