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구속 이벤트 결과 보고입니다 : 스팀잇의 미래는(future of steemit)?

in #kr6 years ago (edited)

드디어 송금 완료했습니다.

https://gateway.ipfs.io/ipfs/QmVzn6GCMMYxa7bs46gmqQfo7DbkLoArPRH3ZreaoZ1Zop

거래소 스팀 가격의 급락으로 인해 제 지갑에 100SBD가 들어올 때까지 송금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제 보고도 늦어지게 된 점 양해 바랍니다. (처음엔 예상 금액이 $100 넘게 찍혔었는데 열흘만에 이렇게 쪼그라들었네요 ㅠㅠ)

https://gateway.ipfs.io/ipfs/QmengMbgmxVzR4QhU8aCWNfwNGmbA5CvyEUWZVzfWL8JPt

우선 관심 가져준 모든 분들께 고마움을 전하고 싶습니다. 지난 1주일 동안 진행된 이벤트에 많은 분들이 참여하셨습니다. (링크: [이벤트] 이명박(MB) 구속 기념, 댓글 단 모든 분께 1SBD를 송금합니다) 물론 단순하게 스달을 경배하는(눈먼) 분들도 있었겠지만, 댓글을 보면 굉장히 많은 분들이 스달을 송금하지 말라는 요청을 하셨습니다. 저는 MB와 달라서 1/n이 정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일단 댓글 다신 모든 분께 1/n을 송금합니다. (이를 위해 기술적으로 도움을 주신 댓글 분석 툴(바로가기)을 개발해 주신 @segyepark님과 송금 시스템([Tool] 여러 사람에게 간단히 SBD 전송하는 툴 스팀-릿(SteemLit))을 개발해 주신 예비 증인 @asbear 님께 고마움을 전해 드리고 싶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개가라고 생각합니다!)

https://gateway.ipfs.io/ipfs/QmWdjAr84ESWbaFsGEe7NnD8pEEoH9AN1xfgUSgLwJpghx

kr 커뮤니티에서 활동하시는 스티머가 얼마나 되는지는 저도 잘 모릅니다. 제가 이벤트를 시도했던 것은 개인적인 '기쁨' 때문이기도 했지만, 우리 스팀잇 kr 커뮤니티의 스티머들이 어떤 마음인지 알고 싶었던 점도 있습니다. 스크린샷에서도 보실 수 있겠지만, 참가자 수가 396분(중복 참가자도 있고, 봇들도 있기 때문에 툴을 써서 중복을 걸러냈습니다)이고, 중간 홍보([이벤트 확장] '이명박(MB) 구속 기념, 댓글 단 모든 분께 1SBD를 송금합니다'에 덧붙여)에도 많은 동참이 있었습니다(이 두 번째 글에만 댓글로 참가 의사를 밝히신 분은 데이터 처리를 하기 어려워서 참가자 명단에 포함하지 못했음을 송구하게 생각합니다). 여러 분들의 후원이 있었고(@dakfn 님 10SBD, @floridasnail 님 5SBD, @yhoh 님 5SBD), 특히 @busy.pay 느님이 이벤트 공지 두 곳 모두 다녀가셨습니다. MB 구속을 기뻐하시나 봅니다. 한 번 더 고마움을 표하고 싶습니다.


스팀잇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됩니다. 정치란 무엇일까요? 선거 때 맘에 드는 후보에게 표를 주거나, 공짜 휴일이니 놀러 가거나, 처음부터 아예 내 문제가 아니거나, 등 가지각색일 겁니다. 스팀잇은 어떨까요? 저는 스팀잇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어우러진 축소판 사회, 아니 어쩌면 새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세계라는 생각이 큽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이미 만들어진 사회에서 눈을 뜨며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지금 새로 열리는 사회는 (가령 스팀잇 같은 사회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사회입니다. 아직 여러 약점은 있지만 그 어떤 사회보다도 참가자들의 의사가 반영되는 사회입니다. 이 안에서는 한 사회가 필요로 하는 많은 것들이 조달되고 유통됩니다. 특히 디지털 컨텐츠가 대표적입니다. 생산, 유통, 소비가 이루어지고, 스팀달러와 스팀이라는 화폐가 그 과정을 매개하고 있습니다. 자율적인 작은 사회가 형성되어 성장하고 있는 것이지요. 미래의 모습은 어떨까요? 저는 이번 이벤트에서 작은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사람들은 정치에 관심이 없는 게 아닙니다. 관심이 많지만, 표출할 방법을 차단당했거나, 표출을 가로막히거나 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작지만 내가 표현한 의견이 최종 결과에 반영된다는 걸 느낄 수 있다면 참여는 거듭될 수 있을 겁니다. 지금까지 정치는 참여를 원천적으로 방해하는 과정이었습니다(대개 그랬다는 말입니다). 스팀잇 사회는 다릅니다. 각자에게 스팀파워가 있고, 그것을 통해 자신이 가진 만큼 권한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거버넌스'라고 부르더군요. 물론 스팀파워는 곧 시장에서 구매한 스팀 아니냐, 결국은 '현질'이니까 현실 세계와 다를 바 없다는 회의론도 있습니다. 저는 절반만 동의합니다. 현실 세계의 실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스팀잇은 훌륭합니다. 현실 정치에서 1인 1표가 통한다고 생각하는 분은 순진한 거지요. 이재용이 나와 같은 한 표를 던진다고 보시나요? 이재용의 한 표는 내 한 표보다 수백만 표 가치가 있습니다. 스팀잇의 용어로는 '고래'인 것이지요. 스팀잇에서는 오히려 그렇다는 점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그래서 많은 생각을 해 볼 수 있게 해 준다는 장점이 있다는 겁니다. 스팀잇 거버넌스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여러분 중에는 플라톤의 [[국가]]나 로크의 [[통치론]] (= [[시민정부론]])이나 루소의 [[사회계약론]] 같은 책을 보신 분이, 아니면 적어도 들어보신 분이 있을 겁니다. 이런 정치철학 저서들은 세상을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 하는 고민을 담고 있습니다. 저는 철학을 공부하고 실천하는 사람으로서 오늘날 새로운 '정치철학'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저는 스팀잇을 분석함으로써 그런 일을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지금까지 2500년은 플라톤이 제시한, 또 최근 250~300년은 로크나 루소가 제시한 정치철학이 논의되어 왔습니다. 그 논의들은 앞으로도 얼마간 유효할 겁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의 발명은 새로운 세상을 생각해 보게 합니다. 달라진 세상에는 새로운 정치철학이 필수적입니다. 저는 앞으로 그 작업을 해 나갈 생각입니다.


참가자 명단을 소개합니다.

@kungdel @backdm @musicholic @gfriend96 @feelsogood @akuku @knight4sky @shin0288 @moonm00n @chosungyun @alrose @yahweh87 @noisysky @lalaflor @illluck @nps0132 @pinse00 @songa0906 @euijin @bjsj0517 @millionfist @learntorun @ohnamu @minu0316 @bonyjo @wonnieyoon @salthd @amugae @goyongwoong @plan2f @ownyoo @showroo @wcn00133 @omnit @k3g3m @garden.park @thegreatgatsby @chkim4431 @son10001 @perspector @timeis @huti @ryh0505 @shimss @jslee @deep-root @zzings @dollarlove @cmelody @darkhorse81 @thewriting @mssy1004 @fred9 @floridasnail @jineos @sensman @jonghyunchun98 @chipochipo @leebs12 @noctisk @saywithme @sirin418 @rebil @rideteam @terrykim2479 @beyondbelief @napole @nineday85 @hyokhyok @ksheva1 @blake.heo @ganna20 @swhomme @chocolate1st @karlkim1 @lekang @breadpark @rudolph @mdoo824 @aaronhong @yeul0227 @harien @paxnet @sungbini @feun @hwantag @likersh7 @marskyung @hijuyean @steemitlsh @capt.shlee @sakra @card1001 @jaybirds @pladonil @mike0427 @totomay @dikasterion @wdtf22 @junghwan.kim @dmsqlc0303 @cryptoapprentice @newage92 @blackyo @gnujoow @combang1 @lianlee @smartbear @romanticfloor @glorias @kiyaa @wanabe @lynnata @smartysk @comaiiii @keydon @kimegggg @aoo @lupinthe3rd @ghappy @youngbin126 @jskn86 @matt788587 @tip2yo @louispark @fenrir78 @gaeteul @beatj @energizer000 @jjjjabe @seonjong.kim @coffeex @millionarylife @youzinne @hino60 @vossam @dwkim @virus707 @caferoman @heonbros @lucky2 @minsky @terryr8 @bellahwang @q0000 @hawaiiirules @angelokim @makimaki2 @realmankwon @photowc @cjmlove321 @kuchenheim @leeki7801 @ttgamja @hygge @qlfxkdla @oldgold90 @hera0s @karoid @mth7890 @knowkorea @oh-really @eth0619 @smartcome @davidji0123 @snsdleksns @keyth @mnsun @scottbrian @rainingfall @sumomo @hiduck @hodolbak @yibt5227 @cacoong @namchankyu @kyongg02 @gomsee @etpo55 @freegon @faudhwang @eurus @bumblebee2018 @novafox @ysjin90 @beingsiin @mrunderdog @bellomedley @fast.rabbit @kim0jh0 @sherlockly @gidung @gilma @springlining @kyj1218 @beoped @matt921 @woojooo @facai @coscos @agawolf @ellenalee @hideseek @onizuka @kyberlee @kangsukin @yourhoney @frenzy27 @namenkim @gteeting80 @cyan2017 @zionis33 @kosun @gomdorisweethome @dennis76 @ganzi @ngmans @hicul24 @yellowscv @annayoo @tkki @dyd2663 @dakfn @bewater7771 @munhwan @smigol @innople @swsw3073 @toporo @jaeseokyu @hopeingyu @ninetykids @baeni-wife @flightsimulator @ebq @gondre @j-rodriguez @pss1019 @haryang @cho-jja @ravenclaw69 @marusteel @greenswell @hawkshim @hyeongjoongyoon @yunji @depurant @namdo1 @ireayuko @yongja7 @neofuture @star02037 @naha @thecminus @ljj315 @kimkwanghwa @sampling @crawfish37 @epitt925 @eugine @yhoh @kimsungtee @goodcontent4u @peanut131 @bella99 @kunastory @heejae @woogie1018 @dreamisnowhere @songbj @isogo @qriospace @kyju @thinky @chonjang @pungwoljuin @hamabe @hogu @bygon @portamento2211 @vanila @tizianotiziana @ladajh @amazonn @sunnyshiny @onehand @jessebook @bezzangi @matildah @jangkeum @sangwoan @autoluna1984 @riverbrane @yisak @madlife @mentalux @ravenkim @song1 @good21 @backjungmin @caprica1 @steemitalone @bitjuseyo @stta1424 @s777man @nonmooner @mimistar @seoinseock @ssonginvest @jd8578 @nch1234 @yota3 @blackswan-s @bluetahiti @judonggyun @trade05 @sanghkaang @excepter @pullmeta @treasurepark @djham @amukae88 @dissolve @candle @creativecreature @honoo @dkssud7530 @dong0611 @oprth @pino5ive @siwoo @paran-k @sojin1020 @styner @posthuman @jjangh1717 @legend36 @str7motor @whyseew @keonkim @wingsi @unben @mathetes @dorian-lee @banguri @jeromepark @hjcho1 @autokjk70 @hyunwungjae @steamsteem @vamonos @stoney.kang @nannana777 @levis7316 @byulbarun @phuzion7 @brunch @dropthebeat @sadmt @mooyeobpark @goodhello @ohnusak @futurecurrency @hee4552 @arteo @limzua @saskae @jungch98 @danbain @minseungchoi @potosi @magbit @steve.off2 @suin-mom @soohyeongk @chunseungho @wkwn71 @isagm @shake.stir.sip @jjian @chachac @zgkim @tkdgjs79 @sjs90 @sdim @subi @zwkim @choim @sh931216 @bombit @developer79 @cine @ghdcks10 @happylazar @saywithme @koreaguide


지금까지 @armdown ('아름다운') 철학자였습니다.

팔로, 보팅, 리스팀('팔보리')은 스팀잇 사랑 3종세트입니다.

Sort:  
There are 2 pages
Pages

감사합니다! 마지막 문단이 마음에 꽂히는군요. 새로운 철학 저도 잘 보고 배우겠습니다. 팔보리!!

성원에 감사하는 마음을 전합니다.

3종 세트 날립니다
저도 그 실험 계속해 나가는데 일조 하고자 합니다
우리가 모두 함께 살아가야 하는 이 공간을 잘 가꾸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요호 님은 벌써부터 해나가고 계신 걸요.
함께 만들어 가요.

감사합니다 :D
많은 걸 생각해보게 하는 글이네요. 플라톤의 [국가]를 읽으려고 빌렸다가 결국 못 읽고 반납했는데 읽어봐야겠습니다

당장 '국가'를 읽으실 필요는 없겠습니다만,
스팀잇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네 :D
@armdown님 글은 정치 사회 공부가 되서 좋아요

감사합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같이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네. 함께 가봐요~

감사합니다~~
팔보리 진짜 좋은 말이네요 ㅋ

하하, 특허권을 주장하고 싶진 않습니다^^

사람들은 정치에 관심이 없는 게 아닙니다. 관심이 많지만, 표출할 방법을 차단당했거나, 표출을 가로막히거나 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작지만 내가 표현한 의견이 최종 결과에 반영된다는 걸 느낄 수 있다면 참여는 거듭될 수 있을 겁니다.

이 부분이 목말랐던 부분 인거 같아요~!!
감사해요^^

제가 스팀잇을 소중하게 여기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작은 단위에서 정치 실험이 가능하고, 사회를 만들어가는 일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굉장이 많은 분들이 동참하셨군요.
스팀잇이라는 새로운 세상을 우리가 함께 만들고 있다는 사실이 정말 재미있네요.
엠비 구속 축제의 판을 깔아주신 @armdown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많은 분들이 동참하셨다는 게 스팀잇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게 볼 수 있게 해 주는 대목이라고 봐요.
고맙습니다.

조금전 받았는데 고맙습니다. MB구속은 지난달 최고로 기쁜날입니다. ㅎㅎㅎ

(스팀 경제가) 어려운 시절이라도 잔치 할 건 해야죠^^

감사합니다. 송금 거부했었는데 1/n실천하신 덕분에 저도 받았네요. MB가 구속되었을 때는 마냥 기뻤었어요. 지나고 나니 20대의 대부분을 지금은 범죄자가 된 대통령들과 함께 보냈다는게 뭔가 씁쓸하면서도, 응당 벌을 받는 사회가 와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동시에 듭니다. 시대가 변해서 이제는 20대를 시작하는 분들은 저와 같은 시간을 보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말씀입니다. 저도 학생들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한 10년은 참 안됐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젊은 학생들과 우리 아이들에게 좋은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어서, 뉴스만 보면 신나요^^

고생하셨습니다^^
앞으로의 활동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열심히 해볼게요.

기쁜 마음에 댓글 달고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

숨겨놨던 용돈 찾은 기분^^;

맞아요 ^ ______ ^

스팀잇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뜻깊은 이벤트 진행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스팀잇을 통해 여러 실험을 해보고 싶어요.
고맙습니다.

쉽지 않은 이벤트였을 텐데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팀잇에서는 이런 일도 가능하구나, 라는 걸 함께 느꼈으면 하는 바람이 컸던 것 같습니다.

정말 멋지십니다. 앞으로도 함께 응원하겠습니다!

상식이 곧 정의라고 생각합니다....비상식이 지배했던 9년은 끔찍...감사합니다 좋은일 하셨으니..그만큼 좋은일 많이 생기실겁니다.

좋은 일은 우리 촛불시민이 함께 해가고 있는 걸요.
좋은 일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네요.

이곳이야 말로 ‘무지의 상태’ 가 이상적으로 접근된 곳이라고 생각해요! 물리적인 사회보다도 모두가 어느정도 눈이 가려진 상태에서, 그리고 코인이라는 파이를 놓고(외부에서 사서 들여온 것보다 더 많은 자원이 미획득 상태라고 놓여있다고 생각합니다) 서로가 원하는 것을 얻기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하고자 하는 공간인 셈입니다

정치란, 복잡하면서도 상당히 단순하게 느껴집니다 저의 경우에는 공동체(어느 집단)에 속한 사람들을 생각하느냐, 그렇지 않느냐로 찬반이 1차적으로 갈리는 거 같아요 제가 MB 구속을 기뻐하는 이유도 사람들에게 뒷통수를 후려쳤기 때문에 느껴지는 배신감에서 비롯되는게 가장 컸습니다

저는 여기서 스팀잇이 사람답게, 그리고 정당한 보상들을 가져가고, 또한 나눌 수 있는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상당히 큰 프로젝트 진행하느라 쉽지 않으셨을텐데, 수고많으셨습니다 끝으로, 3종세트 착실하게 하고 갑니다 ㅎㅎㅎ

이곳은 사회가 막 형성되는 원시 상태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스팀잇이 여러 사회적 실험을 하기에 딱 좋은 것 같고,
초기 참가자들이 많이 호응해 주시는 것 같아 고마운 마음입니다.
이것저것 더 해볼 생각입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고맙습니다. 다 덕분입니다.

좋은 이벤트에 동참했을 뿐인데 ㅎㅎ;;
감사드리고 4월에도 좋은 MB 이벤트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

남북정상회담 이벤트 뭐 그런 것이 마구마구 기다리고 있습니다^^

뭔가 했어요... 일일이 정리하고 보내는 것도 일이겠네요... 고맙고 수고하셨습니다.

본문에 밝혔지만, 많은 능력자 분들이 계셔서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고맙습니다.

흐 흥 딱히 보태주려고 풀보팅 두번 한게 아니라능

ㅋㅋ so cool~
그래도 고맙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다 덕분입니다. 혼자 해서 되는 일이 얼마나 되겠어요.

플라톤의 국가, 존 로크의 통치론 제가 정말 좋아하는 책입니다

스달 감사합니다 철학자 횽님 :)

스달이 거래소에서 100만원쯤 가게 되면, 식구들 회식 한 번 할 수 있을 거예요^^

여러가지 깨달음이 있는 나눔이었네요. 단순 이벤트가아닌 현실정치와 앞으로의 미래까지 고민해보게 되는 시간입니다. 영원히 남겨지게될 블록체인에 대학교 대자보처럼 붙은 참여자 리스트. 미래에 또 다른 정치참여의 의사표현의 형태로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ㅎㅎ. 맞네요. 대자보처럼 박제된 리스트.
세상이 계속 좋아야겠습니다. ㅋㅋ

설령 세상이 좋지 못하더라도 자리를 잘 지켜야할거같습니다. 좋은 이벤트 다시한번 감사드려요

대단한 이벤트~ 고생 많으셨습니다. (:

매번 고맙습니다.^^

현실에서 포기된 정치이념 그리고 정의가 이곳이서 실현되는지 실험해보는것도 재밌는 볼거리 즐길거리네요 ㅎㅎ

스팀달러 보내시느라 고생 정말 많으셨습니다 ㅠㅠ

실험은 흥미진진합니다.

스달 송금은 본문에 적은 것처럼 능력자 분들이 만든 도구를 써서 많이 고생하지는 않았습니다.

스팀의 능력자분들은 정말 경의로운 정도입니다 ㅎㅎ 커뮤니티를위해 다들 너무 대단하시네요!

그래서 스팀잇의 미래가 보이네요

개념남이시군요..^ㅡ^
쌩뚱맞지만 다른분에게 송금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제가 본문에 적은 asbear 님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여러 분께 한번에 송금하기가 자세히 나옵니다.

쪼그라든(?) 풀봇을 바칩니다 ^,.^
유쾌한 이벤트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ㅎ

고맙습니다. 돌고 돌면서 커지는 경제네요.

참여자가 어마무시하네요 ㅋㅋㅋㅋ 스팀잇은 적극적으로 환호하는 분위기였던 거 같네요 ㅋㅋㅋ 아직 조사 진행은 천천히 지켜봐야겠죠.

법원이 영장을 발부할 정도면 ㅋㅋ
빛 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stylegold님이 armdown님을 멘션하셨습니당.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연결되용~ ^^
stylegold님의 귀와 눈으로 하는 큐레이팅!! (부제: 큐레이팅 아이디어에 관한 조언을 주세요.)

...로젝트 (숨겨진글 발굴하기)

이전에 진행했던 숨겨진 글 발굴하기 프로젝트의 연장선이며, armdown의 아이디어의 콜라보입니다. 기존의 이벤트와는 방식이 많이 바뀌었으니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목적
    ...

    기쁨이 두배가 되는 군요 ;D
    보내는 것도 일인데 고생하셨고 감사합니다~!!

    MB가 구속됐는데, 이 정도 자잘한 수고쯤이야...
    온 국민이 기쁜데요 뭐. ㅎㅎ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두의 힘이었습니다.

    스팀잇, 정치, 거버넌스에 대한 이야기 앞으로도 많이 읽고 싶습니다. 이벤트 참여자인데 소중한 스팀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계속 연구해 가야 할 주제인데,
    스팀잇 같은 좋은 실험처가 있어 다행이라고 봅니다^^

    캬..철학자님 감사드립니다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해

    아이고, 보너스까지..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스팀잇에 유익한 일 잘 짜보겠습니다.

    멋진 @armdown님 안녕하세요! 입니다. 멋진 @ganzi님이 너무너무 고마워 하셔서 저도 같이 감사드리려고 이렇게 왔어요!! 황홀한 하루 보내시라고 0.6 STEEM를 보내드립니다 ^^

    킹 님 고맙습니다.
    간지 님도 고맙습니다.

    언제든 환영하니,
    자주 방문해 주세요^^

    풀보합니다. ^

    요즘 힘이 세지셨을 텐데, 풀보팅까지..
    고맙습니다^^

    팔보리 합니다. ^____^;;;

    축하드려요.

    스티밋을 통해서도 이렇게 뭔가의 대의에 뭉쳐서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앞으로도 대의에 뭉쳐지는 스티미언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스팀잇이 좋은 공간으로 거듭나는 계기였으면 합니다.

    정의가 이깁니다!

    잘 받았습니다.감사합니다.
    이벤트 진행하신 것도 참가자들에게 보내는 것도 힘드셨을텐데 진짜 수고 많으셨습니다.

    와우 감사합니다. ~ ... 정의가 이깁니다. ~

    정의는 거저가 아니라 만들어 가는 거죠.
    함께 가즈아~

    고생많으셨습니다.
    블록체인이 새로운 정치혁명 또는 정치철학을 만들어내길 간절히 기원합니다!

    노력하겠습니다.
    함께 하니 좋네요.

    참가자 명단에 @koreaguide 계정이 안보이네요. 댓글 참여했는데요.ㅎㅎ

    제가 실수한 것 같네요.
    조만간 명단과 송금을 업그레이드하겠습니다.
    참가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지갑보고 뭐지 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참여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사람들은 정치에 관심이 없는 게 아닙니다. 관심이 많지만, 표출할 방법을 차단당했거나, 표출을 가로막히거나 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표출할 기회를 주신 것도 감사합니다 (_ _

    저도, 님도, 다른 스티머들도 함께 할 겁니다.^^

    으메, 굉장하시네요. 언제 이 많은 걸 다 정리하셨나요^^
    이벤트도 크게 하더니
    결과 보고는 더 꼼꼼하게 하시네요.

    다음 대선무렵에는
    대선 후보들이 스티미언이 되지 않을 수 없으리라는 예감이 듭니다.

    수고하셨고 고맙습니다

    여러 능력자 분들이 만들어준 도구들을 활용했습니다.
    그분들 힘이 아니었으면 시도조차 못했을 겁니다.

    대선주자 스티미언, 캬, 멋지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저도 같이 만들어나감에 동참합니다 ^_^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용돈이 생긴거 같고 너무 좋네요.

    오늘 2배로 뛰었지요^^

    아주 상징적인 의미를 전달해주시는군요. 이재용의 한 표는 일반국민들의 한표보다 최소 몇백배 더 많은 표의 위력을 가진다,,, 정말 일리있는 설명이시네요.

    동감해 주시니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이벤트였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후원까지 모두 고맙습니다.

    There are 2 pages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