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KR] Japan, how they accomplished to be a G2? Japan's careful and superior diplomatic strategy (일본, 어떻게 세계 G2가 될 수 있었는가? 그들의 치밀한 외교전략)

in #kr6 years ago (edited)


Source

Hello! I'm @brianyang0912.
This content is translated into English by @ciceron team, and some contents will be continued to be translated soon. Thank you for your great support.

안녕하세요! @brianyang0912 입니다.
이번 컨텐츠는 @ciceron님에 의해 영문으로 번역되었으며, 앞으로 몇개의 컨텐츠가 더 번역될 예정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 큰 감사를 드립니다.


@ciercon


개인적으로 일본이라는 나라를 좋아합니다. 사실, 일본사람들을 더 좋아합니다. 지금껏 만나왔던 일본사람들은 예의가 바르고, 자신만의 고유 스타일이 있으며, 강한 이모션을 표출하고, 모험적이며, 지식인이 많으며, 수줍기도 하고, 남자다운 사람들도 있고, 특유의 영어발음, 헤어스타일, 옷입는 스타일 등이 있었습니다.

Personally, I like Japan. More specifically, I like Japanese people. Japanese people I have seen were equipped with good manner, having their own style, strongly expressing their feelings, adventurous, well educated, shy sometimes, masculine sometimes, speaking with unique English accents, wearing unique hairstyle and clothes.


일본이란 나라는 어찌보면 가장 가까운 나라이지만, 어찌 보면 우리가 가장 싫어하는 국가이기도 합니다. 지속적인 역사적인 분쟁이 있어왔고, 어찌보면 그들의 태도는 지금 까지도 논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항상 아시아를 대표하는 대표국으로써, 세계 경제부문에 많은 부분을 차지해 왔고, 실질적으로 세계를 돌아다니다 보면 일본 그리고 중국의 영향력은 실로 놀랍다는 느낌이 들어왔습니다. 개인적으로 일전에 일본의 외교정책이란 공부를 하면서, 일본의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Pro-Active한 대외정책을 배울 수 있었으며, 2차세계대전 이후 패망했던 그들이 어떻게 G2의 자리까지 올라왔나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물론, 저는 경제학자, 역사학자가 아니므로 많은 부분을 놓칠수도 있지만, 그들이 어떻게 세계에 영향을 뻗쳐 나갔나에 대해 느꼈던점에 대해 나눠보고 싶습니다.

We can say Japan is the closest country, but at the same time, a country that we feel the deepest hatred. Korea and Japan have been in historic disputes and even now, Japan's attitude has been an arguable topic. Despite this, Japan, as a representative country of Asia, largely participates in world's economic sector, and through my trip abroad the countries, I have felt the influential effect of Japan and China. I learned Japan's pro-active diplomatic skills through my personal interest in their foreign policy, and figured out how they accomplished to be a G2, even after they were defeated and collapsed in the World War II. Since I am not an economist nor historian, pretty sure that my argument could be weak and miss details. Still, I would like to share my personal thoughts regarding how they influenced the world.


스팀잇에는일본전문가들이 많이 계신 줄로 알고 있습니다. 많은 이야기를 듣길 원하며, 나누고, 토론하길 원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전 사실 일본어 한마디 못하거든요.. 고메나사이)

I believe there are many experts in Japan in Steemit. I would like to hear, share, and discuss about many stories! Any comments are appreciated!
(I do not speak a word of Japanese, honestly.. Apologies)

일본

  • 인구: 약 1억 2천 600만명
  • GDP: 약 4조 8844억 달러 (세계 3위)
  • 1인당 GDP: 약 38,800 달러 (약 4천만원)

Japan

  • Japanese population: 126 millions
  • GDP: around 488 Billion and 440 million dollars (3rd place worldwide)
  • GDP per person:38,800 dollars (around 40 million won)

일본과 독일 그리고 2차세계대전 이후 (Japan, Germany, and after the World War II In colonial era,)

일본이란 나라는 식민지지대에 지배적인 위치에서 많은 국가들을 식민지 삼았습니다. 2차세계 대전엔 연합군과 전쟁을 하였고,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세계 최초로 핵폭탄을 투하받으면서 패전하였습니다. 일본이 2차세계대전 당시 저지른 만행은 지금껏 역사적으로, 외교적으로, 국가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인정하지 않는 것들이 많은 문제를 낳고 있고, 역사적 오점을 바로 잡으려 하지 않고 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패전 이후 승승장구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일본의 탁월하고 치밀한 외교적 전략과, 어떻게 동남아시아를 전략적 요충지로 삼았나라는 주제입니다. 사실상 동남아시아의 많은 국가들 또한 식민지 시절 일본의 만행에 많은 고통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지금은 일본에게 호의적으로 변했나 입니다.

독일같은 경우는 역사적인 오점을 바로잡으려 사과를 했습니다. 하지만 독일에 와서 들은말로는 독일이란 나라는 결코 동유럽의 많은 국가들에게 배상 및 사과를 하지 않았지만, 유태인에게 유독 사과를 했는데, 이 이유가 미국의 유태인의 강한 영향력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이야기는 폴란드 친구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입니다, 물론 사람마다 개인적인 견해가 다르기 때문에 이 의견은 타당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한가지 느낀점은, 일전에 다하우 (Dahau) Concentration Camp에 간적이 있습니다. 그곳은 유태인, 성소수자들, 장애인 등을 모아놓고, 노동을 시키고, 수감했던 시설인데, 이곳은 나치의 만행을 알리기 위해 현재까지도 그대로 보존된 상태입니다. 물론, 세월이지나 마모되고 부숴진곳이 많지만, 적어도, 역사적 오점을 씻기 위해 여전히 보존하고,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전 이부분이 불편한 진실인 것 같습니다.

Many countries were colonized by the country called Japan, which had achieved a dominant position. Japan fought against allied force during World War II, and surrendered after the dropping of world-first nuclear bombs at Hiroshima and Nagasaki. Japanese's acts of brutality during World War II have been a serious historic, diplomatic national issue. They have never shown a gesture to accept their atrocities and arouse many problems with showing no efforts to correct such historical wrongs. Despite of these facts, Japan is on a roll after they defeated during World War II. What I want to emphasize is Japan's careful and superior diplomatic strategy, and how they used southeast region of Asia as a strategic point. Many countries of southeast Asia show favorable attitude toward Japan, even they were colonized and brutalized by Japan before.

In the case of Germany, they accepted and tried to correct the historical wrongs. However, based upon what I heard from my friend in Germany, since Jewish-Americans have a powerful influence nationwide, Germany offered an apology only to Jewish, while they never repaid nor apologized to many eastern Europe countries. (I heard this story from my Polish friend. This may not be accurate since every personal aspects are different.) And when I visited at the place called Dahau Concentration Camp , an idea came up in my mind. It was a facility which imprisoned and forced labor on Jewish, sexual minor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It has been preserved until now to tell the Nazi's act of barbarism to the world. At least, the facility is preserved and open to public to reflecting on their historical wrongs even though lots of parts are degraded and demolished.


하지만 이곳에서 강하게 들었던 한가지가 있습니다. 독일은 나치를 완전히 분리시켜놓았습니다. 즉, 독일은 역사적인 오점을 인정을 합니다, 그리고 나치가 남긴 오점들을 완전히 인정하며, 그것이 완전히 잘못된 것임을 인정합니다. 전 이것에 큰 모순을 느낍니다. 나치와 독일은 다르다, 그때의 독일은 나치가 아니었다, 나치라는 특정한 사람들이 한 만행들이다, 그들은 잘못됬다!

But suddenly, an idea strongly came to my mind. Germany clearly separated concept of Nazis from them. In other words, Germany recognizes completely accepts historical wrongs made by Nazis. I see total contradiction about this. Germany is different from Nazis, it was not Germany but Nazis who committed an act of brutality during that time, they are completely wrong! I believe that this is an inconvenient truth.

유럽속의 일본 (Japan in Europe )

유럽여행을 하다보면 많은 분들이 느끼실 겁니다. 특히, 관광지를 가시면 일본어, 중국어 통역은 유럽어를 떠나 기본적으로 지원을 해줍니다. 일본이 그렇게 강력한 국가였나? G2라는 이유로 이런 대우를 받는건가? 중국은 인구가 워낙 많으니 관광인구도 많을 것이고, 그래서 해줄 수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 일본은 인구가 1억 2천만, 그래도 인구가 1억 조금 넘는데, 과연 이들 관광객들 때문에 이런 서비스를 지원해줄까? 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Many of travelers in Europe will recognize this. Especially many tourist spots are supporting interpretation of Japanese and Chinese, on top of European languages. Is Japan a country powerful that much? Maybe the reason for this treatment is because they ranked in G2? It sounds fair to provide a interpretation service in Chinese since China's enormous population leads to lots of tourist. But Japan is 120 millions in population, do they really support this kind of service for the tourists spring out from amount of people only little over 100 millions? I had a thought like this.


2017년 11월 기준 일본인 해외여행자 수는 154만명 (일본 관광청), 이중 유럽을 방문한 해외여행자 수는 약 15%정도 됩니다. 과연, 유럽은 이들 관광객들을 위해 자비로운 걸까요? 동월 한국인 해외여행자 수는 220만명 이었습니다. 좀 의아합니다. 유럽여행을 하면 한가지 흥미로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한번은 잘츠부르크의 관광지들을 돌아다니고 있었습니다. 모차르트 생가, 모차르트관련된 곳들을 방문하고 있는데 벽에 이곳을 위한 기부자 명단이 있더라구요. 놀랍게도, 그 기부자들의 대부분은 일본인들이었습니다.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 보면, 일본인들의 기부로 지어진 건물, 후원을 받는 곳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것이 국력이며, 그들의 외교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전 교수님이 일본인들은 얍삽하다고 그러시더라구요.

The number of tourists in November, 2017 were 1.54 millions and 15% of them visited Europe, based on Japanese Ministry of Tourism. Is Europe being merciful for these tourist? Numbers of Koreans traveling abroad were 2.2 millions in same period. I feel little bit odd. You can find a interesting point when you travel around Europe. One Day, I was visiting popular attractions in Salzburg. I was able to find a donor's list on the wall while visiting a Mozart's birthplace and places relate to him. Surprisingly, Most of the donors were Japaneses. If you go around several tourist spots, It is easy to find places built and run by funds sponsored or donated by Japanese people. I think this is a national power, and their diplomatic strategy. One of my professor told me that Japaneses are sly.

한창 분쟁중인 SEA OF JAPAN 과 EAST SEA, 만약 백악관의 지도에 동해라고 표기되어 있으면, SEA OF JAPAN 이라는 지도로 바꿔놓는다 합니다. 아무도 모르고, 선물을 주는 척 하면서 이렇게 영향을 준다는 것이죠. 물론, 이말이 사실인진 모르지만, 확실한 것은, 일본인들이 엄청나게 많은 공을 들이고 있었음은 분명합니다. 이러한 양상은 동남아시아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이 이야기는 후에 들려드리고 있습니다.

There is ongoing dispute over the matters regarding Sea of Japan and East Sea. It is said that Japan would change the world map at the White House which originally marked the sea between Korea and Japan as "East Sea" into the map which marks the said sea as "Sea of Japan" instead. The map is replaced in a way that Japan gives it as a gift to the White House. This is one example of how Japan carries through their plans and strategies and has influence on the world. No one knows if it is true or not, but one thing is clear: Japanese are putting a lot of efforts into it. Such tactics Japan exercises are easily found in Southeast Asia. I am going to tell you about this later.

헤게모니 (Hegemony)

헤게모니 (Hegemony) 라는 말이 있습니다. 헤게모니는 즉 패권국이라고 하는데, 세상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힘만쎄다고, 돈만 많다고, 세계 1등국가로 자리잡을 수 없습니다. 핵무기가 있다고 누구도 그 국가를 패권국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더 깊게 들어가보면 Hard Power과 Soft Power이라는 것들이 있습니다. 패권국이 되려면, 이 Hard Power과 Soft Power이 있어야 합니다.

  • Hard Power: 군사력, 경제력 따위를 앞세워 상대방의 행동을 바꾸게 하거나 저지할 수 있는 힘 (네이버 국어사전)
  • Soft Power: 정보과학이나 문화 •예술 등이 행사하는 영향력. 군사력이나 경제제재 등 물리적으로 표현되는 힘인 하드 파워(hard power)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두산백과)

일본은 아쉽게도 군사력이 없습니다. 헌법 9조에 의거하여, 군사자체를 보유할 수 없지만 `Self-Defense (자위대) 만 보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소프트파워는 엄청나죠. 거기다가 경제력까지, 이 점들이 일본의 위상을 더 높게 만들었고, 일본은 이 점을 치밀하게 이용했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봅니다.

There is a word "Hegemony." Hegemony means leadership or dominance, especially by one country over others. However, the world has been changed very much. Just having much power or much financial resources does not give one country hegemony. No one says one country as the world hegemon on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untry possesses nuclear power. Let's talk more about this. There are two different kinds of power - one is hard power and the other is soft power. For one country to be a world hegemon, the country must have both hard power and soft power.

  • Hard power : the use of military and economic means to change or deter the behavior or response of other parties. (the Naver Korean Dictionary)
  • Soft power : the use of influence based on information science, culture, or art. Soft power is a concept corresponding to hard power which is exercised by physical means such as military force or economic sanctions (Doosan Encyclopedia)

In case of Japan, they do not have such military power. Under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the Japanese government is not allowed to have a military. Instead, Japan maintains Self-Defense Forces. However, they have considerable soft power. Such soft power, along with their economic strength, enhances the nation's status to a higher level. In my personal opinion, Japan strategically planned to have such international position.


일본과 동남아시아 (경제) Japan and Southeast Asia (Economy)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동남아시아는 어느새 우리에게 좀 더 중요한 경제적 파트너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미국은 몰라도, 중국, 일본은 이곳에 꽤 많은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일본은 동남아시아에 2차세계대전이후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투자해왔습니다. 어제 말씀해드린 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를 통해 동남아시아에 투자를 하였고, 저렴한 인건비로, 많은 일본의 제품을 생산하였습니다. 하지만 문제점, 동남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은 일본을 싫어했습니다, 우리가 지금까지도 일본과 싸우는 그러한 문제들, 우리들만의 싸움이 아닌, 일본과 그들만의 싸움이기도 했습니다.

Many countries in Southeast Asia have become important economic partners with us more than before as their nations developed continuously. I am not sure about the U.S. but China and Japan consider the Southeast Asia region very important. Particularly, Japan has consistently shown interests and invested in Southeast Asia since the World War II.
As I mentioned yesterday, Japan invested in Southeast Asia through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nd many products are made by such Japanese corporations with low labor costs. However, there are problems. Many countries in Southeast Asia have animosity against Japan. The issues triggering conflicts between our country and Japan also cause tension and antagonism between th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nd Japan.

1970년대에 들어, 동남아시아도 근대화를 이루기 시작하였습니다. 교육에 열이 올랐고, 학생들과 지식인은 역사적인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합니다. 그 전까지 동남아시아 각국은 일본에게 많은 투자, 지원 (ODA)를 받으며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시작하였지만, 문제는 여론이었습니다. 1974년 다나카 수상의 동남아시아 순방당시 동남아시아엔 격력한 시위가 있었습니다. 반일감정이 극에 달해, 엄청난 국민여론과 함께 반일감정이 동남아시아를 강타했습니다.

Modernization process started and spread in Southeast Asia from 1970s. Education was highlighted and educated people and intellectuals started to raise issues regarding their history. Before such modernization, many countries in Southeast Asia were beneficiaries of the investment and support through ODA and were in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Japan. However, public started to react differently. In 1974, when Japanese Prime Minister Tanaka visited Southeast Asia, fierce protests were erupted in the region. At that time, anti-Japanese sentiment reached a fever pitch in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nd provoked emotions and opinions of the public.

그러자, 1977년 일본은 후쿠다 독트린을 발표합니다.1977년 일본의 총리였던 후쿠다 다케오는 마닐라 순방중에 이러한 발표를 합니다

일본의 2대 외교수칙
(1) 일본은 더이상 군사대국이 되지 않을 것이다.
(2) 정치, 경제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부문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여 상호 신뢰를 구축, 강화 한다.

일본은 ASEAN과의 관계를 강화시키고, 더욱 많은 부분을 긴밀하게 협조하고, 상호간의 신뢰를 구축한다는 약속을 함으로써, 반일감정을 잠재웠습니다. 하지만 이 뒤에, 일본은 경제적인 지원을 해주었습니다.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를 통해 무상/유상 경제적인 지원, 기술인도 등을 통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에게 많은 환영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신뢰는 이미 50년을 뛰어 넘었고, 일본은 동남아시아의 경제적, 전략적 파트너쉽을 맺고 있습니다. ASEAN에서의 일본의 역할은 중요하며, 일본은 많은 공헌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에 또 다른 독트린발표를 함으로써 더욱 깊은 신뢰를 구축합니다. 일본의 외교수상은 지속적으로 동남아시아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자주 이곳을 순방을 합니다.

In response, Japan declared a statement known as the Fukuda Doctrine in 1977. The Fukuda Doctrine was based on a speech made in Manila by Japanese Prime Minister Fukuda while on a tour of the country.

Under the doctrine, Japan pledged the following two principles:
(1) Japan would never become a military power, and
(2) Japan would build up a relationship of mutual confidence and trust and would cooperate positively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politics, economic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sectors.

According to such doctrine, Japan promise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ASEAN countries, to make mush effort to work closely each other and to build up mutual trust, which calmed the heated animosity against Japan. After such agreement, Japan financially supported ASEAN countries. Japan provided them with economic support throug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r free or in exchange for consider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which were greatly welcomed by many ASEAN countries. Now, such mutual trust which has lasted over 50 years makes Japan and ASEAN countries establish strategic alliance. In fact, Japa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SEAN and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economy such countries.

In addition, meanwhile, Japan announced another doctrine, establishing deeper trust with ASEAN countries. Prime Ministers of Japan have consistently shown their interests in Southeast Asia and visited there often.


▲ 일전에 제가 쓴 보고서에서 가져왔습니다! (These are extracted from a report I previously drafted)


실질적으로 1990년대에 이르러 중국과 한국은 아세안과 관계를 맺기 시작하였는데, 일본은 이미 20여년 전부터 동남아시아 및 ASEAN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죠. Asian Development Bank (아시아 개발 은행)에서의 실질적인 리더역할을 하고, 차츰 아시아의 경제적인 리더로 자리 잡았죠. 특히 1985년 플라자 어코드 (Plaza Accord)를 통해, 공장이전 (Relocation)을 통해 더 많은 경제적 투자를 동남아시아에 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많은 기술이전, 동남아시아 경제발전 기여, 등을 해왔습니다. 아직까지도 일본은 동남아시아에겐 중요한 파트너 입니다. 현재 중국이 메콩강 개발 프로젝트 와 One Belt One Road 정책을 통해 동남아시아에 천문학적인 경제적인 지원, 투자를 하면서 일본의 위치가 흔들리기도 하지만, 신뢰로 구축된 관계는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China and Korea practically started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ASEAN in 1990s, whereas Japan had already established a close relationship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ASEAN twenty years ago, much earlier than China and Korea. In addition, by taking a practical leadership in the Asian Development Bank, Japan has gradually become an economic leader of Asia. Particularly, under Plaza Accord of 1985, Japan relocated its factories in Southeast Asia and consequently provided more economic assistance for the region. In this way, Japan transferred technologies to the region and contribute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Until now, Japan is a very important partner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Recently, China has made significant investment and enormous economic assistance in Southeast Asia through the Mekong River Development Plan and One Belt One Road policy, threatening the Japan's status in the region. However, it seems that the solid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established upon trust would not be easily shaken.

일본과 동남아시아 (문화) Japan and Southeast Asia (Culture)

실질적으로 동남아시아 곳곳에서 일본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태국에서 오래살아 태국에 대해서 더 많이 알지만, 태국이야 말로 일본을 찾기 가장 쉬운 국가가 아닌가 싶습니다. 태국에서 제2외국어로 가장 인기있는 언어는 일본어였으며, 최근 중국어, 그리고 한국어가 되었습니다, 일본의 캐릭터가 새겨진 정품 제품들은 한개에 수만원대의 가격에 달하더라도 꼭 구매하는 경향이 있으며, 어딜가나 쉽게 일본음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방콕에서 가장 비싸다는 곳은 일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이며, 파타야쪽에 가면 일본기업 공단이 있기도 합니다. 최근, 한류열풍으로, 많은 문화적인 영향이 한국쪽으로 넘어오긴 했지만, 일본의 동남아시아의 문화적인 영향은 절때 무시할 수 없습니다.

It may not be difficult to experience Japan in many places in Southeast Asia. Based on my life that spent in Thailand, it is the country that makes it possible to find and easily experience Japanese culture. Japanese had been the most popular second foreign language until it replace by Chinese, and Korean recently. People tend to buy genuine products tagged with Japanese characters, and it is easy to find Japanese food everywhere. The places occupied by Japaneses are the most expensive areas in Bangkok, and there are Japanese industrial complexes in Pattaya. Recently, trends are shifted to and leaded by Korean Wave, but Japanese cultural influence towards southeast Asia shall not be under estimated.

이런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습니다.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인들에게 태국인들은 엄청난 호의를 보여줍니다. 먼저 말걸고 싶어하고, 친해지고 싶어하고, 여러 많은 모습을 보이는데요, 아직까지도 한국은친구하고싶다정도만 생각하고 있다고 합니다. 단, 일본인과 친해지고 싶은 이유는, 사업을 하기 위함이라고하니 차이 발생하죠. 제 태국친구들 조차도 그들의 부는 일본기업과 연관된 곳이 많으며, 저를 대하는 태도와 일본인친구를 대하는 태도는 다릅니다.

I heard a interesting story before. With the powerful influence of Korean Wave, Thai people show huge favors towards Korean. They want to talk with, become familiar with Koreans, but only as friends. Meanwhile, they try to be friends with Japanese people for business purpose which shows the difference. Lots of my Thai friends's are related to Japanese company to maintain their wealth, and differently treat me from their Japanese friends.

결론 (Conclusion)

결론을 맺어보려고 합니다. 더 쓰고싶은 이야기가 많지만, 쓰다보니 자꾸 새로운 생각이 팝업(pop-up)해, 오늘은 이만 줄이려 합니다. 일본이G2가 된 이유를, 전폭적인 미국의 지원이라고 만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상 이말이 맞는 말이지만, 저는 일본의 전략적인 대외정책이 큰 몫을 했다고도 봅니다. 경제적인 위상만 있다고해서, 그 국가를 인정해주진 않습니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곳들의 그들의 치밀함이 오늘날의 그들의 위치를 만들었다고 생각을 합니다.

I would like to conclude my story. I still have a lot to share, but will stop here today since new ideas keep popping up in my head. I say, some people think that Japan ranked in G2 only because of United states's complete support. Technically it is right, however I would like to add that also the Japanese strategic diplomacy had contributed a lot. Nobody gives a country credit for being an economic power. However, I think strategies and plans thoroughly execu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would make the current status of Japan in the world. Korea is a country which has achieved significant development deemed as miracle.

대한민국이란 국가는,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고, 기적을 보여준 국가입니다. 한류열풍으로 인해 국가적위상이 높아진 것도 사실이고, 기업 경쟁력또한 엄청나게 올랐습니다. 태국 곳곳엔 한식 프랜차이즈가 열풍입니다. 소프트 파워가 강해진 것은 사실이며, 이는 지난 10여년 동안 이루어 졌습니다. 우리 또한 체계적인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기업들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개개인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냥 동아시아에 위치한 분단국가이며, 인구는 5천만, 경제규모는 세계 약 10위권인 국가가 아닌, 대한민국도 더 나은 곳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는 비교연구(comparative research)를 좋아하는데, 좋은 것은 벤치마킹을 해서 우리도 그 위치에 가면 그것이야말로 최고의 전략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물론, 우리 고유의 것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요!

As the Korean Wave is becoming increasingly influential, the status of Korea in the world has been raised. In addition, business competitive power of Korean compani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Korean food franchises are becoming very popular in many places in Thailand. The soft power of Korea has been increasing for over the past ten years, and it is true that the Korean soft power is strong. Now we must establish systematic strategies to consistently develop soft power. To do so, not only should corporations perform their roles but also individuals do their parts. I believe Korea will be a better country, not just maintaining the status quo such as a divided country in East Asia, the population of 50 million, or the 10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I personally like to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because it can be a means to learn and benchmark good models in other countries. I think it would be the best strategy to learn from others which have already proved they had successful tactics and plans. Of course, we should not forget to maintain our unique values and traditions while adopting good things from others and applying those things to ours.

긴 긁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본 프로젝트를 진행해주신 @ciceron 팀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Thanks for reading my content, and special thank to the @ciceron translation team!

If you have any idea to discuss, you are more than welcome to have a comment down in the article :)

Sort:  

한국 사람은 일본인을 뮤시하는 경향이 있는데..이번에 암호화폐 정첵보면 정말 이친구들 밉지만 존경합니다

Interesting article about Japan and Korean cultures/ powers. From my last years spent working with kids in Thailand I can tell that Korean culture (at least the music) has made enormous gains amongst the young generation in Thailand.
Another thing that came to me when reading the part about Germany dissociating from the Nazis and therefore recognizing the atrocities of WW2, is that what I call the "face factor" seem to be running most Asian cultures in the background, and that factor probably makes it very difficult for Japanese authorities to recognize its faults. When mistakes are not allowed, it is very difficult to admit one's wrongdoings for fear of a loss of reputation and credibility.

That's interesting to hear that you have worked in Thailand and could see more influence of Korean culture over in Thailand. I've also been living in Thailand for 7.5 years and could clearly see that Korean cultural influence has been increased in Thailand with the flow of tons of Korean restaurants in every single department store in Thailand.

For your second part of comment, I also somehow agree with your idea but I'd also like to point out that the lack of time after the Post World War II and when the new international order was set up under Bretton Woods system and another big international conflict which is Cold War between the major power with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ideologies did not give enough time to rest and sort the historical problem out in many Asian countries. As time goes far until the present, the historical problem has got more complicating to be resolved because it has shifted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issue for one country.

Thanks for sharing your idea here :)
Hope to see you around here!

일본의 성장이 미국의 도움만은 아니다는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글을 읽으면서 일본이 이렇게 기부며 경제며 ,,,, 노력했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새로운 지식 감사드립니다.

경제지식이 없는 사람으로써 잘 모르지만
댓글을 남겨도 된다면....역시 일반적 생각을 버릴 수는 없네요..^^
일본은........
패전 후 곧바로 6-25전쟁으로 인해 미국을 중심으로한 서방국가들의 전초기기가 되면서 엄청난 발전동력을 얻었음이 강력한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월남전을 전후해서 미국을 도움을 얻은것은 이에 비하면 너무나 약소하죠.
그들의 노력은 그 발판위에서 이루어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우리가 갖지 못한, 아니 잃어버린 최강국의 기본 조건을 그들은 보유했죠.

인구 1억명의 내수시장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경제는 항상 천수답경제, 윈블던 효과로
역동적 발전이 어렵고 늘 휘둘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고
주변국들이 우리의 통일을 원치않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애고.....정서스런 포스팅에 어설픈 사족을 붙인건 아닌가 염려됩니다.

필리핀에 중국사람이 아주아주 많지만, 반면에 일본 식당이 주를 이룹니다~~ 그렇다고 일본식당 주인이 일본인만은 아니겠지만요~ 쇼핑목에 입점한 수도없는 일본식당들을 보면서..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짐작이 되더군요...

일본이 강대국이 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치밀하죠 굉장히 ㅎㅎㅎ
항상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그들이 가식적이라고 생각하는데, 그것도 그들의 전략인 것마냥 전략적인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일본은 전형적으로 자신들의 국가를 '브랜드'로 잘 활용한 케이스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직도 대부분의 서양인에게 아시아=일본이란 느낌이 강하고 대부분 미디어에 비춰지는 오리엔탈리즘에는 일본색이 매우 짙죠. 자신들의 문화 특이성과 무시무시한 힘을 지닌 엔화를 적극 잘 이용하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또 최근에는, 이미 돈에서도 중국의 파급력을 무시할 수 없고 문화 자체도 이젠 일본은 갈라파고스화가 심해져서 중국이 일본을 문화적으로도 압도할 순간이 머지 않았다고 봅니다. 이미 그들의 커다란 자본력으로 세계 각국의 컨텐츠들을 집어삼키기 시작했고 이제 디즈니와 비견될정도로 몸집이 커진 텐센트가 있지요. 앞으로의 아시아는 정말 커다란 파도가 휘몰아칠 것 같습니다.

멋지네요. 다만, 고메나사이를 gomenasai 로 써주었으면 더 좋았을 걸 하는! ㅎㅎㅎ저도 일본에 놀러가기를 무척 좋아합니다. 대부분의 일본 친구들도 정말 좋았고. 저는 '신뢰를 얻는 것' 이 그들의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도 한때는 일제는 믿고 사지 않았던가요. 그만큼 그들에게 주어진 일에 책임감, 완성도(치밀함) 가 높다는 뜻이겠지요. @cagecorn 님 의 '브랜드화' 의견에도 한표를 던집니다. 외교적으로는 물론 선진국에게만 신뢰를 얻었겠지만 ㅎㅎㅎ 배울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군사력이 엄청난 나라입니다. 자위대는 말만 자위대일 뿐이지 간부체계기때문에 유사시에는 징병만 하면 바로 대군이 됩니다. 물론 현재 헌법체계하에서는 불가능하지만 법도 조약도 자신들이 살아야한다면 무시하면 그만인게 국제사회입니다. 결론적으로 일본은 무기면에서나 규모면에서나 군사대국이고 미국의 용인하에 중국과 북한위협이라는 명분이 있기에 더욱더 군사대국화 하는것은 자명한 사실인것이죠.

그리고 일본과 독일은 역사상 가장 큰 피해을 입혔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의 아이러니처럼 가장 번영한 국가가 되었습니다. 근본은 역시 능력과 노력이 있었기때문이죠.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나라보다 충분히 여유가 있었구요. 단, 40-55년까지의 세계사 흐름을 보면 미국과 러시아의 작은 인식차이로 우리는 이렇게 분단이 되어 국력이 반토막난것이고 일본과 독일은 번영의 기반이 된것입니다. 이 부분은 넘 이야기가 길어지네요.
일본사람들은 하나하나 세심하게 살피는 성격이라 그런면들이 항상 차이로 나타나는것같고 똑똑한 리더와 만나서 좋은결과를 주는것 같아요.최소한 정치인들에게 선견지명이 있어보이지는 않습니다. 지금도 한치앞도 못보는 아베정권나 언론인들이 많거든요.

사실 한번일어나고 하자고 마음먹으면 한국사람 따라올 나라는 없을텐데 한국의 가장큰 단점은 너무 주위에 방해꾼이 많다는 점이죠.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에서 휘둘리지 않고 정말 정신바짝차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 다른것보다 한국사람이 아시아나 우리보다 못사는 나라 무시하고 함부로 대하는것과 과도한 교육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집단이기주의 이것만 고쳐지면 좋은방향으로 갈것이라 믿습니다.

브라이언님 좋은글 쓰시느라 고생하셨네요.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 일본 싫어하는 사람도 있지만.. 저는 과거사는 물론 용서할 수 없지만 현재의 일본인들까지 싫어하는건 연좌제같아서... ㅜㅜ 전 갠적으로는 일본은 배울점이 많은 나라인것 같아서 좋아요 ㅋ

일본의 외교정책이 얍삽하다고는 하지만 어찌보면 이런 숨은 노력들이 있기에 soft power 가 막강한게 아닌가 싶어요. 예전에 일본의 올림픽 홍보영상을 본적 있는데 일본의 특징을 잘 살린 영상이더라구요. 좋은 이미지를 구축시키는 작업을 잘 하지 않나 싶어요.

안녕하세요. 단도직입적으로 한 가지 얘기 해도 될까요.

영어가 원어민 수준에는 한참 모자라고, 기본적 문법까지도 아닌 너무나 기초적인 오류도 너무 많아서, 영작을 한 곳이 유상으로 내지는 꾸준히 수익분배로 유사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업체라면 솔직히 짚어보고 지나가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여행기 보려고 전부터 팔로우하던 사람입니다. 불쾌하게 느끼실까봐 지나쳤었는데, 계속 커질 프로젝트라면 수준 개선을 요구하는게 맞지 않나 싶어서 일단 이렇게 남깁니다.

뜻만 통하면 상관없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너그럽게 봐주는 외국인도 있겠지만, 저 같으면 너무 오류가 많은 글은 그 내용도 기대가 되지 않아서 거르게 됩니다. 많은 원어민들이 그럴거라 생각해요.

개인적으로 상처 주려는 의도는 없지만 경험상 사적으로 받아들일 분(이 경우엔 영작 담당자)이 있겠지요. 그러나 사업화 하려고 한다면, 잠재적 고객들이 업체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준이 이 정도구나 잘 알고 의뢰하는게 좋겠다고 생각됩니다. 저렴하다면 이 정도도 훌륭한 것일 수 있으니까요.

제가 저작권이 없어서 구체적 문제가 되는 영문 지적은 하지 않았지만 가능하다면 포스팅으로 할 수도 있죠. 제 권한 밖이라 일단 이런 문제를 느낀다고 남기고 싶었네요.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