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STEEM 가격이 매력적일까?

in #kr6 years ago (edited)

시세 하락은 가치투자자에게는 기회

코인시장은 아직은 가치보다는 투자심리로 가격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최근 SBS방송에 Steemit 이야기가 나오고서 홍보효과 때문인지 Steem과 Steem Dollar의 가격이 움직이기도 했었죠. 이렇게 실제 가치 보다 아직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홍보를 통해 코인을 알고 투자 심리가 살아나느냐가 코인의 가격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코인 시장의 투자 심리를 읽기 위해 심리를 잘 나타내는 지표중 하나인 비트코인 가격 흐름에 집중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투자심리를 읽어서 투자하는 방법 중 하나인 시장가격이나 차트를 이용한 매매의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할때 매수하고 가격이 하락할때 매도해야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하락장에서는 공매도나 선물매도를 제외하고는 포지션을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가치투자자에게는 하락장은 기회를 선사하는 선물입니다.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실제 가치에 비해 싼 가격을 투자자에게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 저는 현재 Steem 가격의 매력도를 보수적으로 추정해보고 risk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가치투자가 가능한지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합니다.


Post 수와 Author 수, 그리고 Steem 가격
@segyepark 님의 https://tool.steem.world/Post/Stat 사이트에서 Post/Author수와 Steem가격 그래프를 가져와 봤습니다. 이런 좋은 분석 도구를 제공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20180312_num_post_author.png

20180312_steem_price.png

위의 두 그래프를 살펴보면 다음 세 가지 특징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1. Post/Author수의 증가는 Steem가격 상승에 후행합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결국 스팀잇으로의 유저 유입은 스팀가격의 상승이 큰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Steem 가격 상승과 저자수 증가의 타이밍은 계정생성에 걸리는 시간이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2. 스팀가격이 상승했다가 하락한 후에 가격이 안정되는 구간이 생깁니다. 가격이 안정된 구간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지는데, 저는 이 구간이 코인의 가격대에서 토큰 경제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돌아가는 구간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3. Post수와 Authors수는 변동성이 큰 스팀 가격에 비해 Sticky합니다. 즉, 일단 스티미언이 되서 글을 남기기 시작하면 스팀잇의 매력에 빠져서 가격이 하락해도 계속 저자로서의 활동을 지속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프의 흐름을 먼저 봅시다. 2017년 12월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시장은 전반적인 호황이었고,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스팀가격이 오르면서 사람들이 스팀잇으로 유입되었고 많은 분들이 글을 작성했지만, 지금은 스팀 가격이 빠지면서 저자/글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치를 평가 한다면

우선, 다음과 같은 대전제가 필요합니다. 스팀 코인 생태계 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스팀잇의 가치는 저자와 포스팅 수에 비례한다. 스팀 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많겠지만, 스팀잇의 가치와 크게 관련성이 있다고 봤을 때, 스팀잇의 가치와 관련이 큰 저자와 포스팅 수와 관련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저자와 포스팅 수 감소율 추정

앞선 전제를 받아들인다면, 다음은 저자와 포스팅 수의 감소율을 추정해야합니다. 물론 저자 및 포스팅 수는 코인의 가격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관계이기는 하지만, 앞서 말했던 저자 및 포스팅 수는 코인의 가격보다 변동성이 적고, 특히 저자 수는 한번 늘어나면 크게 줄어들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특징을 염두해 두고 향후 저자/포스팅수의 밴드를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자/포스팅 수의 2016년 7월 고점(저자 1706/포스팅 5382) 대비 2016년 12월 저점(저자 488/ 포스팅 707)의 감소율은 각각 -71%/-87% 였습니다. 그리고 2017년 6월 고점(저자 9495/포스팅 22184) 대비 2017년 7월 저점(저자 7345/포스팅 14334)의 감소율은 각각 -23%/-35%였습니다. 이 감소율을 2018년 1월 고점 (저자 31301/포스팅 60573)에 대입해서 수치를 산출하면 저자 수 밴드는 9077~24101이고 포스팅 수 밴드는 7874~39372입니다. 참고로 현재 저자/포스팅 수가 3월 10일 기준 21434/39521로 2017년 6월~7월 하락정도가 이미 반영된 상황입니다.

  • 저자/포스팅 수와 스팀가격의 관계 추정

그리고 필요한 것이 저자/포스팅수와 스팀 가격의 관계인데요. 스팀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것은 스팀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여타 요인을 제외하고 가격과 저자/포스팅 수와의 관계를 평가하고 싶기 때문에 가격이 안정적인 구간을 선정해서 가격과 저자/포스팅 수와의 관계를 산출해 봤습니다.

2016년 12월의 데이터를 대략적으로 살펴봤을 때 (정밀하게 계산하지 않고 정말 대략적인 추산입니다.), 저자는 700명, 포스팅은 1100개 정도로 보이고, 그 당시 스팀가격은 대략 $0.18 정도로 보입니다. 그리고 2017년 10월의 데이터를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저자는 7500명, 포스팅은 16000개 정도로 보이고, 그 당시 스팀가격은 대략 $1.00 정도로 보입니다. 이 수치를 보면 2016년 12월~2017년 10월 사이에 저자 수는 약 10.7배, 그리고 포스팅 수는 약 14.5배 증가했는데, 스팀 가격 상승은 5.83배 정도 상승했습니다.

  • 스팀 가격 추산

저자/포스팅과 스팀가격의 관계가 선형적이라는 가정하에 스팀가격을 추정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7년 하락과 같은 비율로 하락했을 때를 약한 하락 시나리오로 보고 2016년 하락과 같은 비율로 하락했을 때를 강한 하락 시나리오로 정해서 추산했습니다.

20180312_steem_price_author.png

구분2016년 12월2017년 10월약한 하락강한 하락
저자수(명)7007500241019077
Steem($)0.181.003.001.19

20180312_steem_price_posting.png

구분2016년 12월2017년 10월약한 하락강한 하락
포스팅(개)110016000393727874
Steem($)0.181.002.290.55

결론적으로 만약 2017년에 저자/포스팅이 감소한 정도로 하락세가 그친다면 추정 스팀 가격은 $2.29~$3.00 정도로 현재 가치 대비 매수 가능한 가격대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2016년의 대하락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면 추정 스팀 가격은 $0.55~$1.19로 추가적으로 큰 하락이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불편한 가정들

위의 추산 과정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불편한 가정들이 있습니다. 판단시 고려해야할 부분입니다.

  1. 스팀가격/포스팅수/저자수가 선형관계를 갖는다라는 가정에서 비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3월 10일을 기준으로 가격과 포스팅/저자수의 관계가 추정 모델에서 말도 안되게 벗어나지는 않는다는 생각이 드네요.
  2. 가격변화가 포스팅수와 저자수에 주는 영향과 포스팅 수와 저자수가 가격에 주는 영향에 대한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가 빠져있습니다. 이런 영향들은 변동성을 키우는 요소이며, 일반적으로 추정된 가격 변동성보다 가격변화가 더 커질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개인적인 의견

개인적으로는 2016년 하락과 같은 하락이 더 이상 오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그 당시에는 워낙 초기였기 때문에 지금보다는 변동성이 클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 하반기는 코인 시장이 매우 좋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코인 시장이 하락하고 있는 지금 아직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추산 결과와 코인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했을 때, $2.00 근처 가격 정도면 안전마진을 고려해서 투자하기에 매력적인 가격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변동성이 크니 안전마진 또한 크게 잡아야 뒤탈이 없을 것 같습니다. 가격이 워낙 빨리 변하고, 최근 각종 방송에서 스팀잇의 존재를 알려주는 바람에 신규 저자들이 유입이 되면 그대로 반등해 버릴 가능성도 있기는 합니다.

저는 최근 $3.00대 중반에 스팀을 샀었고 더 사야하나 고민하는 와중에 분석을 진행해 봤습니다. 아무래도 더 사는 것은 무리가 있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반등하면 너무나 좋고, 추가로 매입하는 것은 좀더 기다려 보자라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독자 분들의 투자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Disclaimer: 투자의 결과는 투자자의 몫입니다. 저는 이 글로 인한 투자 판단으로 생긴 결과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Sort:  

좋은 분석글 감사합니다^^
그래서 저도 스팀잇에 열심히 포스팅하면서
스팀잇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넵. 저도 열심히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

네 다같이 화이팅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도 추가매입을 했는데.. 할때는 불안했지만 하고나니 잘 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화이팅 입니다. 코인 시장은 가격 변동성이 심해서 스트레스 받기 쉽지요. 불안을 떨치는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와 읽고 싶었던 글인데... 멋진 분석이네요 ㅎㅎ생각보다 사용자들의 retention이 꽤나 높은 거 같습니다. @홍보해

홍보 감사합니다. ^^ retention이 핵심이죠. 그만큼 스팀잇이 매력적이라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joceo00님 안녕하세요. 깜지 입니다. @joeuhw님이 이 글을 너무 좋아하셔서, 저에게 홍보를 부탁 하셨습니다. 이 글은 @krguidedog에 의하여 리스팀 되었으며, 가이드독 서포터들로부터 보팅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하지만 가치투자자에게는 하락장은 기회를 선사하는 선물입니다.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실제 가치에 비해 싼 가격을 투자자에게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2016년 하락과 같은 하락이 더 이상 오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역주행 해보겠습니다.
앞으로 소식이 궁금해서 팔로우 하고 갑니다.

관심가져주셔서 고맙습니다. ^^ 그리고 팔로우도 감사합니다.

멋진 분석 글입니다...
바닥이 어딘지는 몰라도... 턴을 하면 무섭게 올라가지 않을까는
생각은 해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턴했을 때 무섭게 올라가는 것이 암호화폐 가격의 특징이기도 한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좋은 글 감사.. 보팅하고 갑니다

보팅 고맙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잘 읽었습니다. 3월 중엔 언제든 줍줍 찬스가 올 수 있다고 봅니다.

넵 저도 찬스를 노리고 있습니다. ㅎㅎ

추가 매입 시점을 고려 중이었는데, 좋은 분석글 잘 조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글을 좋게 봐주시는 것 같아 항상 감사 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2달러 근처가면 매수각이죠.. 예전에 세자리때 왜 놓쳤는지~~ 정말 아쉬울따름이빈다

이번에 기회가 있었는데, 분석하고 나니 아쉬워 지더라고요. 혹시나 기회가 오면 안 놓치려고 주시하고 있습니다.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seunglimdaddy 님 글도 잘 보고 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저자와 포스팅 상관관계로 분석하시다니 신선하고 좋았습니다 !

지금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가정을 해서 대략적인 그림만 봤네요. ㅠㅠ 그 부분은 좀 더 분석이 필요한 부분인데, 시간이 나면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평소에 궁금했던 내용이 피드에 떠서 반갑게 읽었습니다. 전 2주 전부터 스팀 분할매수를 시작했습니다. 평단가를 낮추기 위해 매수기간을 1년정도 보고 있는데 반등해서 가파르게 상승하길 바래봅니다^^

변동성이 큰 시장이니 분할매수 전략이 좋은 것 같습니다.

현재도 매우 매력적인 가격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저도 조금씩 더 매입하고자 합니다. 좋은 분석 글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결론은 추가하락가능성이 있다는 결론 같군요.
그러면 추가하락시 매수 몰빵 ㅎㅎㅎ

네 그렇습니다. 좀 더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저도 최근에 3$ 초반에 추매를 했습니다:). 말슴하신대로 완벽하게 선형관계를 이룰 수는 없겠지만 SNS의 특성상 가입자(특히 활성유저)와 포스팅 수 및 트래픽의 증대는 자연스럽게 회사가치의 상승으로 연결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스팀은 화폐뿐만이 아니라 주식으로의 역할을 하므로 더욱 공감합니다.

앞으로 이런 암호화폐 생태계 케이스가 많아지면 더 자세한 이론들이 나오겠지요. 새로운 이론이나 분석들을 앞으로 계속 트래킹 해보려고 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ㅎㅎ
개인적으로 스팀 지금 가격이면 굉장히 매력적이다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데이터로보니 더 확신이 드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도움이 되셨다니 기분 좋아지네요 ^^

수학적인 접근이 쉽게 이해할수 있었습니다 잘봣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정말 좋은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본이 몫입니다만 스팀 투자에 좋은 지표가 될 것 같습니다.
추가로 저는 저자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스팀 가격이 상승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스팀가치보다 장기적으로 스팀잇에 체류하는 유저가 얼마나 될지 기대해보면서 스팀은 장투가겠습니다.

저도 장투 입니다. ㅎㅎ 장기 체류 유저 수가 핵심이지 싶습니다. ^^

맞습니다! 장기 체류 유저 수가 늘어날수록 필수 스파를 보유해주니.. 스팀의 가격은 자연스레 상승하겠죠~! 좋은 분석 글 감사합니다 ~ ^^; (장투 화이팅!!)

2천원대에 입벌리고 있는데 들어올지 물음표상태이기는 합니다 ㅋㅋㅋ

저도 이제 벌리고 있으렵니다. ㅎㅎㅎ

매우 분석적인 글 잘 봤습니다!
거시적 통찰력에 매우 감명깊게 읽었네요 보팅하고 갑니다!
팔로우할께요 맞팔 부탁드려요^^

보팅 감사합니다. 맞팔갑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렇게 정리해주시니, 스팀 가격과 포스팅관련한 흐름을 한눈에 볼수 있네요. 감사합니다. 스팀가격이 만원 이상했을때, 가입인사글이 엄청 나게 많았는데, 요즘은 그때에 비하면 거의 없는편이네요. ㅎㅎ 요즘 각종매체에서 스팀잇 관련된 얘기가 많아서, 기대중입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칭찬해

처음 받아보는 칭찬이네요. 칭찬 감사합니다. ^^ 가입 인사글이 팍팍 들어올 그날을 기다립니다. ㅎㅎ

섹시한 @joceo00님 안녕하세요! 하니 입니다. 쏘쿨한 @zzings님 소개로 왔어요. 칭찬이 아주 자자 하시더라구요!! 분위기있는 글 올려주신것 너무 감사해요. 작은 선물로 0.6 STEEM를 보내드립니다 ^^

고맙습니다~ ^^

단순한 추상적 판단이 아닌 과거의 통계와 그래프를 토대로 예측을 해주시니 신뢰성이 확 올라가는 듯 합니다.
@joceo00 님은 이미 많이 사두셨으니 좀더 지켜 보셔도 좋을 듯 하네요.
저는 바로 들어가야 할지 조금 기다릴지 고민 중입니다.ㅎㅎ

네 좀 더 지켜보려 합니다. 좋은 가격에 잡으시길 기원합니다. ^^

저는 지금이 사둘때인가!? 했는데
보수적인 관점에서 보면 아직은 조금 불안할 수도 있는 상황이군요.
많이 아니더라도 살짝 사둘까는 생각해보게되네요.

이제막 시작한 뉴비가 존경과 사랑을 가득담아
팔로우와 보팅을 보냅니다!
앞으로 좋은 교류 부탁드릴게요!

팔로우 보팅 감사합니다. 저도 좋은 교류 부탁드립니다~

이런 분석/시도 자체가 훌륭한 접근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저자와 포스팅수에 비례한다는 말에 희망을 걸고...열심히 활동하겠습니다. 깨알정보 감사합니다. 외화벌어서 부자되고 싶은 dollarlove입니다. 많은 응원부탁드립니다

저도 열심히 활동하겠습니다. ㅎㅎㅎ 좋은 활동 부탁드립니다.

그런 상관 관계가 있네요. 그렇다면 스팀백서의 내용이 실현된다고 봐도 되겠네요. 스팀 페이스북 그룹에 공유해야겠어요 ㅎㅎ

공유 감사드립니다. ^^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이미 퀄리티 좋은 글들이 스팀 커뮤니티에 쌓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궁극적으로 보는 그림은 바로 이 퀄리티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스팀 가격에 휘둘리는 사용자가 많겠지만, 하나의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트래픽 많은 사이트로 도약해 나간다면 스팀 가격은 자연스럽게 상승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데이터 가공을 통한 멋진 분석 정말 감사드립니다.

트렌딩 페이지만 봐도 퀄리티 좋은 글이 한가득 하지요. 스팀잇의 파워인 것 같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pys 님 글 저도 매우 잘 읽고 있습니다. ^^

저도 스팀 구매를 고려 중이었는데... 좋은 분석글 잘 읽었습니다.
팔로우&보팅하고 갑니다. ^^;

팔로우 보팅!! 감사합니다. ^^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보팅하고 갑니다^^

보팅 고맙습니다 ^^

훌륭한 분석 너무 감사 합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궁금했던 점을 잘 정리해 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스팀 시세와 사용자의 관계 수치가
나오면 재미있겠다 생각했는데
멋진 글 잘보고 갑니다^^
보리팔고 갈게요^^ㅎㅎ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리고 보리팔아주셔서 감사해요~ ^^

ㅎㅎ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투자를 아직은 할 생각이 없지만, 생각을 잘 정리해주신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도 지금같은 장에서는
그저 지켜만 보고 있네요..

이럴때 일수록 후회없는 선택을 해야 하기에
말이죠.

좋은 선택 하시길 빕니다.

항상 저자수/포스팅수/스팀가격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궁금했었는데 분석글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경험상 스팀이 내리면 글 수가 줄고, 스팀이 오르면 글 수도 같이 오른다는 체감은 하고 있었는데 진짜였군요 ㅎㅎ 스팀 가격 $10 되면 너무 행복할거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충분히 올 수 있는 가격대라고 생각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예리하신 분석에 감턴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상세 분석 감사합니다. 저는 한편 포스팅의 수와 스팀 배분량의 관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의견 나눠보고 싶어요. ^^

https://steemit.com/kr/@rebil/steemit-might-fall-into-deflation-trap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의견은 @rebil 님 글에 댓글로 정리해서 달도록 하겠습니다. 팔로우 합니다. ^^

좋은 글 잘 보고 팔로우합니다~ 스팀 추매시 참고하겠습니다^^ 앗 그리고 제 글에 응원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 올려주셔서 오히려 제가 감사합니다. ^^

Congratulations @joceo00!
Your post was mentioned in the Steemit Hit Parade for newcomers in the following category:

  • Comments - Ranked 4 with 88 comments

I also upvoted your post to increase its reward
If you like my work to promote newcomers and give them more visibility on Steemit, feel free to vote for my witness! You can do it here or use SteemConnect

전문적인 분석글을 포스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쓰신게 놀랍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유저수가 늘어나면 스팀 채굴이 많아지고
스팀 채굴이 많아지면 공급이 많아지고
공급이 많아지면 스팀가격이 떨어지지 않을까요?

이런생각을 해봤습니다.

스팀 채굴량은 정해져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 있습니다. 스팀잇은 어떻게 혁신을 이뤄냈는가, 그 세계관에 대한 심층 분석 - 5. 스팀의 화폐발행 정책 단, 문제는 유저가 늘어나면 한정된 채굴량을 나눠먹기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그에 맞춰서 스팀가격이 올라주면 다행인데, 아닌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조하세요 :) 스팀잇에 드리운 디플레이션 함정 - Steemit might fall into Deflation trap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저도 어제 오늘 스팀 조금 줍줍했는데요~
스팀아 이제 가.즈.아.~

이제야 이 글을 봤네요. 스팀 가격과 포스팅/저자 수의 관계는 좀 더 알아볼만한 주제인 것 같아요.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