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쥐 도시쥐

in #old6 years ago (edited)

corn.jpg

오래전 이솝우화에서 읽었지만
그에 대한 합리적 해석만이 기억에 남았습니다.
마치 숱한 사상가의 이론이 글자로 남은것처럼

지난주 휴가에서 돌아오는길에
말린 옥수수를 두자루 사와서 까고 있습니다.
예전엔 물을 받아 어린이를 목욕시키던
겨울을 앞두고 김장양념을 버무리는 이 고무대야에
옥수수자루를 망채로 넣고 알을 뜯고 있습니다.

베란다에 있는 의자에 앉아 밖을 내려다보며 손을 놀리다보니
이런저런 생각들이 차분히 머리속을 스쳐갑니다.
이 옥수수를 팔았던 부부는 뻥튀기를 해먹으려로 말려놨다고 하더군요.
상품으로서 가치가 없는 못생긴 옥수수 두자루
그들의 뻥튀기 먹는 즐거움을 돈 몇푼에 뺏은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어디가 시골일까요?
행정구역상 '시'가 아닌곳이 시골일까요?
고개를 돌리면 사방에 수풀이보이는곳이 시골일까요?
아니면 대중교통이 불편하고 발에 채이는것이 흙, 돌인곳일까요?

어쩌면 시골은 기억속으로 사라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마치 시골의 삶이 사라지는것 처럼요.

오래전에 시작되었고
이제 종말을 향하고 있다고 평가되기도 하는 '자본주의'는
사람들의 삶을 참 많이도 변화시킨거 같습니다.

처음엔 조용히 살아가는 사람들을 농장에서 쫓아내고
다음엔 생존을위해 기계처럼 일하게 만들고
다음엔 원초적 욕망이 자본주의적 가치만을 바라보게 만들더니
어느새 유한계급의 삶을 보편적 가치로 바꿔놓은거 같습니다.

스타벅스 커피를 마셔야하고
유럽여행을 가야하고

생산력의 발전으로 노동의 결과물이 풍성해지는만큼
채울수 없는 욕망의 거품도 커져만 갑니다.

내가 아닌 타인이 이겨야할 대상이 되고

나의 욕망은 시대정신의 구현처럼 변해갑니다.

내 정신은 멀찍이 뒤로 물러설줄 모릅니다.

옥수수를 덖어서 일년내내 보관하면서
몇알씩 넣어서 물을 끓입니다.
정수기가 아닌 수돗물을 끓여서 먹는 재래식입니다.
상수원의 오염이 더해가는 세상에
수돗물을 끓여먹는것은 지혜로운 일이 아닌거 같습니다.
그로인해 오염물질을 섭취하고
정수기를 사용하면 걸리지 않을 병에 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삭제되는 '시골'의 하나입니다.
'시골의 삶'의 하나입니다.
행동이 바뀌면 생각이 바뀐다고 하지요.

사회체제에서의 경쟁이 아니라
자연과의 경쟁과 순응이 삶이었던 '시골'
남보다 더 큰집, 더 큰 자동차, 더 멋진 여행이 아니라
더 잘익은 과일, 벼, 옥수수를 바라보며 행복해지는 삶

농사를 짓지 않아서 느끼는 것인지
농사를 짓지 않아서 더 잘 느끼지 못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이겨야 할 대상은
남이 아니라 바로 나 자신뿐이라는 것은 분명한거 같습니다.

Sort:  

경쟁을 하기보단, 자연이 주는만큼 만족하며 살려던게 시골쥐의 맘이 아닐까 싶네요. 맛있는것 좋은것을 가져야된다가 아니라. 먹고 살수만 있다면 욕심 부리지 않는... 근데 저는 도시쥐인가봐요. ㅋㅋ 욕심이 너무많네요. 출근길에 좋은글을 만나 좋네요. 좋은하루되세요

옥수수를 판 부부는 뻥튀기의 즐거움 정도는 남겨놓지 않았을까요^^
이제 시골이라고 예전의 시골이란 의미와는 많이 달라진것 같아요!
삶은 언제나 자신과의 경쟁이죠!! 우리가 망각하며 살아갈뿐...

여유..
그것빼면 삶에 즐거움이란 없는데
행복을 추구하면서도
너무 바깥만 보면서 살아가는 사람이 많은거 같습니다.
노인님은 잘 챙기고 있는거 같아요^^

도시계획으로 수용된, 아직은 개발되지 않은 땅에 '경작금지' 현수막에도 불구하고 여러 식물이 재배되는 걸 보면 농사는 인류의 본능에 해당되는 것이란 생각이 들더라구요.

결국 그것만이 생명을 유지시켜 준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기 때문일까요?

태풍이 다가온다네요.
평안하시길 빕니다.

어릴적 외갓집에서 봤던 시골과 지금 가서 보는 시골은 위치는 같지만 사람도, 시스템도 전혀 다른 것을 느낍니다.
넉넉하고 느릿한 모습을 꿈꾸지만 막상 그 안에 들어가면 또 달라지는 게지요.

어디서나 마찬가지겠지요.
자기가 선택하는 것이니까요.
도시에서도 천천히 걸을 수 있으니
전부 자기 몫입니다^^

말린 .,,,옥수수 떼어내기 손가락 아프지 않아요~??

조심스럽게 골을 파고나면 그 다음부터는 할만합니다.
한번에 두자루를 훓어내는 것이 아니니까요.
쉬엄쉬엄 하는거지요^^

저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나고 자라 시골에서 실제로 일상을 영위하는 삶이란 것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시골이라는 존재를 통해 우리가 사는 도시를 비추어보면 더 많은 것들을 발견하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자연적인 것'에 대한 향수와 낭만주의를 경계하는 편이지만 쓰신 글에는 큰 공감을 하게 되네요. ㅎㅎ 특히 "정신이 뒤로 물러설 수 없게 되는 것"은 정확한 표현인 것 같습니다. 풍경이 관망보단 소유의 대상이 되는 것처럼, 도시에서의 삶이 바쁘게 돌아간다는 건 삶에 간격이 없다는 의미일 테니까요. 시간이 돈이라는 표현은 시간에 조금의 틈도 허용하지 않으려는 강박적인 직접성의 발로인 듯 합니다...

뭔가를 성취하기 위해 내달릴때는 감상에 젖을 시간이 없다지요.
'Time is money!'니까요.

그러나 언제고 행복을 생각하게 된다면
현실이 생각과는 다른 시간이 온다면
시골이라고 불렸던 곳에서의 초라한듯한 삶이
행복을 느끼게해 줄 좋은 방법중 하나가 될겁니다.

저도 집에서는 물을 끓여먹었습니다.
가급적이면 생수를 먹지 않는다는 주의입니다.
지하에 생수가 고이는 시간에 비해
우리는 터무니 없을 만큼 빠른 시간에
소비하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본적이 있는지
안타깝기도합니다.
쓸데없이 말이 길어졌습니다.

옥수수 딸 때 일자 드라이버나 못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천천히 한 줄씩 따시는 것도 마음 수행이 됩니다.
옥수수차 맛있게 드세요.
.

도구를 사용할 생각은 못했습니다.
진화가 덜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 초여름에 매실액을 만들어서
보름전부터 식사떼마다 먹고있습니다.
발효가 제대로 되어서 엄청 신맛이 납니다.
덕분에 배에 탈이 나는것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거 같습니다.

건강하세요.

나이가 들수록 복잡한 도시보단 경치 좋고 평화로운 곳이 좋습니다.
2년후엔 어디서 살까...궁리중이랍니다.
옥수수 알로 뭘하시려나 했는데 차를 만드시려 알을 까고 계셨군요. ^^

평화로운 곳을 찾고 계시군요.

계획대로 차근차근 진행되길 빕니다.